학익동 진리 수학 전문 학원
032-862-0002 (학익동 법원,신동아 아파트 근처)

- 초중고 수학 전문 학원 (수준별 맞춤 수업)
- 1:1 소수정예 (수준별 맞춤 수업)
- 개별 수업 (선생님 2명 수업지도)

<원장>
* 한양대 사범대 교육공학(졸)
* 경북대 전자전기공학(졸)
<수능상위 3%>
- 정교사 자격증

300x250

[학익여고 근처 1대1(일대일) 수준별로 가르치기로 소문난 수학학원] 2017학년도 학익여고 3학년 1학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처럼 고운 심성, 어가는 탄탄 학력, 웅비하는 학나래!





학익여자고등학교

http://www.hakikgh.hs.kr




목  차

1. 화법과 작문(인문계)  3

2. 화법과 작문(자연계)  22

3. 영어Ⅱ  36

4. 인문통합수학  52

5. 확률과 통계  66

6. 기하와 벡터  71

7. 한국사  75

8. 동아시아사  85

9. 한국지리  91

10. 생활과 윤리  97

11. 사회·문화  106

12. 물리Ⅱ  114

13. 화학Ⅱ  121

14. 생명과학Ⅱ  133

15. 지구과학Ⅱ  147

16. 한문Ⅰ  162

17. 음악과 진로  172

18. 운동과 건강생활  175


1. 화법과 작문(인문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화법과 작문(인문))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Ⅰ. 화법과 작문의 본질

 

 

 

 

 

 

 

 

 

 

 

 

 

 

 

 

 

 

 

 

 

 

 

 

 Ⅰ. 화법과 작문의 본질

 

1. 화법과 작문의 사고 과정

 

31031.화법과 작문에 필요한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성찰한다.

31031-1.화법과 작문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알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 텍스트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 텍스트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한 가지 경우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1-2.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 성찰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일부 점검, 성찰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거나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 성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화법과 작문의 사회적 기능

31032.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로서 화법과 작문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한다.

31032-1.화법과 작문이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화법과 작문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문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문 가운데 한 가지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할 수 있다.

31032-2.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작품 속 인물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 가운데 한 가지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2-3.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과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할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설명하거나,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일부 제시할 수 있다.

3. 화법과 작문의 관습과 윤리

31033.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인식한다.

31033-1.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알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일부 파악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여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를 위해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31033-2.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파악하여 정확한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부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파악하여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이해 및 언어 공동체 담화 관습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31033-3.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알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 가운데 한 가지만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1. 정보 전달의 원리

 

 

 

 

 

 

 

 

 

 

 

 

 

 

 

 

 

 

 

1. 정보 전달의 원리

 

31034. 정보를수집・분류・체계화하여 청자나 독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한다.

31034-1.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1034-2.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체계화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31034-3.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정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 가운데 일부분만을 고려하여 정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31035.정보를 전달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원리를 이해하고 목적과 대상에 적합하게 내용을 구성한다.

31035-1.정보를 전달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알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 가운데 한 가지만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5-2.정보 전달의 목적에 적합하게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1035-3.정보 전달의 대상에 적합하게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을 분석한 후,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을 부분적으로 분석한 후,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 분석과 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31036.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는 객관적인 관점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31036-1.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31036-2.객관적인 관점으로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태도를 지니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6-3.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부분적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

 

 

 

 

 

 

 

 

 

 

 

 

 

 

 

 

 

 

 

 

 

 

 

 

 

 

2.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

 

 

 

 

 

 

 

 

 

 

 

 

 

 

 

 

 

 

 

 

 

2.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

31037.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청자의 이해를 돕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31037-1.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7-2.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고 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부분적으로 고려하고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고려하거나,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8.시각자료를 해석하여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31038-1.시각 자료를 해석하여 핵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한 후 작품의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한 후 작품의 핵심 정보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하여 작품의 핵심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8-2.시각 자료에서 도출한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의 핵심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의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에 제시된 정보로 발표 내용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31039.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언어적・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한다.

31039-1.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언어적 표현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언어적 표현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31039-2.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목적, 상황, 청자를 고려하여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청자를 고려하여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039-3.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목적, 상황, 청자를 고려하여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청자를 고려하여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0310.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듣고 효과적으로

질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용한다.

310310-1.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긴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긴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짧은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310310-2.효과적으로 질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내용의 확장적 이해에 기여하는 질문을 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핵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을 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10311.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글을 쓴다.

310311-1.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여 작품의 특성을 총제적으로 파악한 후, 효과적으로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작품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거나 작품의 특성을 파악하여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1-2.글의 목적이나 독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를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를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파악한 후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2.정보의 속성에 적합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쓴다.

310312-1.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310312-2.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과 전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과 전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할 수 있다. 

310312-3.정보의 속성에 따라 내용을 조직하고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할 수 있다.

310313.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쓴다.

310313-1. 글의 전체 구조나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전체 구조나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전체 구조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310313-2.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할 수 있다.

310313-3.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해석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부분적으로 해석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4.효용성, 조직의 체계성, 표현의 적절성, 정보 윤리를 점검하여 고쳐 쓴다.

310314.-1.정보 전달을 위한 글을 쓸 때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정확하게 점검하고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일부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310314-2.정보의 효용성, 정확성, 신뢰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310314-3.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사용할 뿐 아니라, 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며, 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내용 조직의 체계성을 점검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다.

310314-4.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능숙하게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부분적으로 비판하여 평가할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나 적절한 표현으로 고쳐 쓸 수 없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비판하여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1. 설득의 원리

 

 

310315.논증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새로운 주장을 입증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안다.

 

310315-1.논증의 원리와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가며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310315-2.입증 책임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가며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에 대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310315-3.주장할 때 타당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 책임을 다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타당한 논거를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의 책임을 완수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를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의 책임을 부분적으로 다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과 관련된 논증을 구성할 수 있다.

310316.설득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의 원리를 이해하고 청자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한다.

310316-1.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여러 가지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글의 논지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글의 논지를 부분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310316-2.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를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의 성격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의 성격을 한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가 누구인지 설명할 수 있다.

310316-3. 청자나 독자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 성격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종합하여 그에 적합한 설득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를 인식하고 그 성격을 한두 측면에서 고려하여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에 대한 부분적 인식을 바탕으로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310317.논리적 오류의 유형을 이해하고 내용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파악한다.

310317-1.일상의 언어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논리적 오류를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여러 가지 논리적 오류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논리적 오류를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논리적 오류를 일부 설명할 수 있다.

310317-2.설득 담화나 글에서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와 그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와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310317-3.설득 담화나 글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하며 글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하여 글을 비판적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부분적으로 평가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

 

 

 

 

 

 

 

 

 

 

 

 

 

 

2. 설득을

위한 

화법

 

 

 

 

 

 

 

 

 

 

 

 

 

 

2. 설득을

위한 

화법

 

 

 

 

 

310318.화자의 공신력을 이해하고 이성적ㆍ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연설한다.

310318-1.화자의 공신력의 본질을 이해하고 공신력을 높이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간결하고 명료한 언어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언어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310318-2.이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논리적인 연설을 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긴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하여 말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짧은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하여 말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간단한 말하기를 할 수 있다.

310318-3.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감동을 주는 연설을 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한 구체적 예를 찾아 말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한  예를 찾아 말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간단한 말하기를 할 수 있다.

 

 

 

 

 

 

310319.공동의 의사 결정 단계를 이해하여 공동체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토의한다.

310319-1.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공동 의사 결정에는 일정한 단계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10319-2.토의를 통해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합리적인 의사 결정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의사 결정 과정을 거쳐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의사 결정의 과정을 따라 토의할 수 있다.

310320.논제의 필수 쟁점을 분석하여 쟁점별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한다.

310320-1.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찬반의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중심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파악할 수 있다.

310320-2.필수 쟁점을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모든 항목으로 내용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모든 항목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일부 항목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310321.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여 듣고 합리적으로 반박한다.

310321-1.설득 담화를 듣고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310321-2.설득 담화를 듣고 합리적으로 반박을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합리적인 내용과 적절한 태도로 반박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합리적인 내용으로 반박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반박 내용을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3. 설득을 위한 작문

 

 

 

 

 

 

 

 

 

 

 

 

 

 

 

 

 

 

 

 

 

 

 

 

3. 설득을 위한 작문

 

310322. 주장하는 내용과 관점이 명료하게 글을 쓰며 글의 영향과 사회적 책임을 인식한다.

 

310322-1.글이 지닌 사회적 영향과 책임을 인식할 수 있다.

 

문학의 공동체적 기능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에 내재된 인간의 다양한 가치관을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문학의 공동체적 기능을 이해하고 문학 작품에 내재된 인간의 가치관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문학의 공동체적 기능을 일부 이해할 수 있다.

310322-2.주장하는 내용과 관점이 명료하게 드러나도록 글을 쓸 수 있다.

주장하는 내용과 관점이 명료하게 드러나도록 글을 쓰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주장하는 내용과 관점이 드러나도록 글을 쓰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주장하는 내용과 관점이 일부 드러나는 글을 쓸 수 있다.

310323.언어 공동체의 쓰기 관습을 고려하여 적합하고 타당한 논거를 들어 글을 쓴다.

310323-1.언어 공동체의 쓰기 관습 및 특성을 알 수 있다.

 

국어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쓰기 관습 및 특성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국어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쓰기 관습 및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국어사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쓰기 관습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10323-2.언어 공동체의 특성이나 가치를 고려하여 적합하고 타당한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언어 공동체의 특성이나 가치를 고려하여 적합하고 타당한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언어 공동체의 특성이나 가치를 고려하여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언어 공동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논거를 제시할 수 있다.

310323-3.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관습을 고려하여 적합하고 타당한 논거가 제시된 글을 쓸 수 있다.

국어사와 말과 글의 규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관습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국어사와 말과 글의 규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관습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국어사와 말과 글의 규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언어 공동체의 사회 문화적 관습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10324.독자나 글의 유형에 적합하고 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주장하는 글을 쓴다.

 

310324-1.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과 그 특성에 대해 알 수 있다.

 

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과 그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고려하여 글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과 그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고려하여 글을 일부 이해할 수 있다.

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과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310324-2.독자의 특성과 글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표현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글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글의 유형에 따라 적절한 독해전략을 사용하여 글을 이해 할 수 있다.

글의 유형에 따른 차이를 이해하고 글의 유형에 따라 독해전략을 일부 사용하여 글을 이해 할 수 있다.

글의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310324-3.적절한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주장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적절한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주장하는 글을 유창하게 쓰고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적절한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다양한 유형의 주장하는 글을 쓰고 이해할 수 있다.

제한적으로만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주장하는 글을 쓰고 이해 할 수 있다.

310325.논거의 타당성, 조직의 효과성,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여 고쳐 쓴다.

 

310325-1.설득을 위한 글을 쓸 때 점검하고 고쳐 쓰는 것에 대해 알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올바르게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일부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310325-2.논거의 타당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논거의 타당성과 다양한 문장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능숙하게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논거의 타당성과 다양한 문장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논거의 타당성과 다양한 문장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일부 고쳐 쓸 수 있다.

310325-3.조직의 효과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조직의 효과성을 점검하며 글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능숙하게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조직의 효과성을 일부 점검하며 글을 이해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조직의 효과성을 점검하지 못하고 글의 일부 내용을 고쳐 쓸 수 있다.

310325-4.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언어공동체의 말과 글의 규범을 점검하며 능숙하게 글을 고쳐 쓰고 정확하게 말할 수 있다.

언어공동체의 말과 글의 규범을 점검하며 글의 일부 내용을 고쳐 쓰고 말 할 수 있다.

언어공동체의 말과 글의 규범을 점검하지 못하고 글의 일부 내용을 고쳐 쓸 수 있다.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Ⅳ.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Ⅳ.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Ⅳ.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화법과 작문

1.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의 원리

 

310326.의사소통에서 진정성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진솔한 마음이 드러나도록 표현한다.

310326-1.의사소통에서 진정성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에서 진정성의 중요함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에서 진정성이 중요함을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에서 진정성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310326-2.말이나 글에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담아 표현할 수 있다.

시 속에 담긴 작가의 정서 및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여 상대방과 긍정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시로 표현할 수 있다.

시 속에 담긴 작가의 정서 및 다양한 요소를 이해하여 상대방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며, 자신의 진솔한 마음을 시로 표현할 수 있다.

시 속에 담긴 작가의 정서를 이해하고, 자신의 마음을 시로 표현할 수 있다.

310327.갈등을 유발하는 상호 작용의 장애 요인을 점검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한다.

310327-1.의사소통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소설 속 인물의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여러 가지 요인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소설 속 인물의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한두 가지 요인에 대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소설 속 인물의 대화를 통해 의사소통에서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310327-2.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조정하여 원활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다.

소설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갈등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갈등해소 방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소설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갈등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효과적인 갈등해소 방안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소설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갈등 요인을 분석할 수 있다.

 

 

2.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화법

 

 

 

 

310328.대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를 인식하고 관계 형성에 적절한 방식으로 자기를 표현 한다.

310328-1.의사소통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다.

의사소통 방식과 연관 지어 자신의 자아 개념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의사소통 방식과 연관 지어 자신의 자아 개념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의 자아 개념을 간단하게 설명할 수 있다.

310328-2.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자기를 표현할 수 있다.

작품 속 인물들 간의 관계 파악을 바탕으로 상황, 상대,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하게 자기를 표현할 수 있다.

작품 속 인물들 간의 관계 파악을 바탕으로 상대를 고려하여 인간관계 형성에 도움이 되도록 적절하게 자기를 표현할 수 있다.

작품 속 인물들 간의 관계 파악을 바탕으로 상대에게 자신을 표현하는 말을 할 수 있다.

310329.면접 답변 전략을 이해하고 질문자의 의도를 파악하며 듣고 효과적으로 답변한다.

310329-1.면접 답변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목적에 맞는 면접 답변 전략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목적에 맞는 면접 답변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면접 답변 전략의 일부 내용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29-2.면접 질문을 듣고 의도를 파악하여 효과적으로 답변할 수 있다.

면접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적합한 방식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답변할 수 있다.

면접 질문을 듣고 면접자의 의도를 고려하여 답변할 수 있다.

면접 질문을 듣고 자신의 생각을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3.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작문

 

 

 

 

 

 

 

3. 자기표현과 사회적 상호 작용을 위한 작문

 

310330.생활 속의 체험이나 깨달음을 글로 씀으로써 삶의 체험을 기록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습관을 기른다.

310330-1.일상의 삶을 성찰해 보고, 생활 속의 체험이나 깨달음을 글로 쓸 수 있다.

일상의 삶을 성찰해 보고, 생활 속의 체험이나 깨달음이 담긴 문학작품을 깊이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다.

일상의 삶을 성찰해 보고, 생활 속의 체험이나 깨달음이 담긴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부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상의 삶에 대한 성찰은 부족하나 생활 속의 체험이나 깨달음이 담긴 문학작품을 이해하고 부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310330-2.삶의 체험을 기록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삶의 체험이 기록된 문학작품을 다각도로 이해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 적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삶의 체험이 기록된 문학작품을 다각도로 이해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습관을 기르기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보인다.

삶의 체험이 기록된 문학작품을 이해하여 자신의 삶을 성찰하는 습관을 기르는 데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310331.맥락을 고려하여 창의적이고 품격 있는 표현으로 자기를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글을 쓴다.

310331-1.자기소개서를 쓰는 목적에 대하여 알 수 있다.

 

자기소개를 쓰는 목적에 대하여 다양한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자기소개를 쓰는 목적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기소개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0331-2맥락을 고려하여 자기소개의 내용을 마련할 수 있다.

 

맥락에 맞는 자기소개의 내용을 마련할 수 있다.

맥락에 맞게 자기소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자기소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마련할 수 있다.

310331-3.창의적이고 품격 있는 자기소개의 표현을 할 수 있다.

 

창의적이고 품격 있는 자기소개의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자기소개에 맞는 창의적인 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자기소개에 맞는 표현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310331-4.맥락에 맞게 품격 있는 표현으로 자기소개서를 쓸 수 있다.

맥락에 맞게 품격 높은 표현으로 자기소개서를 쓸 수 있다.

맥락을 고려하여 자기소개서를 쓸 수 있다.

자기소개서를 부분적으로 쓸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화법>

 화법

A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과 대상에 잘 맞는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주장의 내용 체계를 갖추고,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설득력 있게 토론할 수 있다.

자신의 듣기 목적에 맞는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핵심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구분할 줄 알며, 반언어적 표현에 유의하며 들을 수 있다.

B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과 대상에 따른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주장의 내용 체계를 갖추고,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설득력 있게 토론할 수 있다.

자신의 듣기 목적에 맞는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핵심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구분할 줄 알며, 반언어적 표현에 유의하며 들을 수 있다.

C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알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대상에 따른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고 ,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듣기 상황에서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중심 내용과 뒷받침하는 내용을 능숙하게 구분할 줄 안다.

D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목적에 맞는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주장에 맞는 근거를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듣기 상황에서 정보를 파악하며 , 중심 내용과 뒷받침 내용을 부분적으로 구분할 줄 안다.

E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대화의 원리를 이해하며 상황과 대상에 맞게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듣기 상황에서 정보를 파악하며, 중심내용과 뒷받침 내용을 구분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작문>

 작문

A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통일성 있고 응집성 있게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모두를 고려하고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윤리적인 글쓰기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바람직한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B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조직하여 통일성 있고 응집성 있게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세 가지를 고려하고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윤리적인 글쓰기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바람직한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C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조직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두 가지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응집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두 가지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을 고려하고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D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일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관련된 일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 중 하나의 개념만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부분적으로 조직하여 통일성과 응집성이 부분적으로 드러나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한 가지만을 고려하여 두 가지 이상의 표현 기법을 문체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일부만 점검하며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있으나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쓰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보인다.

E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일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관련된 일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 중 하나의 개념만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부분적으로 조직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통일성과 응집성이 드러나게 부분적으로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고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한 가지만을 고려하여 표현 기법과 문체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일부만 점검하며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학기 단위 성취수준

A

화법과 작문의 사고 과정을 이해하며, 설득하는 담화에서 논리적 오류 없이 타당한 근거를 들어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깊이 있게 제시하고 있으며, 설득력 있는 표현 전략을 활용하여 주장하는 글을 쓰고 말할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로서 화법과 작문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하며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인식하여 실행할 수 있다.

B

논증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있으며 설득하는 글에서 논리적 오류의 유형을 이해하고 논거의 타당성, 조직의 효과성,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여 글을 고쳐 쓸 수 있으며, 언어적・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말하나,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인식하여 실행하는 데 조금 더 노력이 필요하다.

C

자신의 글이 지니는 가치나 문제 등을 고려하며 글을 쓸 수 있고 설득하는 담화나 글에서 청자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으나,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인식하여 실행하는 데 노력이 필요하다.

D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 개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을 효과적으로 소개할 수 있으나, 자신의 글이 지니는 가치나 문제 등을 고려하며 화법과 작문에서의 윤리 문제를 인식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E

정보의 속성에 적합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쓰나, 화법과 작문에서의 표현 방법 및 독자나 청중을 고려한 전략을 구사하는 일과 화법과 작문에서의 윤리 문제를 인식하는 데 있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2. 화법과 작문(자연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화법과 작문(자연))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Ⅰ. 화법과 작문의 본질

 

 

 

 

 

 

 

 

 

 

 

 

 

 

 

 

 

 

 

 

 

 

 Ⅰ. 화법과 작문의 본질

 

1. 화법과 작문의 사고 과정

 

31031.화법과 작문에 필요한 사고 과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성찰한다.

31031-1.화법과 작문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알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 텍스트를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 텍스트를 바탕으로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품이 표현과 관련된 사고 과정임을 한 가지 경우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1-2.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 성찰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여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일부 점검, 성찰할 수 있다.

인물 간 의사소통의 의미와 적절성을 파악하거나 자신의 의사소통 행위를 점검, 성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2. 화법과 작문의 사회적 기능

31032.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로서 화법과 작문의 성격과 기능을 이해한다.

31032-1.화법과 작문이 의사소통의 기능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화법과 작문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문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과 작문 가운데 한 가지의 의사소통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할 수 있다.

31032-2.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작품 속 인물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법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 가운데 한 가지에 대해서만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2-3.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알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과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으며,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할 수 있다.

작문의 사회적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격과 기능에 대해 설명하거나, 우리 사회의 다양한 문제의식을 담아낸 작품을 읽고 공동체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 상황을 일부 제시할 수 있다.

3. 화법과 작문의 관습과 윤리

31033.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이해하고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인식한다.

31033-1.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알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일부 파악하여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내용과 표현 방식

 측면에서 한국 문학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여사회적 의사소통 행위를 위해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31033-2.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의 다양한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파악하여 정확한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부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언어 공동체의 담화 관습을 파악하여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다.

국어 문법의 이해 및 언어 공동체 담화 관습 파악에 어려움이 있다.

31033-3.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알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의사소통 행위에 필요한 화법과 작문의 윤리 가운데 한 가지만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Ⅱ.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과 작문

 

 

 

 

 

 

 

 

 

 

 

 

 

 

 

 

 

 

 

 

 

 

 

 

 

 

1. 정보 전달의 원리

 

 

 

 

 

 

 

 

 

 

 

 

 

 

 

1. 정보 전달의 원리

 

31034. 정보를수집・분류・체계화하여 청자나 독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재구성한다.

31034-1.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1034-2.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체계화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류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31034-3.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정보를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을 고려하여 정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의 관심, 요구, 수준 가운데 일부분만을 고려하여 정보를 부분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31035.정보를 전달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원리를 이해하고 목적과 대상에 적합하게 내용을 구성한다.

31035-1.정보를 전달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알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정보 전달 담화나 글의 구조 및 내용 조직 원리 가운데 한 가지만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5-2.정보 전달의 목적에 적합하게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체계화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31035-3.정보 전달의 대상에 적합하게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을 분석한 후, 담화나 글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을 부분적으로 분석한 후,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담화 및 문학 장르에서 정보 전달의 대상 분석과 구성에 어려움이 있다. 

31036.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는 객관적인 관점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31036-1.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품사 분류를 통해 개별 단어의 특성을 이해하고,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데 적합한 언어 표현 방법 사용에 어려움이 있다.

31036-2.객관적인 관점으로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일정 부분 유지하면서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때 객관적인 관점을 유지하는 태도를 지니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글 구성 단위 간 관계를 단서로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6-3.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부분적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의미 구성에 기여하는 문법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간명한 언어를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를 전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

 

 

 

 

 

 

 

 

 

 

 

 

 

 

 

 

 

 

 

 

 

 

 

 

2. 정보 전달을 위한 화법

31037.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청자의 이해를 돕도록 내용을 구성한다.

31037-1.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매체 자료를 활용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037-2.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고 매체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부분적으로 고려하고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는데 필요한 형식적, 내용적, 문화적 특성 등을 고려하거나,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구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8.시각자료를 해석하여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한다.

31038-1.시각 자료를 해석하여 핵심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한 후 작품의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한 후 작품의 핵심 정보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사건 전후, 인물 간 관계, 배경 및 구성 등을 시각 자료로 도출하여 작품의 핵심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8-2.시각 자료에서 도출한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의 핵심 정보를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의 핵심 정보로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할 수 있다.

시각 자료에 제시된 정보로 발표 내용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31039.청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언어적・반언어적・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한다.

31039-1.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언어적 표현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언어적 표현 전략을 설명할  수 있다.

31039-2.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목적, 상황, 청자를 고려하여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청자를 고려하여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반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039-3.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목적, 상황, 청자를 고려하여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청자를 고려하여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비언어적 표현 전략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0310.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듣고 효과적으로

질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능동적으로 수용한다.

310310-1.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긴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의 논리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긴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짧은 담화를 듣고 핵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310310-2.효과적으로 질문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내용의 확장적 이해에 기여하는 질문을 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핵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긴 담화나 텍스트를 바탕으로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을 하여 정보를 얻을 수 있다.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 정보 전달을 위한 작문

310311.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글을 쓴다.

310311-1.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여 작품의 특성을 총체적으로 파악한 후, 효과적으로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작품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거나 작품의 특성을 파악하여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1-2.글의 목적이나 독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 매체의 특성을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를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파악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이나 독자를 고려하여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고 글의 특성을 파악한 후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2.정보의 속성에 적합하게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쓴다.

310312-1.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파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설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 및 그 유형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에 드러난 시대 상황, 당대의 의식, 인물, 배경, 표현 등을 통해 정보의 속성을 설명할 수 있다.

310312-2.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과 전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과 전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을 고려하여 내용 구성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정보의 속성 고려하여 내용을 선정할 수 있다. 

310312-3.정보의 속성에 따라 내용을 조직하고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내용을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내용을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문학 작품 속에 드러난 정보의 속성을 파악하여 감상할 수 있다.

310313.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쓴다.

310313-1. 글의 전체 구조나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전체 구조나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글의 전체 구조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단어, 문장, 의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내용들 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310313-2.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시와 소설에서 시적·소설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 다양한 표현 방법을 파악하여 감상할 수 있다.

310313-3.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해석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부분적으로 해석한 후, 글을 쓸 수 있다.

다양한 표현 방법을 활용하여 작품의 내적 요소들을 여러 가지 맥락에 비추어 해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310314.효용성, 조직의 체계성, 표현의 적절성, 정보 윤리를 점검하여 고쳐 쓴다.

310314.-1.정보 전달을 위한 글을 쓸 때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정확하게 점검하고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전체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을 쓸 때 일부 내용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310314-2.정보의 효용성, 정확성, 신뢰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정보를 바탕으로 글의 주제나 형식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310314-3.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사용할 뿐 아니라, 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며 글을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부분적으로 사용하며, 내용 조직의 체계성과 표현의 적절성을 점검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다.

문장의 짜임을 탐구하여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내용 조직의 체계성을 점검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다.

310314-4.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능숙하게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글의 일부를 고쳐 쓸 수 있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부분적으로 비판하여 평가할 수 있다.

글쓰기의 정보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나 적절한 표현으로 고쳐 쓸 수 없으며, 심미적·윤리적 가치를 비판하여 평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단원명

소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Ⅲ. 설득을 위한 화법과 작문

 

 

 

 

 

 

1. 설득의 원리

 

 

 

 

310315.논증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새로운 주장을 입증할 책임이 자신에게 있음을 안다.

 

310315-1.논증의 원리와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가며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논증의 원리와 방법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310315-2.입증 책임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가며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에 대해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입증 책임의 원리의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310315-3.주장할 때 타당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 책임을 다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타당한 논거를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의 책임을 완수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논거를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입증의 책임을 부분적으로 다할 수 있다.

자신의 주장과 관련된 논증을 구성할 수 있다.

310316.설득하는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의 원리를 이해하고 청자와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을 구성한다.

310316-1.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여러 가지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글의 논지를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하여 글의 논지를 부분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구조와 내용 조직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310316-2.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를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의 성격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의 성격을 한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의 청자나 독자가 누구인지 설명할 수 있다.

310316-3. 청자나 독자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그 성격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종합하여 그에 적합한 설득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를 인식하고 그 성격을 한두 측면에서 고려하여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청자나 독자에 대한 부분적 인식을 바탕으로 설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310317.논리적 오류의 유형을 이해하고 내용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파악한다.

310317-1.일상의 언어생활에서 자주 발생하는 논리적 오류를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여러 가지 논리적 오류를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논리적 오류를 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상의 언어생활에서 비문법적 표현으로 인한 논리적 오류를 일부 설명할 수 있다.

310317-2.설득 담화나 글에서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와 그 이유를 파악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와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설득 담화나 글에서 주장과 논거의 논리적 오류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310317-3.설득 담화나 글의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하며 글을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평가하여 글을 비판적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신뢰성, 타당성, 공정성을 부분적으로 평가하며 글을 읽을 수 있다.

 

 

 

 

 

 

 

 

 

 

 

 

 

2. 설득을 위한 화법

 

 

 

 

 

 

 

 

 

 

 

 

 

 

 

 

 

2. 설득을 위한 화법

 

310318.화자의 공신력을 이해하고 이성적ㆍ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연설한다.

310318-1.화자의 공신력의 본질을 이해하고 공신력을 높이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간결하고 명료한 언어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언어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

음운, 형태소, 단어의 품사별 특성과 문장성분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310318-2.이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논리적인 연설을 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긴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하여 말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짧은 담화나 글의 내용을 구성하여 말할 수 있다.

적절한 논증과 내용조직 원리에 따라 간단한 말하기를 할 수 있다.

310318-3.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감동을 주는 연설을 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한 구체적 예를 찾아 말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한  예를 찾아 말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을 바탕으로 감성적 설득 전략을 사용하여 간단한 말하기를 할 수 있다.

310319.공동의 의사 결정 단계를 이해하여 공동체의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토의한다.

310319-1.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최적의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공동 의사 결정의 단계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공동 의사 결정에는 일정한 단계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310319-2.토의를 통해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합리적인 의사 결정으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최적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의사 결정 과정을 거쳐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대안을 선택할 수 있다.

의사 결정의 과정을 따라 토의할 수 있다.

310320.논제의 필수 쟁점을 분석하여 쟁점별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한다.

310320-1.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찬반의 관점으로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중심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토론 논제의 필수 쟁점을 파악할 수 있다.

310320-2.필수 쟁점을 바탕으로 논증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모든 항목으로 내용을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모든 항목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필수 쟁점의 일부 항목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310321.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여 듣고 합리적으로 반박한다.

310321-1.설득 담화를 듣고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상대 주장의 논리적 오류를 파악할 수 있다.

310321-2.설득 담화를 듣고 합리적으로 반박을 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합리적인 내용과 적절한 태도로 반박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합리적인 내용으로 반박할 수 있다.

설득 담화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반박 내용을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화법>

 화법

A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적절히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과 대상에 잘 맞는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다양한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주장의 내용 체계를 갖추고,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설득력 있게 토론할 수 있다.

자신의 듣기 목적에 맞는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핵심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구분할 줄 알며, 반언어적 표현에 유의하며 들을 수 있다.

B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상황과 대상에 따른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고, 가치 있고 신뢰할 만한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을 도출하여 주장의 내용 체계를 갖추고,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설득력 있게 토론할 수 있다.

자신의 듣기 목적에 맞는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핵심 내용과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을 구분할 줄 알며, 반언어적 표현에 유의하며 들을 수 있다.

C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알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대상에 따른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할 수 있다.

자료를 수집하고 , 정보를 선별하며 필수 쟁점에 따라 주장과 근거를 구성하여 토론할 수 있다.

듣기 상황에서 핵심 정보를 파악하며, 중심 내용과 뒷받침하는 내용을 능숙하게 구분할 줄 안다.

D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목적에 맞는 자료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을 보이며, 주장에 맞는 근거를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듣기 상황에서 정보를 파악하며 , 중심 내용과 뒷받침 내용을 부분적으로 구분할 줄 안다.

E

공감적 듣기의 방법을 이해하고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에 많은 어려움을 보인다. 

대화의 원리를 이해하며 상황과 대상에 맞게 언어 예절을 갖추어 말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듣기 상황에서 정보를 파악하며, 중심내용과 뒷받침 내용을 구분하는데 익숙하지 않다.


<작문>

 작문

A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체계적으로 조직하여 통일성 있고 응집성 있게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모두를 고려하고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윤리적인 글쓰기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바람직한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B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두 가지 이상의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조직하여 통일성 있고 응집성 있게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세 가지를 고려하고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효과적으로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정확하게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윤리적인 글쓰기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바람직한 언어를 사용하여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C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원리와 특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대해 대체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조직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통일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두 가지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응집성 있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두 가지를 고려하여 여러 가지 표현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을 고려하고 여러 가지 표현 기법과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점검하고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쓸 수 있다.

D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일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관련된 일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 중 하나의 개념만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부분적으로 조직하여 통일성과 응집성이 부분적으로 드러나게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다.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한 가지만을 고려하여 두 가지 이상의 표현 기법을 문체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일부만 점검하며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있으나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쓰려고 노력하는 자세를 보인다.

E

필자가 글을 쓰는 데 필요한 작문 과정의 일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독자와 효과적으로 소통하기 위한 작문의 관습에 관련된 일부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내용 조직과 표현에서 통일성과 응집성 중 하나의 개념만을 설명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부분적으로 조직할 수 있다. 한정된 매체에서 수집한 정보를 통일성과 응집성이 드러나게 부분적으로 조직하여 글을 쓸 수 있고 글의 표현과 고쳐쓰기 단계에서 표현 기법과 문체, 고쳐쓰기 방법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글의 목적, 주제, 독자, 글의 관습 중 한 가지만을 고려하여 표현 기법과 문체를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기 방법을 활용하여 일부만 점검하며 고쳐 쓸 수 있다. 인격을 무시하는 폭력적인 글이 독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설명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자신이 쓰는 글의 내용과 언어가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며 독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A

문학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개성에 유의하며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표현기법과 적절한 문체를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다. 흥미와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자신의 삶에서 독서가 갖는 의미를 이해하고 꾸준한 독서를 통해 자신을 성장, 발전시켜 나갈 줄 안다. 공감적 듣기와 배려하는 말하기로 다른 사람과의 갈등이나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

B

문학의 기본 갈래와 역사적 갈래의 개념을 알고 각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며, 독서의 목적과 상황 등을 고려하여 자율적으로 글을 선택하여 읽을 수 있다. 음운과 음운체계를 이해하고, 한글 맞춤법의 기본원리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으며 담화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어휘를 사용할 수 있다. 적절한 단어와 어법에 맞는 문장 표현을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으나, 글을 구성하는 내용들을 긴밀하게 연결하는데 있어서 좀 더 노력이 필요하다.

C

독서의 목적과 상황 및 흥미나 가치관 등을 고려하여 글을 선택하여 읽을 수 있으나. 자신의 성장과 연결시키는 점에 있어서 좀 더 노력이 필요하다. 계획을 세워 내용을 생성․조직하여 표현기법과 적절한 문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글을 점검하며 고쳐 쓰는 활동에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D

문학의 기본 갈래의 특징을 이해하고 작가의 개성에 유의하며 문학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나, 다양한 매체에서 얻은 정보를 작문 상황에 맞게 조직하여 통일성과 응집성을 갖춘 글을 쓰는데 있어서 노력이 더 필요하다.

E

문학 작품의 감상 의미와 독서의 특성에 대하여 이해하고 있으나,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보인다.



3. 영어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  교과서명:  영어II (천재교육)  )


Unit 1.

 What Is Your Dream?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1

 

 

 

영고2811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정확하게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주어진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정확하게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주어진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1

영고2831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1

영고2841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찾아

자신의 말로 바꾸어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주어

진 어휘를 활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주어진 어구를 그대로 사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쓰는데 어려움이 있다.

Unit 2.

 Working with Language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2

영고281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설명되는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의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듣고,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2

영고2831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2

영고2842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정확하게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일부 정보만을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찾은 것을 몇몇 단어로 기록할 수 있다.




Unit 3.

 Creativity Works Wonders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3

영고2813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순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순서 파악의 근거가 되는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3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근거를 활용하여 내용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근거가 되는 단서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단어만을 활용하여 내용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3

영고2833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순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순서 파악의 직접적 근거가 되는 단서를 통해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3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근거를 활용하여 글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직접적 근거가 되는 단서를 통해 글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직접적인 몇몇 단어만을 활용하여 글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43-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한 어구나 표현의 문맥

적 의미를 전체 내용의 맥락상에서 추론하여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근거로 제시된 일부 내용을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제시된 근거를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3

영고2842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정확하게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일부 정보만을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찾은 것을 몇몇 단어로 기록할 수 있다.


Unit 4.

 Learning to live Together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4

영고2814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말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중심 내용을 이해

하고 들은 내용을 종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단서가 되는 주어진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단서가 되는 주어

진 일부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부

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42-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화자의 심정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상황을 이해하고

직접 드러나지 않은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말이나 대화 속의

단서들을 통해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되는 직접적인 단서들을 통해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4

영고28343-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한 어구나 표현의 문맥

적 의미를 전체 내용의 맥락상에서 추론하여 정확하게 파악

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근거로 제시된 일부 내용을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제시된 근거를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43-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4

영고2841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찾아

자신의 말로 바꾸어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주어

진 어휘를 활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주어진 어구를 그대로 사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쓰는데 어려움이 있다.




Unit 5.

 Mathematics in Our Lives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5

 

 

 

영고2811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정확하게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주어진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정확하게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주어진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5

영고2831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주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5

영고2841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찾아

자신의 말로 바꾸어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을 주어

진 어휘를 활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주어진 어구를 그대로 사용하여 요약하는 글을 쓰는데 어려움이 있다.

영고28431-1.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다양한 언어형식을 활용하여 완전한 문

장으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글

을 쓸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제시된 언어형식을 참고하여 일부의 근

거를 제시하며 문장 수준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글을

쓸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제시된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간략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Unit 6.

 A Matter of Give and Take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6

영고281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설명되는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말이나 대화의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듣고,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3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순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순서 파악의 근거가 되는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3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근거를 활용하여 내용의 인과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근거가 되는 단서를 활용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단어만을 활용하여 내용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6

영고283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31-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순서를 파악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정확하게 추론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순서 파악의 직접적 근거가 되는 단서를 통해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활용하여 내용의 논리적 순서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3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근거를 활용하여 글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의 주요 흐름을 이해하고 직접적 근거가 되는 단서를 통해 글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일부 내용의 흐름만을 이해하고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직접적인 몇몇 단어만을 활용하여 글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6

영고2842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정확하게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일부 정보만을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찾은 것을 몇몇 단어로 기록할 수 있다.


Unit 7.

Change Your Life, Change the World


 

듣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7

영고2814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말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중심 내용을 이해

하고 들은 내용을 종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단서가 되는 주어진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단서가 되는 주어

진 일부 어구나 표현을 활용하여 말이나 대화의 목적을 부

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142-1.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화자의 심정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상황을 이해하고

직접 드러나지 않은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말이나 대화 속의

단서들을 통해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반복되는 직접적인 단서들을 통해 화자의 태도를 파악할 수 있다.



 

읽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7

영고28311-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전체적으로 이해하며 중심 내용을 뒷받침하는 근거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이해하며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파악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중심 어구나 단어를 통해 요지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21-1.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세부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주어진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해 설명하는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주어진 몇 개의 단어를 통해 세부적인 내용을 일부 파악할 수 있다.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7

영고28343-1.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한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전체 내용의 맥락상에서 추론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근거로 제시된 일부 내용을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반복적으로 제시된 근거를

통해 어구나 표현의 문맥적 의미를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고28343-2.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어구의 용법을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쓰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7

영고28421-1.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아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한 정보를 찾아 정확하게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일부 정보만을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필요로 하는 정보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찾은 것을 몇몇 단어로 기록할 수 있다.


 

말하기 영역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Unit 7

영고28231-1.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타당하고 충분한 예를 제시하며 자신의

의견을 설득력 있게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을 주어진 단서를 토대로

적절한 어휘를 선택하여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타당한 예를 제시하며 설득력 있게 자

신의 의견을 말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Ⅰ. 영어 II 듣기 영역

A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정보, 직접 드러나지 않은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B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정보,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 내용의 전반적인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단서를 활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C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대체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정보,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직접적 근거가 되는 일부 단서를 활용하여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정보,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E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정보, 화자의 의도나 말의 목적, 화자의 심정이나 태도,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


II. 영어 II 말하기 영역

A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다양한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말로 바꾸어 완전한 문장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표, 그림, 도식 등을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자료를 적절하게 요약하여 유창하게 발표할 수 있다.

B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문장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비교적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비교적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표, 그림, 도식 등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자료를 적절하게 요약하여 발표할 수 있다.

C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제시된 단서나 어휘를 활용하여 주요 구문이나 어구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제시된 단서나 어휘를 활용하여 표현하고 서로의 의견을 대략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대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표, 그림, 도식 등을 주어진 어휘를 토대로 설명할 수 있고 자료를 요약하여 대략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D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제시된 단서나 어휘를 활용하여 단어를 나열하는 수준으로 간단하게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일부 제시된 단서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부분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표, 그림, 도식 등을 일부 핵심 어휘만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논리적 구성력이 다소 부족하고 자료를 요약하여 부분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E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제시된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기초적인 어휘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부분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부분적으로 주고받고,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중심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표, 그림, 도식 등을 일부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여 말할 수 있으나 자료의 논리적 구성이나 활용이 제한적이고 자료를 요약하여 부분적으로 발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III. 영어 II 읽기 영역

A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내용,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B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내용,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단서를 활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C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대체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내용,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직접적 근거가 되는 일부 단서를 활용하여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D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내용,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E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주제 및 요지, 세부 내용, 필자의 의도나 글의 목적, 필자의 심정이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


IV. 영어 II 쓰기 영역

A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기, 필요한 정보 기록하기, 일반적 주제에 의견이나 감정 쓰기,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기의 글을 다양한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자신의 말로 바꾸어 완전한 문장으로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정확하게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논리적으로 쓸 수 있다.

B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기, 필요한 정보 기록하기,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 쓰기,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기의 글을 언어형식을 사용하여 문법적 오류가 거의 없이 문장 수준으로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쓸 수 있다.

C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기, 필요한 정보 기록하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 쓰기,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기의 글을 제시된 단서나 언어형식을 참고하여 주요 구문이나 어구 수준으로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대략적으로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대략적으로 쓸 수 있다.

D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기, 필요한 정보 기록하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 쓰기,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기의 글을 제시된 단서를 사용하여 단어 수준으로 쓸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언어적 오류가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부분적으로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부분적으로 쓸 수 있다.

E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기, 필요한 정보 기록하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 쓰기,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기의 글을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쓰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간단히 쓰는 평가 계획 어려움이 있다.


다. 학기 성취수준

영어II - 각 단원 동일

A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직접 드러나지 않은 화자의 의도나 심정,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자신의 말로 바꾸어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 그림, 도식 등을 활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자료를 요약하여 유창하게 발표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글의 목적이나 필자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다양한 단서를 활용하여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자신의 말로 바꾸어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선별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는 글을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정확하게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논리적으로 쓸 수 있다.

B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화자의 의도나 심정, 내용의 전반적인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단서를 활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문장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비교적 설득력 있게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비교적 정확하게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비교적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다.

표, 그림, 도식 등을 활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자료를 요약하여 발표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전체적으로 내용을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글의 목적이나 필자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단서를 활용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완전한 문장으로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을 비교적 적절하게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는 글을 비교적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며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쓸 수 있다.

C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주요 흐름을 대체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화자의 의도나 심정,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직접적 근거가 되는 일부 단서를 활용하여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주요 구문이나 어구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제시된 단서나 어휘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대략적으로 주고받을 수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대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표, 그림, 도식 등을 주어진 어휘를 토대로 설명할 수 있으며, 자료를 요약하여 대략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주요 흐름을 대체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글의 목적이나 필자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직접적 근거가 되는 일부 단서를 활용하여 대략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제시된 단서나 예시를 참고하여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부분적으로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의견이나 감정을 대략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는 글을 대략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대략적으로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대략적으로 쓸 수 있다.

D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화자의 의도나 심정, 내용의 논리적 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단어를 나열하는 수준으로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일부 제시된 단서를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부분적으로 주고받고,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표, 그림, 도식 등을 일부 핵심 어휘만을 사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자료를 요약하여 부분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대체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글의 목적이나 필자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 함축적인 의미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어구를 활용하여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반복적으로 제시된 단서나 예시를 참고하여 요약하는 글을 쓸 수 있고, 필요한 정보를 부분적으로 파악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을 부분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는 글을 부분적인 근거를 제시하며 쓸 수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부분적으로 쓸 수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부분적으로 쓸 수 있다.

E

다양한 주제에 관한 말이나 대화를 듣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화자의 의도나 심정, 내용의 논리적 관계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을 기초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말할 수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자신의 의견이나 감정을 부분적으로 표현할 수 있고, 서로의 의견을 부분적으로 주고받고, 상황에 맞게 의사소통 전략을 부분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중심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고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 표, 그림, 도식 등을 일부 어휘를 그대로 사용하여 말할 수 있고 자료를 요약하여 부분적으로 발표하는 평가 계획 어려움이 있다.

다양한 주제에 관한 글을 읽고, 내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중심 내용과 세부 내용, 글의 목적이나 필자의 태도, 글의 논리적 순서와 인과관계를 반복적으로 제시되는 몇몇 어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나 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제한적이다.

비교적 다양한 주제에 관해 듣거나 읽고, 요약하는 글을 쓰거나 필요한 정보를 파악하는 평가 계획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 주제에 관해 의견이나 감정을 단어를 나열하는 수준으로 표현하고, 다른사람의 의견과 비교․대조하는 글을 근거를 제시하며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학업과 관련된 보고 서를 주어진 형식과 목적에 맞게 쓰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해 짧은 에세이를 간단히 쓰는 데 어려움이 있다.






4. 인문통합수학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인문수학통합((주) 미래엔))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집합과 명제

(1. 집합)

① 집합의 개념을 이해하고, 집합을 표현할 수 있다.

1. 집합의 개념과 표현

통합1111. 집합의 개념 및 표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집합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실생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 집합의 개념과 표현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집합의 개념과 표현이 맞는가를 묻는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②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이해한다.

2.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

통합1112.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활용하여 집합의 원소를 추론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된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이해하여 집합의 원소를 정확히 찾을 수 있다.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하고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두 집합 사이의 포함 관계를 기호를 사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③ 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다.

3. 집합의 연산/4. 집합의 연산법칙

통합1113-1. 집합의 연산법칙을 활용하여 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다.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복잡한 형태의 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다.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하여 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다.

주어진 집합에 대하여 교집합, 합집합, 여집합과 차집합의 연산을 할 수 있다.

통합1113-2.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설명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활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합집합의 원소의 개수를 구하는 공식을 말할 수 있다.

Ⅰ. 집합과 명제

(2. 명제)

① 명제와 조건의 뜻을 알고, ‘모든’, ‘어떤’을 포함한 명제를 이해한다.

 

1. 명제의 조건

통합1121.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다.

실생활과 관련된 명제에 대한 참, 거짓을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조건의 진리집합을 구하여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하고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조건의 진리집합을 구하여 명제의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다.

② 명제의 역과 대우를 이해한다.

2.명제의 역과 대우

통합1122. 명제의 역과 대우를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추론할 수 있다.

명제의 역과 대우를 말하고, 참, 거짓을 판단하며 그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명제의 역과 대우를 말하고, 참, 거짓을 판단할 수 있다.

명제의 역과 대우를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집합과 명제

(2. 명제)

③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이해한다.

3.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통합1123.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을 판별하고, 조건의 진리집합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을 판별할 수 있다.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의 뜻을 말할 수 있다.

④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 귀류법을 이해한다.

4. 대우를 이용한 증명법과 귀류법

통합1124. 명제의 대우를 이용하여 참인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명제의 대우를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주어진 명제의 대우를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하는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

명제의 대우를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의 참, 거짓을 판별할 수 있다.

⑤ 절대부등식의 의미를 이해하고, 간단한 절대부등식을 증명할 수 있다.

5. 절대부등식

통합1125. 절대부등식을 이용하여 명제를 참, 거짓을 추론하고 최댓값,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절대부등식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고, 부등식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절대부등식을 이용하여 간단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절대부등식을 이용하여 간단한 명제의 참, 거짓을 말할 수 있다.

Ⅱ. 함수

(1. 함수)

① 함수의 뜻을 알고, 그 그래프를 이해한다.

1. 여러가지 함수

통합1211. 여러 가지 함수의 뜻과 그 그래프를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해하여 정의역과 치역을 구할 수 있다.

함수의 정의역과 치역의 뜻을 말할 수 있다.

② 함수의 합성을 이해하고, 합성함수를 구할 수 있다.

2. 합성함수

통합1212. 합성함수를 구하고 합성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합성이 정의될 조건 및 합성함수의 교환법칙과 결합법칙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합성이 정의될 조건을 설명하고, 합성함수를 구할 수 있다.

간단한 두 함수의 합성함수를 구할 수 있다.

③ 역함수의 뜻을 알고, 주어진 함수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3. 역함수

통합1213. 역함수를 구하고 역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역함수의 존재 조건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역함수의 존재 조건을 설명하고, 주어진 함수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간단한 함수의 역함수를 구할 수 있다.

Ⅱ. 함수

(2. 유리함수와 무리함수)

① 유리함수

 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고, 그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한다.

 

1. 유리함수

통합1221. 유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유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실생활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유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유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② 무리함수

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고, 그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한다.

2. 무리함수

통합1222. 무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무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실생활에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무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무리함수 의 그래프 개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Ⅲ. 수열

(1. 등차수열과 등비수열)

① 등차수열의 뜻을 알고, 일반항,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1. 등차수열

통합1311-1.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통합1311-2.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특정한 항들의 합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활용하여 특정한 항들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등차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② 등비수열의 뜻을 알고, 일반항,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 등비수열

통합1312-1.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추론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이용하여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통합1312-2.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특정한 항들의 합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활용하여 특정한 항들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Ⅲ. 수열

(2. 여러 가지 수열의 합)

의 뜻을 알고, 그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1. 의 뜻과 성질

통합1321. 의 성질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합을 기호 를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② 여러 가지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2. 여러 가지 수열의 합

통합1322. 여러 가지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수열의 첫째항부터 제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자연수의 거듭제곱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Ⅲ. 수열

(3. 수학적 귀납법)

①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한다.

 

1. 수열의 귀납적 정의

통합1331.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을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징을 파악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을 귀납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②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2. 수학적 귀납법

통합1332. 수학적 귀납법의 이용하여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를 증명하고 설명할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적 귀납법을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수학적 귀납법에 의한 증명 과정을 완성할 수 있다.

Ⅳ. 지수와 로그

(1. 지수)

①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을 알고, 그 성질을 이해한다.

1. 거듭제곱근

통합1411.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거듭제곱근 기호를 사용하여 표현된 수의 대소를 비교할 수 있다.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거듭제곱근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② 지수가 유리수, 실수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2. 지수의 확장

통합1412. 유리수, 실수까지 지수가 확장될 수 있음을 이용하여  식을 계산할 수 있다.

지수가 실수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지수가 유리수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지수가 정수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③ 지수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다.

2. 지수의 확장

통합1413. 지수법칙을 활용하여 식의 값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수법칙을 활용하여 식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수법칙을 활용하여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지수법칙을 활용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Ⅳ. 지수와 로그

(2. 로그)

① 로그의 뜻을 알고, 그 성질을 이해한다.

1. 로그의 뜻과 성질

통합1421.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복잡한 식을 계산하고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을 이용하여 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② 상용로그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2. 상용로그

통합1422. 상용로그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과 상용로그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과 상용로그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로그의 성질과 상용로그표를 이용하여 간단한 상용로그의 값을 구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Ⅴ. 수열의 극한

(1. 수열의 극한)

① 수열의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이를 판별할 수 있다.

 

 

1. 수열의 수렴과 발산

통합1511.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고, 극한값의 대소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렴하는 두 수열의 합, 차, 곱, 몫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②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2. 극한값의 계산

통합1512. 수열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극한값을 구할 수 있고, 극한값의 대소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간단한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극한에 관한 성질을 이용하여 수렴하는 두 수열의 합, 차, 곱, 몫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③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3. 등비수열의 수렴과 발산

통합1513.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합, 차, 곱, 몫의 극한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비수열의 합, 차, 곱, 몫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간단한 등비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Ⅴ. 수열의 극한

(2. 급수)

① 급수의 수렴, 발산의 뜻을 알고, 이를 판별할 수 있다.

 

1. 급수의 뜻과 성질

통합1521-1. 여러 가지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수렴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급수의 합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수렴하는 여러 가지 다양한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간단한 조작으로 일반항을 변형하여 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통합1521-2. 급수와 수열의 극한값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수렴하는 급수와 수열의 극한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극한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수렴하는 급수와 수열의 극한값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간단한 수열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급수와 수열의 극한값 사이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② 등비급수의 뜻을 알고, 그 합을 구할 수 있다.

2. 등비급수와 그 활용

통합1522. 여러 가지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등비급수의 합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등비급수의 합을 구할 수 있다.

등비급수가 수렴하기 위한 조건을 말할 수 있다.

③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등비급수와 그 활용

통합1523.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무한히 반복되는 닮음도형을 활용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등비급수를 활용하여 무한히 반복되는 닮음도형을 활용하는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등비급수의 합의 공식을 이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Ⅵ. 함수의 극한과 연속

(1. 함수의 극한)

① 함수의 극한의 뜻을 안다.

 

1. 함수의 극한의 뜻

통합1611. 함수의 극한에 대한 수렴, 발산을 추론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을 추론하고, 함수의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값이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활용하여 미정계수를 포함한 함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함수의 우극한값과 좌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②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고,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2. 함수의 극한값의 계산

통합1612.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포함한 함수의 극한값을 구하고 함수의 극한값의 대소 관계를 비교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다항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Ⅵ. 함수의 극한과 연속

(2. 함수의 연속)

① 함수의 연속의 뜻을 안다.

 

1. 연속함수

통합1621.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포함한 함수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연속성을 이용하여 미정계수를 포함한 함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함수의 연속성을 판단할 수 있다.

②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2. 연속함수의 성질

통합1622. 연속함수의 성질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연속성을 추론할 수 있다.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연속성을 추론하고 주어진 구간에서 함수의 최댓값, 최솟값을 구할 수 있다.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연속성을 추론할 수 있다.

연속함수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의 연속성을 판별할 수 있다.

Ⅶ. 다항함수의 미분법

(1. 미분계수)

미분계수의 기하학적 의미를 안다. 

1. 미분계수

통합1711. 미분계수의 정의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활용하여 함수의 극한값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미분계수의 정의를 활용하여 함수의 극한값을 구할 수 있다.

간단한 함수의 주어진 점에서의 미분계수를 구할 수 있다.

②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의 관계를 이해한다.

2. 미분의 가능성과 연속성

통합1712.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의 관계를 활용하여 미정계수가 포함된 함수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미분가능성과 연속성의 관계를 활용하여 미정계수가 포함된 함수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함수의 연속성과 미분가능성을 판별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Ⅶ. 다항함수의 미분법

(2. 도함수)

①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을 알고,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1. 도함수

통합1721.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을 유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다항함수의 도함수를 구할 수 있다.

함수의 실수배, 합, 차, 곱의 미분법을 말할 수 있다.

Ⅶ. 다항함수의 미분법

(3. 도함수의 활용)

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1. 접선의 방정식

 

통합1731. 접선의 방정식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 위의 주어진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②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이해한다.

2. 평균값의 정리

통합1732. 함수에 대한 평균값 정리를 활용하여 도함수의 성질을 추론할 수 있다.

평균값 정리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주어진 구간에서 평균값 정리를 만족하는 상수의 값을 구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이용하여 평균값 정리를 설명할 수 있다.

③ 함수의 증가, 감소, 극대와 극소를 판정하고 설명할 수 있다.

3. 함수의 증가와 감소/4. 함수의 극대와 극소

통합1733. 함수의 증가, 감소, 극대와 극소를 추론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증가, 감소, 극대, 극소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조건에 맞는 함수를 추론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증가, 감소한 구간을 찾고 극대, 극소인 점을 찾을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증가하는 구간과 감소하는 구간을 찾고 극대, 극소인 점을 찾을 수 있다.

④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다.

5. 함수의 그래프

통합1734.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다.

다항함수의 증가, 감소를 표로 나타내고 그래프의 개형을 그릴 수 있다.

⑤ 방정식과 부등식에 활용할 수 있다.

6. 방정식과 부등식에의 활용

통합1735. 방정식과 부등식의 해의 존재성을 추론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찾아 주어진 방정식과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추론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의 개형을 찾아 주어진 방정식과 부등식의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을 추론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그래프를 보고 방정식의 실근의 개수를 말할 수 있다.

⑥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에 활용할 수 있다.

7. 속도와 가속도

통합1736.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성질을 묻는 문제를 속도와 가속도를 이용하여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성질을 묻는 문제를 속도와 가속도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속도와 가속도를 구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Ⅷ. 다항함수의 적분법

(1. 부정적분)

함수의 실수배, 합, 차의 부정적분을 알고, 다항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1. 부정적분의 뜻/2. 부정적분의 계산

통합1811. 다항함수의 부정적분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함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고 문제 조건에 맞는 적분상수를 정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다함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하고 문제 조건에 맞는 적분상수를 정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부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Ⅷ. 다항함수의 적분법

(2. 정적분)

① 정적분의 뜻을 안다.

1. 구분구적분과 정적분

통합1821. 다항함수의 정적분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에 맞는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정적분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다항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부정적분과 정적분의 관계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적분을 구할 수 있다.

2. 정적분과 부정적분의 관계/3.정적분의 계산

통합1822. 적분과 미분의 관계 및 정적분과 급수의 관계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 및 정적분과 급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주어진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 및 정적분과 급수의 관계를 이용하여 간단한 함수의 정적분을 계산할 수 있다.

적분과 미분의 관계 및 정적분과 급수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Ⅷ. 다항함수의 적분법

(3. 정적분의 활용)

①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1. 넓이

통합1831. 곡선으로 둘러싸인 여러 가지 모양의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곡선으로 둘러싸인 다양한 모양의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곡선과 축 또는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곡선과 축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를 구할 수 있다.

② 정적분을 활용하여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 속도와 거리

통합1832. 정적분을 활용하여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적분을 활용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위치와 점이 움직인 거리에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정적분을 활용하여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위치와 점이 움직인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수직선 위를 움직이는 점의 위치와 점이 움직인 거리를 정적분 기호로 나타낼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Ⅰ. 집합과 명제

A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여러 개념들이 혼합된 문제와 실생활 문제를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해 해결하며,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판단할 수 있고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B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이를 문제에 적용할 수 있고,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간단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C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기호를 사용해 표현할 수 있고,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이해하여 기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한 간단한 명제의 증명과정에서 빈 칸 채우기를 할 수 있다.

D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절대부등식 등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귀류법, 대우법을 구별할 수 있다.

E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절대부등식, 귀류법, 대우법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Ⅱ. 함수

A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등의 성질을 이해하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역함수적인 성질을 이해하여 여러 개념들이 혼합된 문제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B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들 함수의 그래프를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C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등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들 함수의 간단한 식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를 구별할 수 있고 이들 함수의 그래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들 함수의 함숫값을 구할 수 있다.

E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들 함수의 그래프를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Ⅲ. 수열

A

수열의 규칙을 파악하여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고,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일반항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일반항을 유도할 수 있고, 주어진 수열을 귀납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를 증명을 할 수 있다.

B

수열의 규칙을 파악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으며,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찾을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의 증명을 완성할 수 있다.

C

수열의 뜻을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고,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의 공식을 말할 수 있다.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기능적으로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찾을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D

수열의 뜻을 이해하고,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첫째항과 공차, 공비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의 공식으로부터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고,  의 뜻을 이해하여 간단한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다.

E

수열의 뜻, 등차수열, 등비수열, 수열의 합의 뜻을 이해하려 노력하며, 의 뜻을 이해하여 간단한 수열의 합을 구하려 노력한다.

 Ⅳ. 지수와 로그

A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지수가 실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실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수가 실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실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C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말할 수 있다. 지수가 유리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유리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D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지수가 정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정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E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지수가 정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정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Ⅴ. 수열의 극한

A

수열의 일반항, 수렴 및 발산, 극한, 등비수열의 극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수열의 수렴과 발산, 극한, 등비수열의 극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수열의 수렴과 발산, 극한, 등비수열의 극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수열의 수렴과 발산, 극한, 등비수열의 극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수열의 수렴과 발산, 극한, 등비수열의 극한, 급수의 수렴과 발산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Ⅵ. 함수의 극한과 연속

A

함수의 극한, 연속, 최대・최소의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함수의 극한, 연속, 최대・최소의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에 대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함수의 극한, 연속, 최대・최소의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

함수의 극한, 연속, 최대・최소의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함수의 극한, 연속, 최대・최소의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Ⅶ. 다항함수의 미분법

A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의 정리, 극값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의 정리, 극값에 대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의 정리, 극값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의 정리, 극값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미분계수, 미분가능한 함수, 도함수, 접선의 방정식, 평균값의 정리, 극값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Ⅷ. 다항함수의 적분법

A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 미적분의 기본정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 미적분의 기본정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대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 미적분의 기본정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 미적분의 기본정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다항함수의 부정적분, 구분구적법, 정적분, 미적분의 기본정리, 곡선으로 둘러싸인 도형의 넓이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A

∙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여러 개념들이 혼합된 문제와 실생활 문제를 집합의 연산법칙을 이용해 해결하며,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판단할 수 있고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등의 성질을 이해하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역함수적인 성질을 이해하여 여러 개념들이 혼합된 문제와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 수열의 규칙을 파악하여 일반항을 구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고, 사이의 관계를 이용하여 일반항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일반항을 유도할 수 있고, 주어진 수열을 귀납적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를 증명을 할 수 있다.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지수가 실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실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를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실생활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설명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적 기호, 언어 등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할 수 있다.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하고 활용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과 주어진 구간에서의 연속을 판별할 수 있으며 최대, 최소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미분과 적분의 원리와 성질을 이해하고 주어진 함수를 미분, 적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이를 문제에 적용할 수 있고,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하여 주어진 간단한 명제를 증명할 수 있다.

∙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등의 성질을 이해하고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역함수적인 성질을 이해하여 이를 간단한 실생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 수열의 규칙을 파악할 수 있다.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을 구할 수 있으며,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찾을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자연수 에 관한  명제의 증명을 완성할 수 있다.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지수가 실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실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를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을 일부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적절한 아이디어로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할 수 있다.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하고 간단한 활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함수의 극한과 주어진 구간에서의 연속을 판별할 수 있으며 최대, 최소 정리와 사이값의 정리를 활용하여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분과 적분의 기본 성질을 이용하여 주어진 함수를 미분, 적분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하여 간단       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을 이해하여 기호를 사용해 표현할 수 있고, 조건의 진리집합과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에 대한 관계를 이해하여 기능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절대부등식과 귀류법, 대우법을 이용한 간단한 명제의 증명과정에서 빈 칸 채우기를 할 수 있다.

∙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 등의 성질을 이해하고 이들 함수의 간단한 식의 그래프를 그릴 수 있으며, 함수와 관련된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 수열의 뜻을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고,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일반항()과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의 공식을 말할 수 있다. 의 성질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수열의 합을 기능적으로 구할 수 있다. 수열의 귀납적 정의를 이해하여 특정한 항의 값을 찾을 수 있으며, 수학적 귀납법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말할 수 있다. 지수가 유리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유리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식을 간단히 정리할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를 이해하고 간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주어진 형식에 따라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간단한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의 수렴, 발산을 판별할 수 있다.

간단한 함수의 극한과 그래프의 개형을 보고 구간에서의 연속을 판별할 수 있다.

미분과 적분의 기본 성질을 이해하고 간단한 함수를 미분, 적분할 수 있다.

D

∙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절대부등식 등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귀류법, 대우법을 구별할 수 있다.

∙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를 구별할 수 있고 이들 함수의 그래프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들 함수의 함숫값을 구할 수 있다.

∙ 수열의 뜻을 이해하고, 등차수열과 등비수열의 첫째항과 공차, 공비를 각각 판단할 수 있다. 첫째항부터 번째 항까지의 합()의 공식으로부터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고,  의 뜻을 이해하여 간단한 수열의 합을 구할 수 있다. 귀납적으로 정의된 수열의 특정한 항의 값을 구할 수 있다.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할 수 있다. 지수가 정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정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며,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문제 해결이 다소 미흡하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프로젝트 탐구 주제 학습에 참여하여 연구 활동 내용을 이해한다.

간단한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수렴, 발산을 판별하는 능력이 미흡하다.

함수의 극한과 연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판별하는 능력이 미흡하다.

미분과 적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함수를 미분하고 적분하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

E

∙ 집합의 정의와 두 집합 사이의 포함관계, 집합의 연산 성질, 명제의 역, 이, 대우, 충분조건,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절대부등식, 귀류법, 대우법 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한다.

∙ 함수의 뜻, 함수의 합성, 역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의 뜻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이들 함수의 그래프를 구분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수열의 뜻, 등차수열, 등비수열, 수열의 합의 뜻을 이해하려 노력하며, 의 뜻을 이해하여 간단한 수열의 합을 구하려 노력한다.

∙ 거듭제곱과 거듭제곱근의 뜻과 성질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지수가 정수까지 확장됨을 이해하고 정수 지수에 대한 지수법칙을 이해하려 노력한다. 로그의 뜻과 성질 및 상용로그를 이해하여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문제 해결에 노력을 하고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한다. 프로젝트 탐구 주제 학습에 참여하여 연구 활동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

간단한 (등비)수열과 (등비)급수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수렴, 발산을 판별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고     있다.

함수의 극한과 연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극한과 연속을 판별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고 있다.

미분과 적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함수를 미분하고 적분하기 위해 매우 노력하고 있다.

  


 

5. 확률과 통계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확률과 통계)  

단원명

중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I.순열과 조합

1. 순열

①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11.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합의 법칙, 곱의 법칙을 적절히 활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직접 경우를 나열할 수 있거나 수형도를 이용할 수 있는 간단한 상황에서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② 순열의 뜻을 알고,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21. 순열의 뜻을 알고,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순열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순열의 뜻을 이해하고,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순열의 뜻을 말할 수 있고 을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③ 원순열, 중복순열,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1)

확통1123-1. 원순열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원순열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원순열의 뜻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원순열의 뜻을 말할 수 있고 을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원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23-2. 중복순열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중복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중복순열을 이해하고 중복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중복순열의 뜻을 말할 수 있고 을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복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23-3.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을 이해하고 그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의 뜻을 말할 수 있고  단, 를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같은 것이 있는 순열의 수를 구할 수 있다.

2. 조합

① 조합의 뜻을 알고,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22. 조합의 뜻을 알고,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조합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조합의 뜻을 이해하고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조합의 뜻을 말할 수 있고, 을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② 중복조합을 이해하고, 그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24. 중복조합을 이해하고, 그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중복조합의 수를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중복조합의 뜻을 이해하고 그 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중복조합의 뜻을 말할 수 있고 을 쉽게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복조합의 수를 구할 수 있다.

③ 이항정리를 이해한다.

확통1141/1142. 이항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2)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규칙적인 여러 개의 조합이 연산된 식의 값을 구할 수 있고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④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항정리를 이용하여 항이 두 개인 식의 거듭제곱의 전개식에서 특정한 항의 계수를 구할 수 있다.

항이 두 개인 식의 거듭제곱인 에서 이항정리를 말할 수 있다.

3. 분할

① 유한집합을 서로소인 몇 개의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31. 유한집합을 서로소인 몇 개의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유한집합을 서로소인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유한집합을 서로소인 몇 개의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간단한 유한집합을 서로소인 집합의 합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② 자연수를 몇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확통1132. 자연수를 몇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자연수를 몇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모든 방법의 수를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수를 몇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의 수를 구할 수 있다.

자연수를 여러 개의 자연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3)


단원명

중단원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II.확률

1. 확률의 뜻과 활용

① 통계적 확률과 수학적 확률의 의미를 이해한다.

확통1211/1212. 통계적 확률, 수학적 확률의 의미와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해한다.4)

‘시행’, ‘사건’과 관련된 집합과 관련된 수학적 확률과 통계적 확률의 의미를 이해하고 확률의 기본 성질을 설명할 수 있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설명할 수 있다.

확률의 의미를 알고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해한다.

간단한 수학적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

② 확률의 기본 성질을 이해한다.

③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확통1213.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구하고 풀이 과정을 설명할 수 있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구할 수 있다.

두 사건 각각의 확률과 두 사건의 곱사건의 확률이 주어진 상황에서 확률의 덧셈정리를 이용하여 확률을 구할 수 있다.

④ 여사건의 확률의 뜻을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확통1214. 여사건의 확률의 뜻을 알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여사건을 이용하여 확률을 구하고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여사건을 이용하여 확률을 구할 수 있다.

구하고자 하는 확률을 라고 할 때, 여사건 가 일어나는 경우의 수를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에서 여사건을 이용하여 확률을 구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순열과 조합>

 순열과 조합 – 확률과통계

A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분할, 이항정리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분할, 이항정리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여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분할, 이항정리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분할, 이항정리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간단한 계산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한다.

E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순열, 중복순열, 조합, 중복조합, 분할, 이항정리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을 시도한다.


<확률>

 확률 –확률과통계

A

수학적 확률, 확률의 기본정리, 확률의 덧셈 정리, 여사건의 확률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 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수학적 확률, 확률의 기본정리, 확률의 덧셈 정리, 여사건의 확률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수학적 확률, 확률의 기본정리, 확률의 덧셈 정리, 여사건의 확률의 뜻을 이해하고,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D

수학적 확률, 확률의 기본정리, 확률의 덧셈 정리, 여사건의 확률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간단한 계산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한다.

E

수학적 확률, 확률의 기본정리, 확률의 덧셈 정리, 여사건의 확률의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을 시도한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A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이해하기,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구하기, 분할과 이항정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등의 영역에서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능숙하게 문제를 해결하고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이해하기,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구하기, 분할과 이항정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등의 영역에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하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이해하기,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구하기, 분할과 이항정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등의 영역에서 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한다.

D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이해하기,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구하기, 분할과 이항정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등의 영역에서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간단한 계산문제를 기능적으로 해결한다.

E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 이해하기, 순열과 조합을 이용하여 경우의 수 구하기, 분할과 이항정리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등의 영역에서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해결을 시도한다.

6. 기하와 벡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기하와벡터)  

단원명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평면

곡선

기벡1111. 포물선의 뜻을 알고,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포물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간단한 포물선5)의 방정식, 초점과 꼭짓점의 좌표, 준선과 축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포물선의 뜻과 초점, 꼭짓점, 준선, 축의 뜻을 말할 수 있다.

기벡1112. 타원의 뜻을 알고, 타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타원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간단한 타원6)의 방정식, 초점과 꼭짓점의 좌표, 장축과 단축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타원의 뜻과 초점, 꼭짓점, 장축, 단축의 뜻을 말할 수 있다. 

기벡1113. 쌍곡선의 뜻을 알고,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쌍곡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간단한 쌍곡선7)의 방정식, 초점의 좌표, 주축의 길이, 점근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쌍곡선의 뜻과 초점, 주축, 점근선의 뜻을 말할 수 있다.

기벡1121. 음함수를 미분하여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음함수의 뜻을 알고, 간단한8) 음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기벡1122.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를 미분하여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과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곡선 위의 한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매개변수로 나타낸 함수의 뜻을 알고, 매개변수로 나타낸 간단한9) 함수를 미분할 수 있다.

Ⅱ.

평면

벡터

기벡1211/1212. 벡터의 뜻을 알고, 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할 수 있다.

벡터의 뜻을 알고, 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벡터의 뜻을 알고, 벡터의 연산에 대한 성질을 이용하여 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할 수 있다.

그림으로 주어진 벡터의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할 수 있다.

기벡1221. 위치벡터의 뜻을 알고, 평면벡터와 좌표의 대응을 이해한다.

위치벡터의 뜻을 이해하고, 평면벡터와 좌표의 대응을 설명할 수 있다.10)

위치벡터의 뜻을 이해하고, 평면벡터를 성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위치벡터의 뜻을 말할 수 있고, 간단한 평면벡터11)를 성분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벡1222. 두 평면벡터의 내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벡터의 내적의 뜻을 이해하고12), 두 평면벡터의 내적을 구할 수 있다.

두 평면벡터의 내적의 뜻을 말할 수 있고, 두 평면벡터의 내적을 구할 수 있다.

간단한13) 두 평면벡터의 내적을 구할 수 있다.

기벡1223-1.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방향벡터의 뜻을 알고, 좌표평면에서 간단한 직선14)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기벡1223-2.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구하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벡터를 이용하여 원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좌표평면에서 간단한 원15)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기벡1231. 미분법을 이용하여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분법을 이용하여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미분법을 이용하여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간단한 문제16)를 해결할 수 있다.

속도와 가속도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기벡1232. 정적분을 이용하여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적분을 이용하여 속도와 거리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정적분을 이용하여 속도와 거리의 관계를 파악하고 속도와 거리에 대한 간단한 문제17)를 해결할 수 있다.

속도를 나타내는 함수와 위치를 나타내는 함수 사이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1) 평면 곡선

수준

지식과 수행 중심으로 도달점 행동 특성 진술

A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이차곡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실생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음함수의 미분법을 이용하여 이차곡선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는 과정과 그 결과의 현실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B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와 성질을 이해하고 이차곡선의 방정식과 접선의 방정식을 작성하여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차곡선의 방정식과 접선의 방정식을 작성하여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2) 평면 벡터

수준

지식과 수행 중심으로 도달점 행동 특성 진술

A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를 충분히 이해하여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실생활 문제를 능숙하게 해결할 수 있으며, 미분법을 이용하여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과 그 결과의 현실적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B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를 이해하여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간단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다.

C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를 이해하고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여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이해가 다소 미흡하지만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E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이해가 미흡한 상태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수준

설 명

A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를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물론 실생활에 활용 할 수 있으며 설명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수학적 기호, 언어 등을 정확하게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독창적이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할 수 있다.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을 충분히 이해하고 활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음.

•평면벡터를 이용하여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음.

B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정의와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분적으로 미흡하나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을 일부 사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적절한 아이디어로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하고 발표할 수 있다.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을 이해하고 접선의 방정식을 구하여 간단한 활용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평면벡터를 이용하여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속도와 가속도에 대한 간단한 활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C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를 간단히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주어진 형식에 따라 프로젝트 탐구 주제를 계획하고 연구하여 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이차곡선의 방정식과 접선의 방정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

•평면벡터를 이용하여 원과 직선의 방정식을 작성하고 문제를 기계적으로 해결할 수 있음.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간단한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만을 해결 가능하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하여 수학적 기호, 언어 및 사실에 대한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프로젝트 탐구 주제 학습에 참여하여 연구 활동 내용을 이해한다.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 접선의 방정식에 관한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기초적인 개념 확인 수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E

문제해결 과정에서 사용되는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문제 해결에 노력을 하고 있다. 관찰 및 면담 평가에서 토론 및 면담 과제에 참여한다. 프로젝트 탐구 주제 학습에 참여하여 연구 활동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차곡선의 정의와 성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이차도형의 방정식을 작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평면벡터의 정의와 좌표와의 대응관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7. 한국사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한국사)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③ 조선 전기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를 살펴보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양난이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파악한다.

국1233. 조선 전기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를 살펴보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양 난이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 및 양 난이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를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조선 전기 대외 관계의 특징을 알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을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

④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에서 세도 정치까지의 정치적 변동 상황을 살펴보고, 수취 체제 정비 노력 등 제도 개혁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한다.

국1234.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에서 세도 정치까지의 정치적 변동 상황을 살펴보고, 수취 체제 정비 노력 등 제도 개혁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정치 변동 상황을 시기별로 이해하고, 수취 체제를 포함한 제도 개혁의 배경과 내용 및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중요한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수취 제도 개혁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흐름을 알고, 수취 체제 개혁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

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특히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경제적 변화 모습을 신분제의 변동과 연계하여 이해한다.

국1235.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고, 특히 농업・상・무역 등에서 나타난 경제적 변화 모습을 신분제의 변동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 모습과 신분제의 변동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조선 후기 농업과 상업 등의 경제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를 말할 수 있다.

⑥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파악한다.

국1236.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파악하고, 이를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에 나타난 개혁 사상을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주요 특징을 말할 수 있다.

⑦ 서민 문화의 형성과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이해한다.

국1237. 서민 문화의 형성과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장르별로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대표적인 장르를 나열하고,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Ⅳ.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①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살펴보고, 서양 세력의 침략적 접근 속에서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 노력을 파악한다.

 

국1241.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살펴보고, 서양 세력의 침략적 접근 속에서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서구 제국주의의 특성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서양 세력의 침략적 접근 속에서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②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살펴보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과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파악한다.

 

 

국1242.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살펴보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과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파악하며,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의 사례를 들고,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알고, 개항 이후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개화 정책을 둘러싼 갈등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③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 내용을 살펴본다.

 

 

 

국1243.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 사항과 추진 과정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이해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이 갖는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개혁 내용을 통해 근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알고, 갑오개혁이 근대적 개혁이었음을 말할 수 있다.

④ 독립 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이 추진한 광무개혁의 내용을 통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을 파악한다.

 

국1244. 독립 협회의 활동과 대한 제국이 진한 광무개혁의 내용을 통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을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말할 수 있다.

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사상적 배경을 이해한다.

 

국1245.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 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사 상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주요 단체의 활동 및 그 사상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의병 운동 및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

⑥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살펴본다.

 

 

국1246.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과 경제 수호 운동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변화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과 신 문물의 유입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⑦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에 의해 이루어진 독도 불법 편입의 문제점과 간도 협약의 부당성에 대하여 파악한다.

 

 

 

 

국1247.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에 의해 이루어진 독도 불법 편입의 문제점과 간도 협약의 부당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독도의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바탕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사료를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 및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알며,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간도 협약의 부당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Ⅴ.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①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파악한다.

 

국1251.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의 국제 정세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내외 정세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

②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과 경제 수탈 정책의 내용을 파악한다.

 

 

국1252.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과 경제 수탈 정책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의 시기별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시기별 식민 통치 방식의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과 경제 수탈 정책을 열거할 수 있다.

③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이해한다.

 

 

 

국1253.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 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국내외적 배경 및 전개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자료 해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의의를 말할 수 있다.

④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족 운동의 특징을 파악한다.

 

 

 

국1254.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배경을 파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분야별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다양한 국내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를 나열할 수 있다.

⑤ 일제 강점기에 나라 밖의 여러 지역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파악한다.

 

국1255. 일제 강점기에 나라 밖의 여러 지역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해외 각지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지역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말할 수 있다.

⑥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파악한다.

 

 

국1256.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나타난 사회 모습을 열거할 수 있다.

⑦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본격화된 건국 노력을 설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파악한다.

 

 

 

 

국1257.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본격화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관련 자료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운동의 사례를 말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A

조선 전기의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 및 양 난이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정치 변동 상황을 시기별로 이해하고, 수취 체제를 포함한 제도 개혁의 배경과 내용 및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 모습과 신분제의 변동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파악하고, 이를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장르별로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B

조선 전기의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정치 변동 상황을 시기별로 이해하고, 수취 체제를 포함한 제도 개혁의 배경과 내용 및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 모습과 신분제의 변동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파악하고, 이를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C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를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중요한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수취 제도 개혁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에 나타난 개혁 사상을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D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를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중요한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수취 제도 개혁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에 나타난 개혁 사상을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E

조선 전기 대외 관계의 특징을 알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을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흐름을 알고, 수취 체제 개혁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조선 후기 농업과 상업 등의 경제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를 말할 수 있다.실학, 서학, 동학 등의 주요 특징을 말할 수 있다.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대표적인 장르를 나열하고,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Ⅳ.국제 질서의 변동과 근대 국가 수립 운동

A

서구 제국주의의 특성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서양 세력의 침략적 접근 속에서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파악하며,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 사항과 추진 과정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이해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주요 단체의 활동 및 그 사상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과 경제 수호 운동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변화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도의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바탕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사료를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 및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B

서구 제국주의의 특성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비교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을 파악하며,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 사항과 추진 과정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반침략성을 이해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주요 단체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과 경제 수호 운동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변화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도의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바탕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사료를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 및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C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의 사례를 들고,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이 갖는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개혁 내용을 통해 근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알며,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D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의 사례를 들고,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이 갖는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설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개혁 내용을 통해 근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알며,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E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알고, 개항 이후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개화 정책을 둘러싼 갈등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알고, 갑오개혁이 근대적 개혁이었음을 말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말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의병 운동 및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과 신 문물의 유입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간도 협약의 부당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Ⅴ. 일제 강점과 민족 운동의 전개

A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의 시기별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국내외적 배경 및 전개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자료 해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배경을 파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분야별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해외 각지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관련 자료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B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의 시기별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국내외적 배경 및 전개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배경을 파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해외 각지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C

제1차 세계 대전 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의 국제 정세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시기별 식민 통치 방식의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다양한 국내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지역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D

제1차 세계 대전 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의 국제 정세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시기별 식민 통치 방식의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다양한 국내 민족 운동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E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내외 정세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과 경제 수탈 정책을 열거할 수 있다.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의의를 말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를 나열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말할 수 있다.일제 강점기에 나타난 사회 모습을 열거할 수 있다.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운동의 사례를 말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 수준 작성

• 1학기

A

조선 전기의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 및 양 난이 동아시아 국제 정세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정치 변동 상황을 시기별로 이해하고, 수취 체제를 포함한 제도 개혁의 배경과 내용 및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 모습과 신분제의 변동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파악하고, 이를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장르별로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서구 제국주의의 특성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서양 세력의 침략적 접근 속에서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파악하며,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 사항과 추진 과정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이해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주요 단체의 활동 및 그 사상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과 경제 수호 운동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변화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도의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바탕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사료를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 및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의 시기별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국내외적 배경 및 전개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자료 해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배경을 파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분야별로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해외 각지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관련 자료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B

조선 전기의 사대교린 정책을 바탕으로 한 대외 관계의 내용을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정치 변동 상황을 시기별로 이해하고, 수취 체제를 포함한 제도 개혁의 배경과 내용 및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의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 모습과 신분제의 변동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의 사상 및 사회 개혁론을 파악하고, 이를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형성 과정과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서구 제국주의의 특성과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비교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을 파악하며,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의 원인과 전개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요구 사항과 추진 과정을 통해 동학 농민 운동이 반봉건적・반침략성을 이해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근대적 개혁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흐름과 주요 단체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과 경제 수호 운동을 파악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와 문화 변화에 대하여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독도의 역사적 연원과 내력을 바탕으로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사료를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 및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반박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제 정세 변동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국내의 정세 변화와 관련하여 나타난 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의 시기별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국내외적 배경 및 전개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다양하게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배경을 파악하고, 그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해외 각지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일어난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이전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단체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C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를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중요한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수취 제도 개혁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사회・경제적 변동과 관련하여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에 나타난 개혁 사상을 사회 변동 상황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서구 제국주의 열강의 아시아 침략 과정을 파악하고,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의 사례를 들고, 이를 둘러싼 갈등을 사상적 배경과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이 갖는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개혁 내용을 통해 근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알며,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의 국제 정세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시기별 식민 통치 방식의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다양한 국내 민족 운동의 내용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지역별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국제 냉전 체제에 대해 알고, 8・15 광복 이후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를 파악하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중요한 정치 상황을 파악하고, 수취 제도 개혁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근대 사회를 향한 새로운 움직임을 파악하고, 농업・상공업・무역 등에서 나타난 변화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실학, 서학, 동학 등에 나타난 개혁 사상을 설명할 수 있다. 서민 문화의 특징을 파악하고, 서민 문화가 조선 후기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의 내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파악하고, 개항 이후 조선이 추진한 개화 정책의 사례를 들고, 임오군란, 갑신정변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이 갖는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설명하고, 갑오개혁 때 추진된 개혁 내용을 통해 근대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알고, 그것이 근대 국민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이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 등 국권 수호 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고, 신 문물의 유입으로 인한 사회 변화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알며, 간도 협약 체결 과정과 그 부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후부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의 국제 정세 추이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우리나라의 정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제의 시기별 식민 통치 방식의 변화와 경제 수탈 정책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의 전개 과정을 파악하고, 이의 영향으로 세워진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역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3・1 운동 이후 전개된 다양한 국내 민족 운동의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의 사회・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습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노력을 파악하고, 우리의 독립과 관련된 국제 사회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있다.

E

조선 전기 대외 관계의 특징을 알고, 왜란과 호란의 전개 과정을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17세기 이후 붕당 정치기에서 세도 정치기까지의 흐름을 알고, 수취 체제 개혁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조선 후기 농업과 상업 등의 경제 분야에서 나타난 변화를 말할 수 있다.실학, 서학, 동학 등의 주요 특징을 말할 수 있다.조선 후기 서민 문화의 대표적인 장르를 나열하고, 그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흥선 대원군이 추진한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통치 체제 재정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동아시아 삼국의 문호 개방 과정을 알고, 개항 이후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등 개화 정책을 둘러싼 갈등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동학 농민 운동의 반봉건적・ 반침략적 근대 민족 운동의 성격을 알고, 갑오개혁이 근대적 개혁이었음을 말할 수 있다. 독립 협회의 활동과 광무개혁의 내용을 말할 수 있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맞서 일어난 의병 운동 및 애국 계몽 운동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개항 이후 외세의 경제적 침탈과 신 문물의 유입이 조선 사회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역사적 사실을 통해 증명하고, 일제의 독도 편입의 불법성과 간도 협약의 부당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는 시기까지의 국내외 정세에 대해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일제의 식민 통치 방식과 경제 수탈 정책을 열거할 수 있다.3・1 운동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의의를 말할 수 있다.3・1 운동 이후 전개된 국내 민족 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를 나열할 수 있다.해외에서 전개된 민족 운동을 말할 수 있다.일제 강점기에 나타난 사회 모습을 열거할 수 있다.태평양 전쟁 시기를 전후하여 국내외에서 전개된 건국 운동의 사례를 말할 수 있다.









8. 동아시아사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동아시아사)  

 1.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

기준

성취수준

①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삶을 농경과 유목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동1211. 동아시아의 자연환경과 그와 관련된 사람들의 삶을 농경과 유목을 중심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자연환경의 특징이 농경 및 유목 생활의 역사와 문화 형성에 미친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자연환경의 특징과 그 영향으로 나타난 농경과 유목 생활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농경과 유목 생활이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은 것임을 말할 수 있다.

②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다양성을 대표적인 유물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1212.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다양성을 대표적인 유물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유물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신석기 문화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하였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다양성을 대표적인 유물을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다양한 신석기 문화가 형성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동1213.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지역별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각 지역의 국가 성립 과정과 상호 교섭을 통한 발전 과정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였음을 안다.

  2.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

기준

성취수준

①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인구 이동과 전쟁을 중심으로 이해한다.

 

 

 

 

동1221.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인구 이동과 전쟁을 중심으로 이해한다.

 

 

 

 

  ∨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인구 이동과 전쟁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인구 이동과 전쟁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인구 이동과 전쟁으로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②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을 각국의 상호 필요라는 관점에서 파악한다.

 

 

 

 

동1222.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을 각국의 상호 필요라는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 관계와 관련된 사료를 사용하여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각국의 상호 필요에서 이루어졌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각국의 상호 필요에서 이루어졌음을 역사적 사실을 제시하며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국에는 조공・책봉 관계를 비롯하여 다양한 외교 형식이 존재하였음을 말할 수 있다.

③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각국이 수용한 양상을 비교한다.

 

 

동1223.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각국이 수용한 양상을 비교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국의 상황에 맞추어 이를 수용하였음을 나라별 사례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를 각국이 수용한 양상에 대해 나라별로 설명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가 수립되고 수용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④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 역할과 영향을 탐구한다.

 

 

 

동1224.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 역할과 영향을 탐구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지도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각 지역별로 나타난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불교의 전파 과정을 지도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 지역에 불교가 도입된 시기와 지배층 주도로 불교가 수용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3. 국제 관계 변화와 지배층의 재편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

기준

성취수준

①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었음을 유목 민족의 성장과 각국의 대응 관계를 통하여 이해한다.

 

 

동1231.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었음을 유목 민족의 성장과 각국의 대응 관계를 통하여 이해한다.

 

 ∨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 양상을 시기별로 사건을 제시하며 설명할 수 있다.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나타난 국제 관계의 다원화와 각국의 대응 양상을 시기별로 설명할 수 있다.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②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피고, 각 사회의 특징을 비교한다.

 

 

 

 

동1232.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살피고, 각 사회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과 이전 지배층과의 차이점을 나라별로 조사하고, 지배층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각 사회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파악하고, 사대부 사회와 무사 사회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중세 시기 중국과 한국의 지배층은 사대부였고, 일본의 지배층은 무사였음을 말할 수 있다.

③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동1233.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나라별 특성 및 배경과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 전반에 영향을 끼쳤음을 말할 수 있다.

④ 몽골 제국 성립 이후에 전개된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대해 탐구한다.

 

 

 

 

 

 

 

동1234. 몽골 제국 성립 이후에 전개된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대해 탐구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나타난 특징과 교류된 문물의 양상을 지도와 사료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아시아 교역망과 동서를 잇는 교역망이 연결되면서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가 활발해졌음을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등장으로 초원길, 사막길(비단길), 바닷길을 통한 동서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말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1.동아시아 역사의 시작과 국가의 형성

A

동아시아 자연환경의 특징이 농경 및 유목 생활의 역사와 문화 형성에 미친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신석기 시대를 대표하는 동아시아 각 지역의 유물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신석기 문화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하였음을 설명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지역별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B

동아시아 자연환경의 특징과 그 영향으로 나타난 농경과 유목 생활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다양성을 대표적인 유물을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각 지역의 국가 성립 과정과 상호 교섭을 통한 발전 과정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C

동아시아 자연환경과 농경과 유목 생활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 동아시아 신석기 문화의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다. 각 지역의 국가 성립 과정과 상호 교섭을 통한 발전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

동아시아의 농경과 유목 생활을 말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다양한 신석기 문화가 형성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상호 교섭을 통해 발전하였음을 안다.

E

동아시아의 농경과 유목 생활을 말할 수 있다. 동아시아에서 신석기 문화가 형성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각 지역에서 국가가 성립되고 발전하였음을 안다.


2.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

A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인구 이동과 전쟁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 관계와 관련된 사료를 사용하여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각국의 상호 필요에서 이루어졌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국의 상황에 맞추어 이를 수용하였음을 나라별 사례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지도를 이용하여 제시하고, 각 지역별로 나타난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B

여러 국가와 정치 집단이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전쟁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 관계와 관련된 사료를 사용하여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이루어졌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각국의 상황에 맞추어 이를 수용하였음을 설명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제시하고, 각 지역별로 나타난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C

국가가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전쟁 중심으로 파악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 관계와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이 이루어졌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제시하고, 각 지역별로 나타난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D

국가가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파악하고, 이로 인해 지역 간 교류가 확대되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 각국의 외교 관계와 조공・책봉 관계를 포함한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을 설명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제시하고, 각 지역별로 나타난 불교의 역할과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E

국가가 분열하고 통합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동아시아의 다양한 외교 형식을 설명할 수 있다. 율령과 유교에 기초한 통치 체제를 이해할 수 있다. 불교가 각 지역에 전파된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국제 관계 변화와 지배층의 재편

A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 양상을 시기별로 사건을 제시하며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과 이전 지배층과의 차이점을 나라별로 조사하고, 지배층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각 사회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나라별 특성 및 배경과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나타난 특징과 교류된 문물의 양상을 지도와 사료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B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 양상을 사건을 제시하며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과 이전 지배층과의 차이점을 나라별로 조사하고, 지배층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각 사회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와 사회 규범, 일상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나타난 특징과 교류된 문물의 양상을 지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C

유목 민족의 성장으로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과 이전 지배층과의 차이점을 조사하고, 지배층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각 사회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의 정치 질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나타난 특징과 교류된 문물의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D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각국의 대응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조사하고, 지배층의 변화와 함께 나타난 각 사회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내・외의 교류에 나타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E

동아시아 국제 관계가 다원화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사대부와 무사가 새로운 지배층으로 등장하게 된 사회・경제적 배경을 설명할 수 있다. 성리학이 각국에 미친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몽골 제국의 성립 이후 동서를 잇는 교역망을 파악하고, 동아시아 지역 교류에 나타난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 수준 작성

 

 1 학기 성취수준

A

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사 발전 과정을 주요 용어 및 개념, 역사적 사건의 배경 및 인과 관계를 파악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설명할 수 있고, 주제별 접근 방식을 통해 각 시기별 사회와 문화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공통적이거나 연관성 있는 요소 및 차이점 등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관련 사료를 수집・선택하고 비교・분석・비판・종합하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B

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사 발전 과정을 주요 용어 및 개념을 이용하여 시대의 흐름에 따라 설명할 수 있고, 주제별 접근 방식을 통해 각 시기별 사회와 문화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공통적이거나 연관성 있는 요소나 차이점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관련 사료를 수집・선택하고 비교・분석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C

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사 발전 과정을 시기별 주요 용어 및 개념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주제별 접근 방식을 통해 각 시기별 사회와 문화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공통적이거나 연관성 있는 요소나 차이점을 찾아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주어진 관련 사료를 비교・분석하는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D

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사 발전 과정을 시기별 주요 용어를 연결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해하고, 주제별 접근 방식을 통해 각 시기별 사회와 문화의 특징을 드러낼 수 있는 공통적이거나 연관성 있는 요소를 찾아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주어진 관련 사료를 비교하는 수준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E

동아시아 지역의 전근대사 발전 과정에 대해 주요한 역사적 사건 몇 가지를 나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해하고, 주어진 사료가 어떤 주제 혹은 역사적 사건과 관련 있는지 이해하는 수준의 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9. 한국지리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 한국지리 - 천재교육) 

(1) 국토 인식과 국토 통일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지1211.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국토 인식 사상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강조되는 생태 공간으로서의 국토의 의미를 파악하여 과거와 현재의 국토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11. 고지도와 고지리지 등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 지리 사상과 그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과거와 현재의 국토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고지도와 고지리지 등을 통해 우리나라 전통 지리 사상의 특징과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생태 공간으로서의 국토관과 전통적인 국토관의 이해를 통해 바람직한 국토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고지도와 고지리지 등을 보고 우리나라 전통 지리 사상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이해하고, 과거와 현재의 국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할 수 있다.

고지도와 전통 지리서의 종류와 대표적인 전통 지리 사상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고, 과거와 현재의 국토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진술할 수 있다. 

하하

시기별 고지도, 고지리서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고, 국토에 대한 인식이 계속 변해 왔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지1212. 세계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이 우리에게 미칠 영향과 우리의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한지1212. 세계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설명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세계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세계적 관점에서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 및 이에 따른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위치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영향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우리나라의 위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한지1213. 국토 분단 원인과 현상 그리고 그에 따른 영향을 이해하여, 국토의 정체성 및 국토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다.

한지1213. 국토 분단의 원인과 현상 및 그에 따른 영향을 이해하여, 국토의 정체성 및 국토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국토의 잠재력을 제시할 수 있다.

국토 분단의 원인과 현상 및 그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여, 국토의 정체성 및 국토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토론하고, 통일 국토의 잠재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국토 분단의 원인과 현상 및 그에 따른 영향을 이해하여, 국토의 정체성 및 국토 통일의 필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통일 국토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국토 분단의 원인과 현상 및 그에 따른 영향을 진술할 수 있고. 통일 국토의 모습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국토 통일의 필요성과 통일 국토의 잠재력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14. 주변 국가와 관련된 영역

갈등의 원인과 과정 및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나라 영토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한지1214. 우리나라의 영역을 확인하고, 주변 국가와 관련된 영역 갈등의 원인과 과정 및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우리나라 영토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영역을 설정하는 원리를 이해하고, 영역의 중요성과 더불어 주변 국가와 관련된 영역 갈등의 원인과 과정 및 그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제 관계 속에서 바람직한 대응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영역의 범위를 알고, 영역이 왜 중요한지 설명할 수 있으며, 주변 국가와 관련된 영역 갈등의 원인, 과정 및 그 중요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지도를 보고 우리나라의 영역의 범위를 말할 수 있고, 주변 국가와 관련된 영역 갈등의 원인과 과정에 대해 진술할 수 있다.

하하

영역의 중요성과 영역 갈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다.


(2) 지형 환경과 생태계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지1221. 우리나 산지 지형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지형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21-1. 한반도의 지각 특색을 이해하고 이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산지의 형성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한반도의 지각 특색을 이해하고 우리나라 산지의 형성과정을 지각 운동과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지의 형성과정과 특색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산지 지형의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하하

우리나라 산지 지형의 특색을 이해할 수 있다.

한지1221-2. 주요 산지 지형의 분포를 파악하고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상상

우리나라 주요 산지 지형의 분포와 인간 생활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인간에 의한 이용 및 개발, 변화 모습 등을 조사하여 그 유용성 및 가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산지 지형의 분포를 파악하고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에 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주요 산지 지형의 분포와 인간 생활과의 관계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산지 지형이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진술할 수 있다

하하

인간 생활이 산지 지형에 의해 큰 영향을 받음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22.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특성을 이해하고, 물 자원과 관련된 하천 지형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22-1.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다양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형성 과정과 특성, 차이점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형성 과정과 지형의 특성을 진술할 수 있다.

다양한 하천 및 평야 지형의 종류를 열거하고, 그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다양한 하천 및 평야 지형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한지1222-2.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인간 생활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형성 과정과 특성, 차이점을 이해하고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사례를 들어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천 유역에 발달하는 지형의 특성과 차이점,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하천 및 평야 지형의 종류를 열거하고, 인간 생활과 관계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다양한 인간 생활의 모습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22-3.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을 물 자원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을 물 자원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합리적인 이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과 물 자원 개발 및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 하천의 특성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물 자원 공급원으로서의 하천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23. 해안 지형의 형성 작용을 이해하고, 인간의 이용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한지1223-1. 다양한 해안 지형의 특성과 형성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다양한 해안 지형의 특성과 형성과정을 이해하고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해안 지형의 특성과 인간 생활과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해안 지형의 종류를 열거하고, 인간 생활과 관계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다양한 해안 지형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한지1223-2. 인간 활동에 의한 해안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탐구할 수 있다

인간 활동에 의한 해안 지형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탐구할 수 있다.

인간 활동에 의한 해안 지형의 변화에 대해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인간 활동에 의해 해안 지형의 변화가 나타나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인간 활동에 의해 해안 지형의 변화가 나타남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24. 지형 환경을 생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인간과 지형 환경의 지속 가능한 관계 유지 방안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다.

한지1224. 지형 환경을 생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인간과 지형 환경의 지속 가능한 관계 유지 방안에 대해서 토론할 수 있다.

상상

지형 환경을 생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종류 및 분포를 이해하며 인간과 지형 환경의 지속가능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지형 환경을 생태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인간과 지형 환경의 지속 가능한 관계 유지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지형 환경을 생태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지형 관광 자원 보존의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지형이 중요한 생태 관광 자원임을 인식할 수 있다.


(3) 기후 환경의 변화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지1231.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이러한 기후 특성이 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31-1. 다양한 기후 특성을 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계절별․지역별 기후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기후 인자의 차이에 의해 기후 요소가 변화됨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진술할 수 있다.

한지1231-2.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후 특성이 인간 생활에 미친 향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차이가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적 시각에서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차이가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시각에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이 다른 국가와 다름을 인식하고,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국가마다 기후 특성이 다름을 인식하고, 생활의 차이점을 진술할 수 있다.

한지1231-3.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차이가 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 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차이가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 특성을 바탕으로 이러한 차이가 인간 생활에 미친 영향을 다양한 시각에서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별 기후 특성이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지역마다 기후 특성이 다름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32. 기후 변화의 현상과 그 원인을 이해하고, 이것이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32.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을 해하고, 이것이 우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을 이해하고, 이것이 우리 생활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기후 변화가 우리 생활과 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지1233. 자연재해의 발생 원인과 영향을 이해하고, 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한지1233. 자연재해의 발생 원인과 영향을 이해하고, 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자연재해의 발생 원인과 영향을 이해하고, 그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자연재해의 발생 원인과 영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재해의 발생 원인과 영향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자연재해의 종류와 대표적인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한지1234.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설명하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34.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설명하고, 자연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 및 자연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 및 자연과 더불어 사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 생태계에 대한 인간의 영향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자연 생태계의 의미를 파악하고 구성 요소의 작용을 이해할 수 있다.


(4) 거주 공간의 변화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지1241. 전통 촌락의 형성 과정과 경관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촌락 변화의 원인과 현상 그리고 대책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1. 전통 촌락의 형성 과정과 경관 특성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촌락 변화의 원인과 현상 그리고 대책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전통 촌락의 입지 요인과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다양한 경관 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촌락 변화의 원인과 현상을 탐구하여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전통 촌락의 형성 과정과 경관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촌락 변화의 원인과 현상을 여러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다.다.

전통 촌락의 입지 요인과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촌락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전통 촌락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촌락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하하

전통 촌락의 경관 특성을 구분하고, 전통 촌락이 변화됨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42.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와 촌락의 상호 의존 관계를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를 이해하며, 세계 도시 체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2.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와 촌락의 상호 의존 관계를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를 이해하고, 계 도시 체계와 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상상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와 촌락의 상호 의존 관계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를 분석하고, 세계 도시 체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와 촌락의 상호 의존 관계를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우리나라의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를 이해하고, 세계 도시 체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생활 공간으로서 도시와 촌락의 상호 의존 관계를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도시와 촌락의 의존 관계를 , 정주 체계와 도시 체계의 의미를 알 수 있다.

하하

도시와 촌락이 상호 협력해야 함을 인식할 수 있다.

한지1243.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토지 이용의 유형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3.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토 이용의 유형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상상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토지 이용의 유형과 변화 과정을 사례를 통해 탐구할 수 있다.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특징을 이해하고, 그에 따른 토지 이용의 유형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도시의 기능과 지역 분화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한지1244.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와 근교 농촌의 변화가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4.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와 근교 농촌의 변화 정을 이해하고, 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와 근교 농촌의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주민 생활의 변화를 사례를 통해 탐구할 수 있다.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와 근교 농촌의 변화 정을 이해하고, 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와 근교 농촌의 변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대도시권의 의미를 파악하고 형성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지1245.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과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5.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과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과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역의 성격과 개인의 특성에 맞는 여가 공간을 선택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과 상호 관계에 미치는 알고, 다양한 여가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과 상호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활용이 도시와 농촌 주민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하하

도시와 농촌의 여가 공간 사례를 제시하고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진술할 수 있다.

한지1246.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도시 재개발이 도시 경관 변화와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46.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도시 재개발이 도시 경관 변화와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상상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 및 도시 재개발이 도시 경관 변화와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고 도시 재개발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에 대한 대책을 제시할 수 있다.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 및 이에 따른 도시 경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도시 재개발이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도시 재개발이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도시 재개발의 원인과 과정을 진술할 수 있다.

하하

도시 재개발의 의미와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다.


(5) 생산과 소비 공간의 변화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지1251. 자원의 공간 분포를 중심으로 자원의 의미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한지1251. 자원의 공간 분포 특징을 중심으로 자원의 의미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자원의 공간 분포 특징을 중심으로 자원의 의미와 특성을 설명하고, 합리적인 자원 이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자원의 공간 분포 특징을 중심으로 자원의 의미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자원의 공간 분포 특징을 진술할 수 있다.

한지1252. 우리나라의 농업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토론할 수 있다.

한지1252. 우리나라의 농업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토론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 구조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농업 구조 변화를 진술할 수 있다.



2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성취

수준

학기 단위 성취수준

A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과 관련된 사실, 개념, 원리, 이론을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를 선정․수집․분석․종합하고 이를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국토 공간을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지역 규모에서 발생하는 공간 현상과 변화를 이해하여 국토의 당면 과제를 올바로 인식하고, 공간적 의사 결정을 통해 합리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B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과 관련된 사실, 개념,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리 정보를 선정․수집․분석․종합하고 이를 일상생활에 적용하여 국토 공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지역 규모에서 발생하는 공간 현상과 변화를 이해하여 국토의 당면 과제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의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C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과 관련된 주요 사실,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고, 지리 정보를 수집, 분석 및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지역 규모에서 발생하는 공간 현상의 특징을 설명하고, 국토의 당면 과제를 제시할 수 있다.

D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에 대한 주요 사실과 개념을 이해하고, 지리 정보를 수집,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 현상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각 지역의 특징을 진술할 수 있다.

E

우리나라의 자연환경 및  인문 환경에 대한 주요 사실과 개념을 대체로 이해하고, 지리 정보를 일부 해석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각 지역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진술할 수 있다.

 



10. 생활과 윤리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생활과 윤리)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1. 현대 생활과 응용윤리

고생11. 윤리학이 실천을 위 학문이라는 사실과 현대 사회에서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응용 윤리가 필요함을 이해하고, 현대 생활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기른다. 이를 위해 현대 사회에서 응용 윤리가 등장하게 된 배경과 응용 윤리의 다양한 사례를 조사․분석한다.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고생11. 응용 윤리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현대 사회에서 응용 윤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응용 윤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을 충실히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일관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응용 윤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현대 사회에서 응용 윤리의 등장 배경과 필요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고생12. 일상생활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윤리적 탐구 능력의 향상을 통해 자신의 윤리관을 정립하려는 의지를 기른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삶의 현장에서 경험하고 판단해야 할 중요한 윤리적 주제에 대한 명료한 개념 사용,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 찾기, 다른 사람의 주장에 대한 반론 등의 다양한 탐구 및 실천 활동을 전개한다.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고생12. 윤리적 주제에 대한 다양한 탐구 활동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윤리관을 정립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상 

일상생활에서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자신의 윤리관을 분명하게 정립할 수 있다.

중 

일상생활에서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윤리관을 그러한 이해의 수준에서 정립할 수 있다.

하 

일상생활에서 윤리 문제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과 방법을 개략적으로 이해한다.

고생13.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을 결하는 데에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고, 윤리 이론들을 적용하여 윤리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다양한 윤리 이론들(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 배려 윤리, 책임 윤리, 담론 윤리)의 강조점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윤리 이론들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탐구한다.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고생13. 다양한 윤리 이론들의 강조점과 차이점,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상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 등 다양한 윤리 이론들의 강조점과 차이점,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중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 등 다양한 윤리 이론들의 강조점과 차이점,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하 

의무론, 공리주의, 덕 윤리 등 다양한 윤리 이론들의 강조점과 차이점, 구체적 사례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괄적으로 이해한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2. 생명․ 성․ 가족윤리

고생21. 생명의 탄생과 관련된 낙태(인공 임신 중절)와 생식 보조술 등의 문제와 죽음과 관련된 자살, 안락사, 뇌사 등의 문제를 생명 존중의 윤리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자신과 타인의 생명을 존중하는 윤리적 정신과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출생과 죽음의 윤리적 의미를 파악하고 낙태, 생식 보조술, 자살, 안락사, 뇌사 등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이와 관련된 사례 및 문제점을 조사․분석한다.

(1) 삶과 죽음의 윤리

고생21. 출생 및 죽음과 관련된 다양한 입장과 이와 관련된 사례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출생 및 죽음의 윤리적 의미를 이해하고, 생명 존중의 윤리적 정신과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출생 및 죽음의 윤리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낙태, 생식 보조술, 자살, 안락사, 뇌사 등의 문제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정신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출생 및 죽음의 윤리적 의미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낙태, 생식 보조술, 자살, 안락사, 뇌사 등의 문제들을 제한된 관점에서 파악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정신을 타인의 도움을 받아 실천할 수 있다.

출생 및 죽음의 윤리적 의미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낙태, 생식 보조술, 자살, 안락사, 뇌사 등의 문제들을 제한된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고생22. 장기 이식과 인체 실험, 생명 복제와 유전자 조작 등 생명 과학과 관련된 문제를 윤리적 관점에서 검토하고, 생명과 관련된 과학 기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장기 이식과 인체 실험, 생명 복제와 유전자 조작 등 생명 과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사례를 조사․분석한다.

(2) 생명 과학과 윤리

고생22. 생명 과학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사례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생명 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생명과 관련된 과학 기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장기 이식, 인체 실험, 생명 복제, 유전자 조작 등 생명 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다양하게 이해하고, 생명과 관련된 과학 기술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장기 이식, 인체 실험, 생명 복제, 유전자 조작 등 생명 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생명과 관련된 과학 기술을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다.

장기 이식, 인체 실험, 생명 복제, 유전자 조작 등 생명 과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고생23. 성(性)과 사랑의 의미, 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과 사랑에 대한 성숙한 윤리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성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 문제들을 조사․분석하고, 이 문제들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제시하고 토론한다.

(3) 성과 사랑의 윤리

고생23.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윤리 문제들에 대한 조사․분석과 토론을 통해 성과 사랑의 의미, 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성숙한 윤리관을 형성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성차별, 성적 소수자 등 성(性)과 사랑의 의미, 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성숙한 윤리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성차별, 성적 소수자 등 성(性)과 사랑의 의미, 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성과 사랑에 대한 윤리관을 형성할 수 있다.

성차별, 성적 소수자 등 성(性)과 사랑의 의미, 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략적으로 이해한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2. 생명․ 성․ 가족윤리

고생24. 사랑의 결실로서의 결혼의 의미와 가족의 가치, 부부․부모자녀․형제자매․친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이해한다. 이를 위해 결혼 생활과 부부간의 윤리, 가족의 가치, 형제자매 관계와 우애, 친족 간의 윤리가 무엇인지를 조사․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전통 윤리의 기본 정신과 내용을 파악하여 오늘날의 가족 관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토론한다.

(4) 가족 관계의 윤리

고생24. 결혼 생활과 부부간의 윤리, 가족의 가치, 형제자매 관계와 우애, 친족 간의 윤리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사랑의 결실로서의 결혼의 의미, 가족․친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이해하고, 가족 관계에서 바람직한 윤리관을 형성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사랑의 결실로서의 결혼의 의미, 가족․친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가족 관계에서 바람직한 윤리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랑의 결실로서의 결혼의 의미, 가족․친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피상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가족 관계의 바람직한 윤리관을 형성할 수 있다.

사랑의 결실로서의 결혼의 의미, 가족․친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피상적으로 이해한다.

고생25. 친구와 이웃이 우리의 삶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을 이해하고, 친구와 우정을 나누고 이웃을 사랑하고 아끼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친구 관계와 이웃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분석하고, 친구 사이에 강조되어야 할 덕목과 이웃 사이에 지켜야 할 규범을 탐색하며, 친구나 이웃 간의 갈등을 예방․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고 성찰함으로써 갈등 해결 능력을 함양한다.

(5) 친구․이웃 관계의 윤리

 

고생25. 친구나 이웃 간의 갈등을 예방․해결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탐구와 성찰을 통해 친구와 이웃의 소중함과 친구와 이웃 사이에서 강조되어야 할 덕을 이해하고, 여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며, 친구와 우정을 나누고 이웃 사랑하고 아끼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상 

친구와 이웃의 소중함과 여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친구나 이웃 간의 갈등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친구와의 우정, 이웃 사랑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친구와 이웃의 소중함과 여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일면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친구나 이웃 간의 갈등 해결 능력을 함양하여 친구와의 우정, 이웃 사랑을 실천할 수 있다.

친구와 이웃의 소중함과 여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일면적으로 이해한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3.과학기술․환경․정보 윤리

고생31. 과학 기술이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한 성과와 과학 기술이 제기하는 윤리적 문제를 객관적으로 이해한다. 또한 과학 기술의 본질과 목적이 인간의 존엄성 구현 및 삶의 질 향상에 있음을 인식하여 과학 기술에 대한 건전하고 균형 잡힌 시각을 확립한다. 이를 위해 과학 기술의 성과와 윤리적 문제를 조사․분석하고, 인간 존엄성의 회복과 행복 추구를 위해서 요구되는 과학 기술의 윤리적 책임에 대하여 탐구한다.

(1) 과학 기술과 윤리

고생31. 과학 기술의 성과와 윤리적 문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과학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책임을 이해하고, 과학 기술에 대한 건전하고 균형 잡힌 윤리적 시각을 확립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과학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책임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과학 기술에 대한 건전하고 균형 잡힌 윤리적 시각을 확립할 수 있다.

과학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책임을 개인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과학 기술에 대한 윤리적 시각을 확립할 수 있다.

과학 기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와 책임을 개인적 관점에서 이해한다.

고생32.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도구적 자연관과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윤리적 고려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동물, 생명, 생태계를 윤리적으로 배려하는 탈인간중심적인 자연관과 가치 태도를 확립한다. 이를 위해 동물중심주의 윤리, 생명중심주의 윤리, 생태중심주의 윤리의 특성과 문제점을 조사․분석한다.

(2) 인간과 자연의 관계

고생32. 동물중심주의 윤리, 생명중심주의 윤리, 생태중심주의 윤리의 특성과 문제점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한 탈인간중심적인 자연관과 환경 문제의 연관성을 이해하고, 환경을 윤리적으로 배려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등 탈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환경에 대한 윤리적 배려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등 탈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을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환경에 대한 윤리적 배려를 실천할 수 있다.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 생명중심주의, 생태중심주의 등 탈인간중심적인 자연관을 단편적으로 이해한다.

고생33. 환경 문제의 해결에 윤리적 고려가 필수적임을 이해하고, 다양한 환경 문제가 제기하는 윤리적 고려 사항을 인식하여 환경 문제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현대 환경 문제의 유형 및 특징과 기후 변화의 윤리적 문제를 조사․분석하고, 미래 세대에 대해 책임지는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방안에 대해 탐구한다.

(3) 환경문제에 대한 윤리적 고려

고생33. 현대 환경 문제의 유형 및 특징과 기후 변화의 윤리적 문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환경과 기후 변화가 미래 세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윤리적 고려 사항을 이해하고, 환경 문제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환경과 기후 변화가 미래 세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윤리적 고려 사항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환경 문제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환경과 기후 변화가 미래 세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윤리적 고려 사항을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환경 문제를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환경과 기후 변화가 미래 세대에 미치는 영향과 그 윤리적 고려 사항을 단편적으로 이해한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3.과학기술․환경․정보 윤리

고생34.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에 끼친 영향 및 그에 수반되는 윤리적 문제(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폭력, 게임․인터넷 중독 등)를 올바르게 인식하고, 이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이를 위해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에 끼치는 순기능과 역기능 및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심리적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정보 사회의 윤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정보 윤리에 대해 탐구한다.

(4) 정보 사회와 윤리

고생34.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에 끼치는 순기능과 역기능 및 사이버 공간에서의 인간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들(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폭력, 게임․인터넷 중독 등)을 이해하고, 이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따돌림과 괴롭힘, 게임․인터넷 중독 등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정보통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따돌림과 괴롭힘, 게임․인터넷 중독 등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정보통신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저작권 및 프라이버시 침해, 사이버 따돌림과 괴롭힘, 게임․인터넷 중독 등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 문제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4.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고생41. 윤리를 바라보는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가진다. 이를 위해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조사․분석하고, 사회의 도덕성 제고를 위해 사회 윤리적 관점이 필요함을 인식한다.

(1) 사회의 도덕성과 사회 윤리

고생41.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를 구체적 사례를 통해 조사․분석함으로써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 간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 간의 차이를 명확하게 이해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적극적으로 추구할 수 있다.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 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할 수 있다.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 간의 차이를 개략적으로 이해한다.

고생42. 사회 제도가 추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덕목으로서 사회 정의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사회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른다. 이를 위해 사회 정의의 의미와 종류, 사회 정의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조사․분석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탐구한다.

(2) 사회 정의와 정의로운 사회

고생42. 사회 정의의 의미와 종류, 사회 정의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관점들을 이해하고, 사회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분배적 정의, 법적 정의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관점들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분배적 정의, 법적 정의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관점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와 관련된 문제들을 이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분배적 정의, 법적 정의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관점들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고생43.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권 존중, 차별 금지, 역차별, 부패 방지 등이 중요함을 사회 정의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공감․소통․갈등 해결 능력과 관용 및 정의를 지향하는 태도를 기른다. 이를 위해 인권, 역차별, 사회 부패, 시민불복종 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조사․분석하고, 이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인 윤리적 방안과 사회 윤리적 방안에 대하여 토론한다.

(3) 인권 존중과 공정한 사회

고생43. 인권, 역차별, 사회 부패, 시민불복종 등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해 사회 정의와 관련된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적 문제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소통․갈등 해결 능력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인권 존중, 차별 금지, 역차별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윤리적 문제들을 공감․소통․갈등 해결 능력을 통해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인권 존중, 차별 금지, 역차별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개략적으로 이해하고, 일상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윤리적 문제들을 이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해결할 수 있다.

인권 존중, 차별 금지, 역차별 등 사회 정의와 관련된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을 개략적으로 이해한다.

4.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고생44. 직업 생활에서 직업 윤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각각의 직종에 요구되는 직업적 책임과 의무에 기초하여 직업 생활을 영위하는 태도를 지닌다. 이를 위해 직업 생활의 윤리적 의의 및 직업 생활에 필요한 윤리에 대해 탐구하고, 기업가와 근로자, 전문직 종사자와 공직자의 직업 활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인 윤리적 방안과 사회 윤리적 방안에 대하여 토론한다.

(4) 직업의 의의와 직업 생활의 윤리적 책임

고생44. 기업가와 근로자, 전문직 종사자와 공직자의 직업 활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개인 윤리적 방안과 사회 윤리적 방안에 대한 토론을 통해 개인 윤리․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다양한 직업 활동에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이해하고, 직업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기업가와 근로자, 전문직 종사자와 공직자 등 다양한 직업 활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직업적 책임과 의무를 일관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기업가와 근로자, 전문직 종사자와 공직자 등 다양한 직업 활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단편적으로 이해하고,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직업적 책임과 의무를 실천할 수 있다.

기업가와 근로자, 전문직 종사자와 공직자 등 다양한 직업 활동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사회 윤리적 관점에서 단편적으로 이해한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Ⅰ.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

A

현대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을 위한 윤리학으로서 응용 윤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여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윤리 이론들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B

현대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을 위한 윤리학으로서 응용 윤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윤리 이론들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C

현대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을 위한 윤리학으로서 응용 윤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현대 사회에 발생하는 윤리 문제들을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윤리 이론중 하나만을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D

현대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을 위한 윤리학으로서 응용 윤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부분적으로 이해한다.

E

현대 사회에 새롭게 등장한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실천을 위한 윤리학으로서 응용 윤리가 필요하고, 다양한 윤리 이론들이 윤리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일면적으로 이해한다.



 2. 생명․ 성․ 가족 윤리

A

생명의 탄생 및 죽음,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윤리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가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이해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태도를 형성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성숙한 윤리관과 가족 관계에서 바람직한 윤리관을 지니고 있다.

B

생명의 탄생 및 죽음,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윤리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가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태도를 형성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성숙한 윤리관과 가족 관계에서 바람직한 윤리관을 지니고 있다.

C

생명의 탄생 및 죽음,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윤리적 관점에서 인식하고 가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태도를 형성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윤리관과 가족 관계에서 윤리관을 지니고 있다.

D

생명의 탄생 및 죽음,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가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생명 존중의 윤리적 태도를 형성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윤리관과 가족 관계에서 윤리관을 지니고 있다.

E

생명의 탄생 및 죽음, 성(性)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가족 간의 사랑과 윤리를 부분적으로 이해하여 생명 존중의 태도를 형성하고 성과 사랑에 대한 윤리관과 가족 관계에서 윤리관을 지니고 있다.


 3. 과학기술․ 환경․ 정보 윤리

A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라 발생하는 과학 기술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기술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환경 문제들에 대해 바람직한 가치관과 윤리적 평가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B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라 발생하는 과학 기술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기술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환경 문제들에 대해 바람직한 가치관과 윤리적 평가의 기준을 가지고 있다.

C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라 발생하는 과학 기술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 기술이 제기하는 문제들과 환경 문제들에 대해 가치관과 윤리적 평가의 기준 중에서 하나의 요소만을 지니고 있다.

D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라 발생하는 과학 기술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E

과학 기술의 발달과 정보화에 따라 발생하는 과학 기술 윤리, 환경 윤리, 정보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일면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4. 사회 윤리와 직업 윤리

A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 정의 및 직업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을 적용하여 탐구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B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 및 직업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을 적용하여 탐구하고, 개인의 자아실현과 공동선의 조화를 추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C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 및 직업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 중 하나만을 적용하여 탐구하여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D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 및 직업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탐구하여 해결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E

개인 윤리적 관점과 사회 윤리적 관점의 차이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사회 정의 및 직업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일면적으로 탐구하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A

현대 생활의 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의 의미와 성격을 다양한 윤리적 관점에 비추어 올바르게 이해하며, 생명 ․성․가족윤리, 과학 기술․환경․정보 윤리, 개인 및 사회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바람직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합리적 능력과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있다.

B

현대 생활의 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의 의미와 성격을 다양한 윤리적 관점에 비추어 이해하며, 생명 ․성․가족윤리, 과학 기술․환경․정보 윤리, 개인 및 사회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나 태도 중 하나의 요소만을 지니고 있다.

C

현대 생활의 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의 의미와 성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며, 그러한 이해의 관점에서 생명 ․성․가족윤리, 과학 기술․환경․정보 윤리, 개인 및 사회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나 태도 중 하나의 요소만을 지니고 있다.

D

현대 생활의 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의 의미와 성격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생명 ․성․가족윤리, 과학 기술․환경․정보 윤리, 개인 및 사회 윤리와 관련된 윤리적 쟁점을 부분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E

현대 생활의 제 영역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문제들의 의미와 성격을 일면적으로 이해한다.



11. 사회·문화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

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1.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사1211.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과 비교 분석하여 이해한다.

(1)탐구 대상으로서의 사회문화현상

사1211-1.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과 비교 분석하여 이해한다.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을 구별하고,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의 특성과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11-2.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적 동향을 간학문적 연구 동향과 전문화 경향을 비교하여 이해한다.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간학문적 연구 동향과 전문화 경향의 특징을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간학문적 연구 동향과 전문화 경향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연구 동향 중 하나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12.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 등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관점을 이해한다.

사1212.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특성을 사례를 제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특징을 진술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열거할 수 있다.

사1213.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이해한다.

(2)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방법

사1213.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14.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과정에서 필요한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사1214.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징을 사례를 들어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의 특징을 각각 설명할 수 있다.

사1215.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실제 사례에 적용하며, 이 과정에서 필요한 과학적 태도와 연구자의 윤리를 이해한다.

(3)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절차와 태도

사1215-1.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설명하고, 실제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사1215-2.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태도를 설명할 수 있다.

사1215-3.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 윤리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제시하고, 각 절차에 따라 탐구를 설계할 수 있다.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태도를 추론할 수 있다. 사례를 분석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 윤리를 추론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사례를 보고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태도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연구 윤리의 유형과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과학적 태도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연구 윤리가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2. 개인과 사회구조

 

 

사1221. 사회화의 개념을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1)인간의 사회화

사1221.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관점에서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사례를 보고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사1222.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징과 기능을 이해한다.

사1222.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그 특징과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징과 기능을 비교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례를 제시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23.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사1223.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파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설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설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 역할 갈등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사1224.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으로 구분하여 이해한다.

(2)사회집단과 사회조직

사1224.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관점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관점을 비교하고 각 관점의 특징을 표로 제시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사1225. 사회 집단과 사회 조직을 이해하고 이들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ㆍ분석한다.

(2)사회집단과 사회조직

사1225-1. 사회 집단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유형에 따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ㆍ분석하고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유형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의미를 설명하고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25-2. 사회 조직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유형에 따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조직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ㆍ분석하고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사회 조직의 유형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조직의 의미를 설명하고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25-3.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의미를 설명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하여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관료제의 특징 및 역기능과 탈관료제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26. 개인, 집단 및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3)사회구조와 일탈행동

사1226-1. 사회 구조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특징을 사례를 제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사회 구조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 구조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사1226-2. 개인, 집단,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을 다양한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개인, 집단,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의미와 원인을 다양한 이론을 통해 비교ㆍ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개인, 집단, 사회 구조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일탈 행동의 원인을 각각의 이론을 통해 분석하고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일탈 행동의 의미를 설명하고 각각의 일탈이론에서 제시하는 일탈의 원인을 열거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3. 

문화와 사회

사1231.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이해한다.

(1)문화와 인간 생활

사1231. 문화의 의미와 속성을 이해하고 문화를 통해 현대 사회의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의 속성을 복잡한 사회 현상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의 속성을 단순한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의 속성을 나열할 수 있다.

사1232.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 다양한 문화의 요소와 그 기능을 파악한다.

 

사1232.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의 다양한 문화 요소의 의미와 문화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 다양한 문화 요소의 의미와 문화의 기능을 사례와 함께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기술, 언어, 상징, 예술, 가치, 규범 등 다양한 문화 요소의 의미와 문화의 기능을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문화 요소의 의미와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사1233.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가진다.

 

사1233-1.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이해하고, 각 관점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사례를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각각 열거할 수 있다.

 

사1233-2.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하는 태도를 이해하고 각 태도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하는 다양한 태도의 특징을 사례를 통해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하는 다양한 태도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문화 및 타문화를 이해하는 다양한 태도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34.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의 하위 문화와 대중문화에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적 양상을 파악한다.

(2)현대 사회의 다양한 문화 양상

사1234-1.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의 하위 문화의 의미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하위 문화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의 다양한 하위 문화의 의미와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 등 하위 문화의 의미와 특징을 각각 설명할 수 있다.

하위 문화, 지역 문화, 세대 문화, 반문화의 의미를 구별할 수 있다.

사1234-2. 대중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중문화의 특징과 그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대중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중문화의 특징과 양상을 사례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대중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대중문화의 특징과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대중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35.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문화 변동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처 방안을 모색한다.

(3)문화 변동과 한국 문화

사1235. 문화 변동의 요인과 양상을 이해하고, 문화 변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점과 대처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문화 변동의 다양한 요인과 양상 및 문화 변동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처 방안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문화 변동의 다양한 요인과 양상 및 문화 변동으로 나타나는 문제점과 대처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문화 변동의 다양한 요인과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사1236.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모색한다.

사1236.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하고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의 양상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한국 사회가 문화적으로 다양해지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4. 계층과 사회 불평등

사1241. 사회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형태의 사회 불평등 현상을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에서 비교ㆍ분석한다.

(1)사회 계층 현상의 이해

사1241-1. 사회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다양한 불평등 현상의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을 열거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41-2.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계급론과 계층론의 특징을 사례를 제시하여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계급론과 계층론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계급론과 계층론의 특징을 각각 열거할 수 있다.

사1241-3.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에서 사회 불평등 현상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의 사례 분석을 통해 불평등 현상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안을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에서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의 발생 원인, 기능, 해결 방안을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에서 비교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안을 기능론과 갈등론의 관점에서 각각 열거할 수 있다.

사1242.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 및 특징을 이해한다.

사1242.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 및 유형을 이해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를 설명하고 구체적 사례를 들어 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와 유형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43.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2)사회 불평등 문제와 해결 방안

사1243.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설명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다양한 차원에서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설명하고,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빈곤의 유형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사1244. 성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성 불평등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사1244. 성 불평등의 의미를 이해하고, 성 불평등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성 불평등의 의미를 설명하고, 성 불평등 현상의 원인과 구체적 해결 방안을 다양한 차원에서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성 불평등의 의미를 설명하고, 성 불평등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성 불평등의 의미를 설명하고, 성 불평등 현상의 원인을 열거할 수 있다.

사1245.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차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사1245. 사회적 소수자의 의미와 이들에 대한 차별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소수자의 의미와 이들에 대한 차별 현황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소수자의 의미와 이들에 대한 차별 현황을 설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적 소수자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고 이들에 대한 차별이 나타나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대단원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사1246.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파악하고, 복지 제도의 역할과 한계를 살펴본다

(3)사회 복지와 복지 제도

사1246-1.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이해하고 각 복지 제도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각 복지 제도의 특징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설명하고, 각 복지 제도의 특징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사회 복지의 의미와 각 복지 제도의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사1246-2. 복지 제도의 기능과 한계를 이해하고 새로운 복지 제도의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 복지 제도의 기능과 한계를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새로운 복지 제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 복지 제도의 기능과 한계를 설명하고 새로운 복지 제도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사회 복지 제도의 기능과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2

영역 단위 성취수준 작성

Ⅰ. 사회ㆍ문화현상의 탐구

성취수준

영역 단위 성취수준

A

자연현상과 사회・문화 현상을 구별하고,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간학문적 연구 동향과 전문화 경향의 특징을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특성을 사례를 제시하여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징을 사례를 들어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제시하고, 각 절차에 따라 탐구를 설계할 수 있다.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태도를 사례를 통해 추론하고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B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자연 현상의 특성과 비교하여 제시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특징을 진술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고 그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사례를 보고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C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연구하는 연구 동향 중 하나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바라보는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을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으로 구분하여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여러 가지 자료 수집 방법의 특징을 각각 설명할 수 있다.

D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세 가지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방법을 구분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탐구 절차를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과학적 태도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E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보는 세 가지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할 때 사용하는 자료 수집 방법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과학적 태도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Ⅱ. 개인과 사회구조

성취수준

영역 단위 성취수준

A

 기능론, 갈등론, 상징적 상호 작용론의 관점에서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의 유형을 구분하고 사례를 통해 그 특징과 기능을 비교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설명하고 역할 갈등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관점을 비교하고 각 관점의 특징을 표로 제시할 수 있다.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등장 배경을 설명하고 각각의 특징을 구체적 사례를 들어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사회 집단의 유형별 특징을 비교ㆍ분석하고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B

거시적 관점과 미시적 관점에서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특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의미를 설명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하여 구체적 사례에 적용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유형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사회 조직의 유형을 열거하고 그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C

사례를 보고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와 역할, 역할 갈등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사회 실재론과 사회 명목론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관료제의 특징 및 역기능과 탈관료제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집단과 사회조직의 의미를 설명하고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D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사회화 기관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적 지위와 역할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 관료제와 탈관료제의 특징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 조직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E

사회화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사회적 지위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 관료제의 역기능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 집단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Ⅲ. 문화와 사회

성취수준

영역 단위 성취수준

A

문화의 의미를 좁은 의미와 넓은 의미로 구분하여 이해하고 문화의 속성을 복잡한 사회 현상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사례를 통해 비교할 수 있다. 문화 변동의 다양한 요인과 양상을 시각적 자료로 제시하고 문화 변동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과 그에 대한 대처 방안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B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문화 변동의 다양한 요인과 양상 및 문화 변동으로 나타나는 문제점과 대처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의 양상과 한국 문화의 세계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C

문화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화의 속성을 나열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의 특징을 각각 열거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한국 사회가 문화적으로 다양해지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한국 사회가 문화적으로 다양해지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D

문화의 속성을 열거할 수 있다.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문화 변동의 양상을 열거할 수 있다. 세계화로 인한 한국 사회의 문화적 변화를 열거할 수 있다.

E

문화의 속성을 열거할 수 있다.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열거할 수 있다.












Ⅳ. 사회 계층과 불평등

성취수준

영역 단위 성취수준

A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의 사례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계급론과 계층론의 특징을 사례를 제시하여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를 설명하고 구체적 사례를 시각적 자료로 제시하여 그 유형과 특징을 분석할 수 있다. 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각 복지 제도의 특징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B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계급론과 계층론의 특징을 비교ㆍ분석할 수 있다.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와 유형 각각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성 불평등의 의미를 설명하고, 성 불평등 현상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사회 복지의 의미와 현황을 설명하고, 각 복지 제도의 특징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C

다양한 사회 불평등 현상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 계층 구조와 사회 이동의 의미를 설명하고 그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사회 복지의 의미와 각 복지 제도의 기능 및 한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D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을 열거할 수 있다.사회 계층 구조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각 사회 복지 제도의 기능을 열거할 수 있다.

E

사회 불평등 현상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사회 계층 구조의 유형을 열거할 수 있다. 각 사회 복지 제도의 기능을 열거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성취수준

학기 단위 성취수준

A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과 그에 따른 연구 방법, 관련 개념 및 이론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장단점 및 특징을 비교・분석할 수 있다. 이 수준의 학생은 사회・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 방법이나 관련 개념, 이론과 정확하게 연계하여 개인적인 측면과 사회구조적인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사회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개인과 사회와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다양한 분석 이론에 대해 그 특징 및 장단점, 한계 등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서 비교,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문화에 관한 기본 개념 및 다양한 이론적 시각에 대해 이해하고 그 특징 및 장단점을 분석할 수 있으며, 종합적인 사고를 통해 문화의 교류와 변동 및 최근의 동향을 비교, 평가할 수 있다. 사회 불평등 현상을 비롯한 최근의 다양한 사회 문제들을 합리적 근거에 기초하여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분석, 평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표나 통계 자료가 시사하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여 그에 대한 대처 방안 및 한계를 종합적이고 다각적이면서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B

 사회・문화 현상의 특성과 그에 따른 연구 방법, 관련 개념 및 이론에 대한 의미와 특징을 개괄적으로 비교하고 적용할 수 있다. 사회문화 현상을 분석하는 대표적인 이론의 시각에 의거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자료를 활용하여 사회・문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개인과 사회와 관계를 보는 주요 분석 이론의 특징과 차이점을 비교, 평가할 수 있다.  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용어를 거의 정확히 이해하고, 문화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에 대해 그 특징 및 장단점을 비교할 수 있다. 도표나 통계 자료 등을 통해 사회 불평등 현상을 비롯한 사회 문제들을 대부분 분석, 설명할 수 있으며, 사회 불평등 현상과 같은 주요 사회 문제에 대하여 합리적 근거에 기초하여 필수적인 대처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C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 및 연구 방법을 알고 있으며, 기능론・갈등론 등 사회・문화현상을 설명하는 주요 이론의 의미와 특징, 차이점을 대체로 구분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와 관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대체로 알고 있으며, 실재론, 명목론과 같은 주요 분석 이론의 특징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문화 현상 및 사회 문제에 관한 기본 용어 및 주요 접근 시각에 대해 이해하고 있다. 이 수준의 학생은 자신이 이해한 개념이나 이론을 통해 사회 문화 현상의 주요 특징을 제한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도표나 통계 자료를 통해 사회 문화 현상의 특징을 부분적으로 유추, 해석할 수 있다.

D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 및 연구 방법의 특징, 기능론・갈등론과 같이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주요 이론의 의미와 특징 등을 대강 이해하고 있다. 개인과 사회와 관계, 문화 등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 개념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있고, 사회 제도의 특징 및 주변에서 일어나는 사회 현상이나 문화 현상에 대하여 자신이 이해한 개념이나 이론을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도표나 통계 자료를 통해 사회 문화 현상에 대한 부분적으로 필요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다.

E

 사회・문화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주요 개념과 연구 방법, 기능론・갈등론과 같은 다양한 이론의 의미와 특징을 매우 제한적・단편적으로 이해하고 있다. 개인과 사회와 관계, 사회 제도 및 일상의 사회・문화 현상을 자신이 이해한 개념이나 이론에 비추어 지극히 부분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통계자료 및 도표 등을 통해 단편적인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12. 물리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교과서: 천재교육)


가-1. 운동과 에너지_힘과 운동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물2111. 위치, 속도, 가속도를 벡터로 표현할 수 있다.

물2111. 위치, 속도, 가속도를 벡터로 표현하여 물체의 운동을 기술할 수 있다.

물체의 위치, 속도, 가속도를 벡터로 표현하고 속력과 방향 변화에 따른 가속도의 방향을 찾아 비교할 수 있다. 등가속도 운동을 정의할 수 있다.

위치, 속도, 가속도를 벡터로 표현하고 가속도에 따라 물체의 속력과 방향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물체의 운동을 벡터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인식한다.

물2112. 물체에 작용하는 힘이 주어졌을 때 운동변화를 정량적으로 이해한다.

물2112. 물체에 힘이 작용했을 때 운동변화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알짜힘과 가속도의 방향관계를 파악하고 뉴턴의 운동법칙 설명하고 힘이 작용했을 때 물체의 운동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설명하고 힘이 작용했을 때 물체의 운동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물체에 힘이 작용했을 때 운동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진술할 수 있다.

물2113. 지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포물선운동과 원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물2113. 지표면 근처에서 일어나는 포물선운동과 원운동을 분석하여 기술할 수 있다.

포물선과 원운동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하며 가속도의 방향을 구하고 크기를 계산하여 운동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포물선 운동과 원운동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하며, 가속도의 방향을 구하고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포물선운동과 원운동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물2114. 2차원에서 운동량 보존 개념을 이용하여 충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물2114. 2차원에서 운동량 보존 개념을 이용하여 충돌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2차원 충돌을 벡터로 표현할 수 있으며 운동량 보존 개념을 이용하여 현상을 분석할 수 있다. 운동에너지가 보존되는 2차원 탄성충돌에서 충돌 후 운동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2차원 충돌을 벡터로 표현할 수 있으며 운동량 보존 개념을 이용하여 현상을 분석할 수 있다.

2차원 충돌에서 운동량 보존 개념이 성립함을 인식할 수 있다.

물2115. 가속좌표계 안에서 관성력을 도입하여, 물체의 운동을 설할 수 있다.

물2115.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도입하여 물체의 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관성력과 관련된 실생활 예를 들고,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정의하고 관성력을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관성력과 관련지어 설명해야 함을 인식한다.

물2116. 단진동의 의와 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이해한다.

물2116. 단진동을 분석하고 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설명할 수 있다.

단진동 운동을 분석하여 작용하는 알짜힘을 표현하고, 단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모두 제시할 수 있다.

단진동 운동을 분석하고, 단진자의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진술할 수 있다.

단진동에 작용하는 힘을 바탕으로 운동 변화를 진술할 수 있다.


가-2. 운동과 에너지_열에너지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물2121. 절대온도, 섭씨온도와 화씨온도의 차이를 이해한다.

물2121. 절대온도, 섭씨온도, 화씨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 측정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절대온도, 섭씨온도, 화씨온도의 의미를 비교하고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절대온도, 섭씨온도, 화씨온도의 상호 변환식을 쓸 수 있다.

온도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물2122. 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온도, 압력 등을 분자 운동의 개념으로 이해한다.

물2122. 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온도, 압력 등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진술하고 기체분자의 평균운동에너지를 절대온도로 표현할 수 있다. 맥스웰 분포를 통해 액체의 증발 현상을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기체분자의 평균운동에너지를 절대온도로 표현할 수 있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물2123. 이상기체의 의미와 상태 방정식을 이해한다.

물2123. 이상기체의 의미를 설명하고 상태방정식을 표현할 수 있다.

이상기체의 의미를 설명하고, 보일법칙과 샤를법칙 및 아보가드로 법칙을 통해 상태방정식이 성립함을 설명할 수 있다.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표현하고 이상기체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상태방정식을 통해 이상기체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물2124. 열과 일의 출입에 따른 여러 가지 열역학 과정을 이해한다.

물2124. 열과 일의 출입에 따른 열역학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계에서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때 열과 일의 출입에 따른 변화를 비교할 수 있으며 실제 현상에 적용할 수 있다.

열역학계에서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의 특징을 진술하고 열과 일의 출입에 따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열역학과정에서 열과 일의 출입을 구별할 수 있다.

물2125. 엔트로피의 의미와 열역학 제 2법칙을 이해한다.

물2125.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열역학 제 2법칙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실생활 현상에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를 정의하고 이를 열역학 제 2법칙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의 의미를 진술할 수 있다.






나-1. 전기와 자기_전하와 전기장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물2211. 전기장, 전기력선, 전위의 관계를 이해하고, 전기쌍극자의 의미를 안다.

물2211. 전기장과 전기력선, 전위의 관계를 진술하고, 전기쌍극자를 설명할 수 있다.

전기장과 전기력선을 통해 전기쌍극자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관련 예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장과 전위의 관계를 알고, 전위와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구분, 비교 설명할 수 있다.

전기장과 전위의 정의를 이해하고, 전기적 위치에너지와 전위를 전기력선과 등전위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전기쌍극자의 의미를 알고, 관련된 예를 진술할 수 있다.

전기력선에서 등전위면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전기쌍극자를 진술할 수 있다.

물2212.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장과 전기용량의 관계를 이해한다.

물2212.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장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전기장과 전기용량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의 내부 전기장의 형태를 추측할 수 있으며, 두 금속판 사이의 전압과 전하량의 관계를 설명하고, 전기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 내부의 전기장을 전기력선과 등전위면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전기장과 전기용량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 내부의 전기장을 전기력선과 등전위면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물2213.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을 변화시키기 위한 유전체의 역할을 이해한다.

물2213. 평행판 축전기에서 유전체를 이용한 전기용량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에 유전체가 가득 채워진 경우, 유전분극을 통한 전기용량의 크기변화를 추론할 수 있으며, 유전체의 종류에 따른 전기용량의 변화를 설명하고, 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에 유전체가 채워진 경우 전기용량의 크기가 변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그 값을 계산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에 유전체가 채워진 경우 전기용량의 크기가 변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물2214.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을 이해하고, 저장된 에너지를 안다.

물2214-1.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의한 전기용량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의 직렬연결과 병렬연결에 의한 전기용량의 변화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회로에 적용하여 축전기의 합성전기용량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의 연결방식에 의한 전기용량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며, 전기용량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평행판 축전기의 연결방식에 의한 전기용량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물2214-2. 평행판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표현할 수 있다.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Q-V그래프를 분석하여 전기에너지를 설명할 수 있다.

Q-V 그래프를 해석하여 전기에너지를 설명하고,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Q-V그래프를 사용하여 전기에너지의 개념을 진술할 수 있다.




나-2. 전기와 자기_전류와 자기장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물2221. 전류에 의해 자기장이 생성됨을 알고, 직선전류와 원형전류 주위의 자기장을 안다.

물2221. 전류에 의한 자기장 형성을 인식하고, 직선전류와 원형전류 주위의 자기장을 설명할 수 있다.

 

직선전류와 원형전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형태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각 경우 자기장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직선전류와 원형전류 주위에 형성된 자기장의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직선전류와 원형전류 주위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그 형태가 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진술할 수 있다.

물2222. 자기장 속에서 운동하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을 안다.

물2222. 자기장 속에서 운동하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을 설명할 수 있다.

로렌츠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힘의 방향을 추측할 수 있고, 로렌츠 힘을 받은 전하의 운동과 관련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고, 그 힘의 방향을 추측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전하가 움직이면 힘을 받게 됨을 진술할 수 있다.

물2223. 전류가 흐르는 도체에 작용하는 자기력이나 평행한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이해한다.

물2223. 외부 자기장에 놓인 직선전류에 작용하는 자기력을 설명할 수 있으며, 평행한 도선 사이에 힘이 작용하는 원리를 통해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직선전류가 받는 힘의 방향을 알고 그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는 평행한 두 도선 사이에 힘이 작용하는 원리를 설명하고, 작용하는 힘의 방향과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직선전류가 받는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전류가 흐르는 두 도선이 평행하게 놓여있을 때, 두 도선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직선전류가 힘을 받음을 인식하고, 평행하게 놓인 두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두 도선 사이에 힘이 작용함을 진술할 수 있다.

물2224. 원형전류에 의한 자기쌍극자 모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자석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물2224. 자기장 속 원형전류에 의한 자기쌍극자를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석의 원리를 진술할 수 있다.

 

자기쌍극자의 의미와 특징을 이해하고, 원형전류에서의 자기쌍극자 모형을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석의 원리를 추론할 수 있다.

자기쌍극자의 특징과 그 원리를 설명하고, 이를 통해 자석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자기장 속에서 원형도선에 전류가 흐를 때 자기쌍극자가 형성됨을 진술할 수 있다.

물2225. 패러데이 법칙을 이용하여 자기선속이 시간에 따라 변화할 때 회로에 유도되는 기전력을 구할 수 있다.

물2225. 패러데이 법칙을 적용하여 유도전류와 유도 기전력을 정량적으로 설명하고, 발전의 원리와 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패러데이 법칙을 통해 유도전류와 유도기전력의 세기와 방향 변화를 예측하고, 발전 원리를 분석할 수 있으며, 전자기유도법칙이 적용된 실례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

패러데이 법칙을 통해 발전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전자기유도현상의 예를 진술할 수 있다.

발전의 원리가 패러데이 법칙임을 인식하고, 전자기유도현상의 예를 진술할 수 있다.

물2226.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변할 때 자체유도와 상호유도를 이해하고, 변압기의 원리를 안다.

물2226. 자체유도와 상호유도의 원리를 이해해하고 정량적으로 설명하며, 변압기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을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자체유도와 상호유도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또, 상호유도 개념을 적용하여 변압기의 원리 및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상호유도가 변압기의 원리임을 진술할 수 있다.

자체유도와 상호유도의 원리를 진술할 수 있다.

물2227. RLC 회로에서 전자기 진동이 발생하는 과정을 정성적으로 이해한다.

물2227. RLC교류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을 통해 전자기 진동을 설명할 수 있다.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을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회로를 통해 전자기 진동현상을 설명하고, 전자기 진동의 전류발생과 전자기 진동수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을 이해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전자기 진동의 전류발생과 진동수의 관계를 진술할 수 있다.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을 진술하고, 전자기 진동 현상에 대해 진술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 수준

1. ‘운동과 에너지’ 단원 성취수준

물체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하고 속력과 방향이 변하는 운동의 가속도의 방향을 찾을 수 있는 수준이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적용하여 힘이 작용했을 때 물체의 운동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포물선과 원운동을 벡터로 표현하며 정량적으로 운동을 분석한다. 2차원 충돌을 분석하고 탄성충돌 후 변화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정의하고 실생활 예에 적용할 수 있다. 단진동 물체에 작용하는 알짜힘을 찾고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을 증명하며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모두 제시할 수 있다. 세 가지 온도식을 상호변환할 수 있으며,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진술하고 기체분자의 평균운동에너지를 절대온도로 표현할 수 있다. 이상기체의 의미를 정의하고 상태방정식이 성립함을 증명할 수 있다.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때 열과 일의 출입을 비교할 수 있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을 실생활 예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B

물체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하고 가속도에 따른 물체의 속력과 방향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 수준이다. 뉴턴의 운동법칙을 설명하고 힘이 작용했을 때 물체의 운동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포물선 운동과 원운동의 운동을 정량적으로 표현하며 2차원 충돌을 벡터를 이용해 운동량이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이용하여 물체의 운동을 분석할 수 있다. 단진동 운동에서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이 적용된다는 것을 제시하며 주기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진술할 수 있다. 세 가지 온도식을 진술하고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기체분자의 평균운동에너지를 절대온도로 나타내며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을 사용할 수 있다.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의 특징을 진술하고 열과 일의 출입에 따른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정의를 이해하고 이를 열역학 제 2법칙과 연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C

물체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한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수준이다. 물체에 힘이 작용했을 때 운동의 변화를 정성적으로 표현하고 포물선운동과 원운동의 특징을 제시하며 간단히 분석할 수 있다. 2차원 충돌에서 운동량이 보존됨을 인식하나 정량적인 계산은 어렵다. 가속좌표계에서 관성력을 도입해야 하는 것을 인식하나 설명하긴 미흡하다. 단진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찾을 수 있다.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이 다양함을 인식할 수 있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하나 정량적인 표현은 미흡하다. 상태방정식을 보고 이상기체의 특징을 제시할 수 있다.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을 식별하나 비교하여 설명하는 것은 미흡하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의 의미를 간략히 진술할 수 있다.

D

물체의 운동을 벡터로 일부 표현할 수 있는 수준이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운동의 변화가 일어남을 인식하고 포물선과 원운동의 특징을 제시하며 사례를 찾을 수 있다. 2차원 충돌하는 현상을 인식할 수 있으나 벡터를 이용해 운동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 가속좌표계와 관성력의 개념을 진술할 수 있으나 의미를 파악하는데 미흡하다. 단진동하는 물체의 운동을 현상적으로 인식하나 힘과 운동변화의 관계를 파악하진 못한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을 설명하는데 과학적 오류가 발견되고 이상기체의 특징을 일부 진술한다.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을 현상적으로 이해한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의 의미를 일부 진술할 수 있다.

E

물체의 운동을 벡터로 표현하나 오류가 발견되는 수준이다. 물체에 힘이 작용하면 운동의 변화가 일어남을 인식하고, 포물선과 원운동의 특징을 일부 진술할 수 있으나 정량적인 분석은 어렵다. 2차원 충돌 현상을 인식하고 단편적으로 설명한다. 가속좌표계와 관성력의 용어를 제시할 수 있으나 설명할 때 오류가 나타난다. 단진동 하는 물체를 식별하고 운동의 특징을 진술할 수 있다.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으로 분자운동으로 설명할 때 과학적 오류를 범하고, 이상기체의 특징을 일부 진술할 수 있다. 등온과정, 단열과정, 정압과정, 정적과정을 일부 현상적으로 이해한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의 용어를 안다.

2. ‘전기와 자기’ 단원 성취수준

전기장, 전위, 전기적 위치에너지 등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과 축전기의 의미, 전기용량을 이해하고, 전류에 의해 자기장 발생 현상을 바탕으로 암페어 법칙과 패러데이 법칙 등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전기쌍극자를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예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평행판 축전기의 전압, 전하량, 전기용량 관계를 유도하여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Q-V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축전기 내 유전체에 의해 전기용량이 변화됨을 유전분극현상으로 추론할 수 있고, 회로 내에서의 합성전기용량의 크기와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고, 자기장 내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관련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원형전류에 의한 자기쌍극자모형을 이해하고, 자석의 원리를 추론할 수 있으며, 패러데이 법칙으로 발전의 원리를 추론하고,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을 알고, 변압기에 적용하여 변압기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으며,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 전자기 진동현상을 회로를 통해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전자기 진동수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B

전기장, 전위, 전기적 위치에너지 등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과 축전기의 의미, 전기용량을 이해하게 하고, 암페어 법칙과 패러데이 법칙 등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전기쌍극자의 원리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평행판 축전기의 전압, 전하량, 전기용량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고, 계산할 수 있으며, Q-V그래프의 의미를 이해한다. 또한 축전기 내 유전체에 의해 전기용량이 변화됨을 유전분극현상을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회로 내에서의 합성전기용량의 크기와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 내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며, 원형전류에 의한 자기쌍극자가 자석의 원리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며, 패러데이 법칙으로 발전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 변압기를 설명할 수 있으며,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 전자기 진동현상을 설명하고, 전자기 진동수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C

전기장, 전위, 전기적 위치에너지 등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과 축전기의 의미, 전기용량을 설명할 수 있고, 암페어 법칙과 패러데이 법칙 등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단편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기쌍극자를 전기장의 개념으로 해석하여 설명하는 것은 다소 미흡하며, 평행판 축전기의 전압, 전하량, 전기용량 관계를 진술하고 계산할 수 있으며, Q-V그래프의 의미를 진술할 수 있다. 또한 축전기 내 유전체에 의해 전기용량이 변화됨을 알고 있으나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고, 회로 내에서의 합성전기용량의 크기를 구하는 과정에서 혼선을 빚으며, 제한된 상황에서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크기, 자기장 내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으나, 자기쌍극자에 의한 자석의 원리를 설명하지 못한다. 패러데이 법칙에 의한 발전원리를 진술할 수는 있으나, 발전과정을 분석하여 설명하기 다소 어려워하며,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과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 전자기 진동현상을 표면적으로 진술할 수 있다.

D

전기장, 전위, 전기적 위치에너지 등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데 다소 미흡하며, 축전기의 의미와 전기용량을 진술할 수 있으며, 전류에 의해 자기장 발생 현상을 바탕으로 암페어 법칙과 패러데이 법칙 등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이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평행판 축전기의 전압, 전하량, 전기용량 관계를 알고 제한된 상황에서의 계산이 가능하나, Q-V그래프를 분석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축전기 내 유전체에 의해 전기용량이 변하는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며, 제한된 상황에서의 회로 내에서의 합성전기용량의 크기와 축전기에 저장된 전기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또한 전류와 전류에 의한 자기장의 관계, 자기장 내 움직이는 전하가 받는 로렌츠 힘을 진술할 수 있으며, 발전의 원리가 패러데이법칙임을 인식하고 진술할 수 있다.

E

전기장, 전위, 전기적 위치에너지 등 전자기학의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 일부개념은 다소 혼란을 가지고 있으며, 축전기의 의미와 전기용량을 진술할 수 있으나, 암페어 법칙과 패러데이 법칙 등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이해하지 못하고 표면적으로 안다. 평행판 축전기의 전압, 전하량, 전기용량 관계를 진술하는 수준이며, 움직이는 전하가 자기장 속에서 힘을 받는 과정을 이해하기 어려워하며, 패러데이에 의한 발전 원리 등 전자기적 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물리Ⅱ과목 성취수준

A

운동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의 기본개념을 모두 이해하고 있으며, 운동역학과 관련하여 정량적인 계산이 가능하고, 열역학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이 성립함을 증명하고 열역학 법칙을 이해하고 실생활에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전자기학에서 패러데이 법칙으로 발전의 원리를 추론하고,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을 알고, 변압기에 적용하여 변압기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으며,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 전자기 진동현상을 회로를 통해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다.

B

운동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의 기본개념을 모두 이해하고 있으며, 운동역학과 관련하여 정량적인 계산이 가능하고,  열역학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와 열에너지를 분자운동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이상기체의 상태방정식이 성립함을 증명하고 열역학 법칙을 이해한다. 또한 전자기학에서 패러데이 법칙으로 발전의 원리를 추론하고, 자체유도와 상호유도 과정을 알고, 변압기에 적용하여 변압기의 구조를 설명할 수 있으며, RLC 교류 회로의 전류 발생 과정, 전자기 진동현상을 회로를 통해 분석하여 설명할 수 있으며, 전자기 진동수를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C

운동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의 기본개념을 모두 이해하고 있으며, 운동역학적 법칙, 열역학 법칙, 전자기학법칙 등 관련된 법칙을 모두 이해하고 있으나 일부 법칙을 현상에 적용하여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가속좌표계에서의 관성력에 대한 이해가 다소 부족하여, 관성력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약간의 오개념이 있을 수 있고, RLC 교류 회로에 대한 이해에 어려움을 느낀다.

D

운동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의 기본개념을 일부 이해하고 있으며, 개념 적용 과정에서 혼란을 가지고 있고, 어려움을 느낀다. 열 물리에서 기체의 내부에너지, 온도, 압력을 분자운동을 설명하는데 과학적 오류가 발견되고 이상기체의 특징을 일부 진술한다.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법칙의 의미를 일부 진술할 수 있다. 전자기의 기본법칙을 이해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E

운동역학, 전자기학, 파동 등의 기본개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여, 현상에 적용하여 설명하지 못한다. 열 물리의 법칙, 전자기의 기본법칙 등을 단편적으로 진술할 수 있다.

 

3

 

학기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13. 화학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교등학교 화학Ⅱ-㈜교학사)

Ⅰ. 다양한 모습의 물질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101. 여러 가지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이해하고,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와 끓는점의 관계를 안다.

화2101. 여러 가지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하고,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와 끓는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쌍극자-쌍극자 힘, 분산력, 수소 결합 등과 같은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하고,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와 끓는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쌍극자-쌍극자 힘, 분산력, 수소 결합 등과 같은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다양한 분자 간 상호 작용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화2102.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 및 기체 분압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 알아보기

화2102-1.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부피와 압력, 부피와 온도 사이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고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부피와 압력, 부피와 온도 사이의 관계 중 1가지를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말할 수 있다.

화2102.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 및 기체 분압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사이의 관계 알아보기

화2102-2.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여 그 관계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하여 관계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화2102-3. 기체 분압의 의미를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 혼합 기체에서의 기체 분압을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분압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 혼합 기체에서의 기체 분압을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운동에 의한 충돌로 압력이 작용함을 말할 수 있다.

화2102-4.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몰수 사이의 관계를 종합하여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적 관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양적 관계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제시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103.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화2103-1.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을 일부 말할 수 있다.

화2103-2. 기체의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구하고,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기체 분자들이 무질서한 분자 운동으로 확산됨을 말할 수 있다.

화2104.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장력, 모세관 현상 등의 성질을 설명하고, 기상 현상, 식물의 물 흡수 등 자연 및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화2104-1. 물의 다양한 성질을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장력, 모세관 현상 등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장력, 모세관 현상 등의 성질 중 2-3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장력, 모세관 현상 등의 성질 중 1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화2104. 물의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 열용량, 표면장력, 모세관 현상 등의 성질을 설명하고, 기상 현상, 식물의 물 흡수 등 자연 및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화2104-2. 물의 성질과 관련된 자연 및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물의 성질과 관련된 기상 현상, 식물의 물 흡수 등 자연 및 생명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물의 성질과 관련된 기상 현상, 식물의 물 흡수 등 자연 및 생명 현상 중 1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물의 성질과 관련된 기상 현상, 식물의 물 흡수 등을 제시할 수 있다.

화2105. 고체의 종류를 설명하고 금속의 결합 특성과 결정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화2105. 고체의 종류와 금속의 결합 특성 및 결정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고체를 분자 결정, 원자 결정, 이온 결정, 금속 결정 등 몇 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결합 특성을 설명하고, 고체의 결정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고체를 분자 결정, 원자 결정, 이온 결정, 금속 결정 등 몇 가지 종류로 구분하여 각각의 결합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고체에는 분자 결정, 원자 결정, 이온 결정, 금속 결정 등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106.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상변화를 설명한다.

화2106.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고체, 액체, 기체 상태를 구분하여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를 설명하고, 상변화와 관련된 현상을 제시할 수 있다.

고체, 액체, 기체 상태를 구분하여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질의 상이 변화함을 말할 수 있다.

화2107. 용액의 다양한 농도의 개념을 이해하고, 실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화2107. 용액의 다양한 농도의 개념을 설명하고, 실험 결과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몰농도, 몰랄농도, ppm 등 용액의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하고, 특정 농도의 용액을 만드는 실험을 통해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몰농도, 몰랄농도, ppm 등 용액의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몰농도, 몰랄농도, ppm 등 용액의 다양한 농도 개념 중 1~2가지를 말할 수 있다.

화2108.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 총괄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화2108.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 총괄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 총괄성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중 2∼3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중 1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II. 물질 변화와 에너지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201. 화학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됨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반응열 측정하기

화2201-1. 화학 반응을 통해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됨을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의미를 열의 출입에 따른 주위의 온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에너지 차이를 반응열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의미를 열의 출입에 따른 주위의 온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화2201-2.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수반되는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수반되는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화2202. 엔탈피와 결합 에너지의 관계를 설명하고,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화2202. 엔탈피와 결합 에너지의 관계를 설명하고,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열화학 반응에서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엔탈피 변화와 결합 에너지의 관계를 설명하고,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열화학 반응에서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으며, 엔탈피 변화를 이용하여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반응 전후 물질의 종류와 상태가 같으면 반응 경로가 달라도 반응열의 총합은 일정함을 말할 수 있다.

화2203.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에너지 보존의 예 찾아보기

화2203.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가 보존됨을 생활 속의 예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는 다른 형태로 전환될 뿐, 소멸되거나 새로 생성되지 않고 보존된다는 것을 생활 속의 예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는 다른 형태로 전환될 뿐, 소멸되거나 새로 생성되지 않고 보존된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에너지의 총합은 항상 일정함을 말할 수 있다.

화2204. 엔트로피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고립계에서 자발적 변화와 엔트로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화2204. 엔트로피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발적 변화와 엔트로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분자 배열의 무질서도와 관련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고립계와 열린계에서 일어나는 자발적 변화와 엔트로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분자 배열의 무질서도와 관련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고립계에서 자발적 변화는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됨을 말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분자 배열의 무질서도와 관련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205.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이해하고, 자유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자발적 변화가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화2205.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자발적 변화가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계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자발적 변화가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계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가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자유 에너지가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

화2206.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서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화2206.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서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흡열 반응과 발열 반응에서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흡열 반응과 발열 반응 중 1가지 경우에서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화2301.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의 변화가 없는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화2301.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의 변화가 없는 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화학 평형 상태임을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와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화학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화학 평형 상태임을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화학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화학 평형 상태임을 설명할 수 있다.

화2302.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의 상태를 이해하고, 평형 상수를 이용해서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화2302.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의 상태를 설명하고, 평형 상수를 이용해서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하고, 현재의 농도를 평형 상수 식에 대입하여 얻은 반응 지수를 평형 상수와 비교하여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하고, 현재의 농도를 평형 상수 식에 대입하여 반응 지수를 구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다.

화2303. 농도, 압력, 온도가 변함에 따라 화학 평형이 이동함을 관찰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화2303. 농도, 압력, 온도가 변함에 따라 화학 평형이 이동함을 관찰하여 이를 설명하고, 화학 평형의 이동을 평형 상수 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농도, 압력, 온도가 변함에 따라 화학 평형이 이동함을 관찰하고 이를 르 샤틀리에 원리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농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화학 평형의 이동을 평형 상수 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농도, 압력, 온도가 변함에 따라 화학 평형이 이동함을 관찰하고 이를 르 샤틀리에 원리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외부 변화에 의해 계의 평형이 깨지면 그 변화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평형이 이동하여 새로운 평형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화2304.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동적 평형과 증기압의 의미를 이해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를 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화2304.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동적 평형과 증기압의 의미를 설명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를 도표로 나타낼 수 있다.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동적 평형과 증기압의 의미를 설명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를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을 상평형 곡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에 따른 물질의 상태를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이를 통해 일상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상평형 곡선에서 고체, 액체, 기체를 구별할 수 있다.

화2305. 용해 평형에서 용해도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라 용해도가 변한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화2305. 용해 평형에서 용해도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설명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라 용해도가 변한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고체의 용해도 변화, 온도와 압력에 따른 기체의 용해도 변화 이유를 분자 사이의 인력, 엔탈피, 엔트로피를 고려하여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고체와 기체의 용해도가 변화하는 이유를 엔탈피의 변화와 관련지어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고체의 용해도가 변하고, 온도와 압력에 따라 기체의 용해도가 변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화2306.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고, 공통 이온 효과,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산염기의 중화 반응과 염 수용액의 액성 구하기

화2306-1.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산의 가수, 몰농도, 부피를 이용하여 양적 관계를 계산하고, 중화 적정 곡선을 해석할 수 있다.

산과 염기의 중화 반응에서 산의 가수, 몰농도, 부피를 이용하여 양적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중화 반응에서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1:1의 몰수비로 반응함을 말할 수 있다.

화2306-2.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여 미지의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하여 미지의 산 또는 염기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화2306.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고, 공통 이온 효과,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산염기의 중화 반응과 염 수용액의 액성 구하기

화2306-3.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산, 염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짝산-짝염기의 개념을 화학 평형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산, 염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짝산-짝염기의 개념을 화학 평형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공통 이온 효과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과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 중 1가지를 설명할 수 있다.

브뢴스테드-로우리의 산, 염기의 개념을 바탕으로 짝산-짝염기의 개념을 화학 평형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화2306-4.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여 염의 형태와 액성 사이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염의 형태와 액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화2307.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이용하여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를 설명할 수 있다.

화2307.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이용하여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를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를 정의하고 이온화 상수를 식으로 쓰고, 이온화 상수는 평형 상수이므로 농도와 무관하지만 이온화도는 반응 물질의 초기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이용하여 산과 염기의 상대적인 세기를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의 정의와 이온화 상수를 식으로 쓰고, 이온화 상수는 평형 상수이므로 농도와 무관하지만 이온화도는 반응 물질의 초기 농도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의 정의와 이온화 상수를 식으로 쓸 수 있다.

화2308.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 분해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하고, 전기량과 반응의 진행 정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화2308-1. 화학 전지, 연료 전지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볼타 전지, 다니엘 전지, 건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등의 전지 중 4가지 이상을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볼타 전지, 다니엘 전지, 건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등의 전지 중 2-3가지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볼타 전지, 다니엘 전지, 건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등의 전지 중 1가지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2308-2. 전기 분해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하고, 전기량과 반응의 진행 정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전기 분해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하고, 전기량과 반응의 진행 정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전기 분해의 원리를 전자의 이동이나 산화수를 이용하여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전기 분해는 전자 이동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임을 말할 수 있다.

화2309. 자유 에너지를 통해 산화-환원 반응의 전위차를 설명할 수 있다.

화2309. 자유 에너지를 통해 산화-환원 반응의 전위차를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에 의해 발생한 전위차를 표준 환원 전위를 도입하여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의 변화와 전위차의 관계를 통해 반응이 어느 방향으로 일어날 것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에 의해 발생한 전위차를 표준 환원 전위를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의 전위차 때문에 전자가 이동함을 말할 수 있다.

III. 화학 평형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1. ‘다양한 모습의 물질’ 단원 성취수준

A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하고,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와 끓는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몰수 사이의 관계를 종합하여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표 또는 그래프로 정리하고, 그 관계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 혼합 기체에서 기체 분압을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유기적으로 설명하고,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정량적 관계와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다양한 성질을 설명하고 관련된 현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고체의 종류별 결합 특성 및 결정구조를 설명할 수 있다. 상변화를 관련 현상을 이용해 설명할 수 있고,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하며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 총괄성에 대해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B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하고, 분자 간 상호 작용의 크기를 이용하여 끓는점의 관계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온도, 압력, 부피, 몰수 사이의 정량적 관계를 설명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표 또는 그래프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부분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 혼합 기체에서 기체 분압을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으나, 문제를 제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설명하고,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정량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다양한 성질을 설명할 수 있으나,  관련된 현상을 설명하는데 다소 미흡함이 있다. 고체의 종류별 결합 특성을 설명하고 결정구조의 종류를 말할 수 있다.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나, 관련 현상에 익숙하지 못하다.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하지만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데 다소 미흡함이 있다. 묽은 용액의 증기압 내림, 끓는점 오름, 어는점 내림, 삼투압 등 총괄성에 대해 설명하고,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부피와 압력, 부피와 온도 사이의 관계 중 일부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 또는 그래프로 정리할 수 있다. 반응하지 않는 혼합 기체에서 기체 분압을 몰분율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기체 분자 운동론을 이용하여 온도에 따른 기체 분자 운동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확산 속도와 분자량의 관계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다양한 성질을 몇 가지 설명하고, 관련된 자연 및 생명 현상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으며 고체의 종류를 구분하여 각각의 결합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상을 구분하여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할 수 있으며, 묽은 용액의 총괄성 중 몇 가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D

분자 간 상호 작용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의 부피와 압력, 온도 사이의 정량적 관계에 익숙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이용하여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표 또는 그래프로 정리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기체 분압 관련 수식 및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을 말할 수 있고, 그레이엄 법칙을 제시할 수 있다.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다양한 성질을 몇 가지 설명할 수 있으나, 관련된 자연 및 생명 현상 중 일부를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고체의 종류와 결합 특성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의 변화에 따른 상변화에 익숙한 편이나 이를 자신의 언어로 거의 설명하지 못한다.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다양한 수식을 쓸 수 있고, 묽은 용액의 총괄성 중 몇 가지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E

분자 사이에 작용하는 다양한 분자 간 상호 작용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보일의 법칙과 샤를의 법칙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말하고, 이상 기체 상태 방정식을 제시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기체의 압력과 부피의 관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기체의 운동에 의한 충돌로 압력이 작용함을 말할 수 있으며, 기체 분자 운동론의 가정 일부를 제시하고 무질서한 분자 운동에 의한 기체 분자의 확산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분자 구조와 수소 결합의 특성을 이용하여 물의 다양한 성질을 몇 가지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관련된 자연 및 생명 현상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고체의 종류를 말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질의 상이 변화함을 말할 수 있으며, 몰농도, 몰랄농도, ppm 등 용액의 농도를 표현하는 방법 중 일부를 말할 수 있다. 묽은 용액의 총괄성 중 몇 가지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미흡함이 있다.

2. ‘물질 변화와 에너지’ 단원 성취수준

A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의미를 열의 출입에 따른 주위의 온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반응열을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에너지 차이로 설명할 수 있다.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고, 엔탈피 변화와 결합 에너지의 관계, 헤스의 법칙을 통해 관련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다양한 생활 속 예를 통해 에너지 전환과 보존을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엔트로피와 반응의 자발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계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자발적 변화가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통해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하고, 온도에 따른 반응의 자발성을 결정할 수 있다.

B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의미를 열의 출입에 따른 주위의 온도 변화로 설명할 수 있으나 반응열을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에너지 차이로 설명하는데 다소 미흡함이 있다.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표로 정리하고, 주어진 식을 통해 반응열을 구할 수 있다.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고, 엔탈피 변화와 결합 에너지의 관계, 헤스의 법칙을 통해 관련된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일부 사례에 대해 에너지 전환과 보존을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자발적 변화가 항상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계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자유 에너지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자발적 변화가 일어남을 설명하는데 미흡함이 있다. 자유 에너지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반응의 자발성과 자유 에너지의 관계를 설명하고, 관련된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통해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으나, 온도에 따른 반응의 자발성을 결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C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의 의미를 열의 출입에 따른 주위의 온도 변화로 반응열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할 수 있다.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고, 엔탈피 변화를 이용하여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에너지 전환과 보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하고, 고립계에서 일어나는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일정한 온도, 압력에서 자유에너지의 의미를 계의 엔탈피와 엔트로피를 사용하여 정성적으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가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온도에 따라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 중 일부에 대해 온도에 따른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D

발열 반응과 흡열 반응에 대한 이해는 충분하지 않으나, 그 의미를 암기하여 말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는데 미흡함이 있다. 반응열을 엔탈피 변화로 나타낼 수 있고, 헤스의 법칙을 말할 수 있다. 에너지 전환과 보존에 대한 설명이 미흡하다. 엔트로피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할 수 있으나, 고립계에서의 엔트로피의 변화 방향과 반응의 자발성의 관계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자유 에너지가 엔탈피, 엔트로피와 관련된 개념이며, 반응의 자발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반응의 자발성과 온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하지만 자기만의 언어로 설명하지 못한다.

E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될 수 있다는 사실만 알고, 제시된 방법에 따라 반응열 측정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헤스의 법칙을 암기하여 말할 수 있고,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의 총합이 일정함을 말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짓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엔탈피와 엔트로피로부터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하지 못하지만 자유 에너지와 반응의 자발성이 관련 있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온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3. ‘화학 평형’ 단원 성취수준

A

화학 평형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자유 에너지,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하고,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평형 이동을 르 샤틀리에의 원리와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동적 평형과 증기압을 설명할 수 있고,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고, 생활 속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용해도와 용해도 변화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하여 미지 용액의 농도를 구할 수 있다. 중화 반응에서 양적 관계를 계산하고, 중화 적정 곡선을 해석할 수 있다. 공통 이온 효과,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염의 형태와 액성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를 설명할 수 있다.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 분해의 원리, 전기량과 반응의 진행 정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에 의해 발생한 전위차를 표준 환원 전위를 도입하여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의 변화와 전위차의 관계를 통해 반응이 어느 방향으로 일어날 것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

B

화학 평형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자유 에너지,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대부분 설명하고,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으나, 반응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평형 이동을 르 샤틀리에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나,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정량적인 예측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고체, 액체, 기체 사이의 동적 평형과 증기압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고, 생활 속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용해도와 용해도 변화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하여 미지 용액의 농도의 일부를 구할 수 있다. 중화 반응에서 양적 관계를 설명하고, 공통 이온 효과,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을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하여 염의 형태와 액성 사이의 관계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와 이온화 상수를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 분해의 원리, 전기량과 반응의 진행 정도와의 관계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반응물과 생성물에 의해 발생한 전위차를 표준 환원 전위를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자유 에너지의 변화와 전위차의 관계를 통해 반응이 어느 방향으로 일어날 것인지를 설명하는데 미흡함이 있다.

C

화학 평형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와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가역 반응에서의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하고 반응 지수를 구할 수 있다. 평형 이동을 르 샤틀리에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고, 생활 속의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변하는 이유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화 반응에서의 양적 관계를 계산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중화 반응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할 수 있으며, 공통 이온 효과와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표로 정리할 수 있다. 이온화도의 정의와 이온화 상수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중 일부를 설명하고, 전기 분해의 원리를 산화-환원 반응으로 설명할 수 있다. 산화-환원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전위차를 표준 환원 전위를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다.

D

화학 평형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로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 변화가 없는 상태가 화학 평형 상태임을 말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으나 반응 지수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평형 이동 중 일부를 르 샤틀리에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상평형 곡선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나, 생활 속의 현상을 설명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변하는 이유를 열역학적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중화 반응에서 양적 관계를 일부 계산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중화 반응 실험과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결과를 표나 그래프로 정리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공통 이온 효과와 염의 가수 분해에 의해 만들어진 용액의 특성 중 일부를 설명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온화도의 정의를 말할 수 있고, 이온화 상수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중 일부를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전기 분해의 원리를 전자의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표준 환원 전위의 의미를 말할 수 있으나, 산화-환원 반응에서 발생한 전위차와 연결지어 설명하는 데 미흡함이 있다.

E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가 화학 평형 상태임을 설명할 수 있다. 가역 반응에서 동적 평형 상태를 설명할 수 있으며, 르 샤틀리에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상평형 곡선에서 고체, 액체, 기체를 구별할 수 있다. 온도와 압력에 따른 고체와 기체의 용해도 변화를 말할 수 있다. 제시된 방법에 따라 산-염기 중화 반응 실험과 염 수용액의 액성을 구하는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중화 반응에서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1:1의 몰수비로 반응함을 말할 수 있다. 화학 평형과 관련지어 짝산-짝염기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이온화도의 정의와 이온화 상수를 식으로 쓸 수 있다. 볼타 전지에 대해 설명하고, 전기 분해가 전자 이동에 의한 산화-환원 반응임을 말할 수 있다. 산화-환원 반응에서 반응물과 생성물의 전위차 때문에 전자가 이동함을 말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 수준

<1학기>

화학Ⅱ과목 성취수준

A

분자 간 상호 작용과 끓는점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상태에 따른 물질의 성질과 상변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설명하고, 묽은 용액의 총괄성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 출입을 엔탈피의 변화로 나타내고, 이를 결합 에너지, 헤스의 법칙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와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하고, 반응의 자발성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자발적 변화의 방향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평형 상수와 르 샤틀리에의 원리를 이용하여 용해 평형, 상평형 등에서 변화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의 개념을 이용하여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평형,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분해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B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끓는점을 비교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상태에 따른 물질의 성질과 상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용액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표현하는데 다소 미흡함이 있다. 묽은 용액의 총괄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지만 문제 해결에 다소 어려움을 겪는다.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 출입을 엔탈피의 변화로 나타내고, 이를 결합 에너지, 헤스의 법칙과 관련지어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의 일부 사례에 대해 에너지가 보존됨을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와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하고, 반응의 자발성과의 관계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자발적 변화의 방향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변화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설명하고,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용해 평형, 상평형 등에서 변화의 진행 방향을 대부분 예측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의 개념을 이용하여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평형,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분해의 원리를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C

분자 간 상호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상태에 따른 물질의 성질과 상변화를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농도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몇 가지 사례에 대하여 묽은 용액의 총괄성 개념을 설명하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 출입을 엔탈피의 변화로 나타내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엔탈피를 이용하여 헤스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에너지 보존에 대해 알지만 생활 속의 예에 적용하지는 못한다. 엔트로피와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고, 자유 에너지가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온도에 따른 자발적 변화의 방향을 이용하여 물질의 상변화를 일부 설명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용해 평형, 상평형의 몇 가지 예에 대하여 변화의 진행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의 개념을 이용하여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평형, 화학 전지, 연료 전지, 전기분해의 원리를 일부 설명할 수 있다.

D

분자 간 상호 작용 중 일부를 설명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상태에 따른 물질의 성질을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지만 미흡함이 있다.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다양한 수식을 쓸 수 있다. 몇 가지 사례에 대하여 묽은 용액의 총괄성 개념을 설명하지만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다. 반응열을 엔탈피로 나타낼 수 있다. 헤스의 법칙 및 에너지 보존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정성적인 의미를 설명할 수 있으나, 엔트로피의 변화 방향과 반응의 자발성의 관계를 혼동하는 경우가 있다.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하고, 자유 에너지로 반응의 자발성을 결정할 수 있음을 말할 수 있다. 반응의 자발성과 온도의 관계를 일부 이해하지만 자기만의 언어로 설명하지 못한다.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설명하고,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용해 평형, 상평형의 몇 가지 예에 대하여 변화의 진행 방향을 정성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산-염기 중화 반응에서의 평형, 볼타 전지의 원리를 일부 설명할 수 있다.

E

분자 간 상호 작용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기체, 액체, 고체 상태에 따른 물질의 성질을 일부 말할 수 있다. 용액의 농도를 표현하는 방법 중 일부를 말하고, 묽은 용액의 총괄성 개념과 관련된 예를 말할 수 있다. 화학 반응이 일어날 때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것을 알고, 헤스의 법칙을 암기하여 말할 수 있다. 화학 반응에서 에너지의 총합이 일정함을 말할 수 있다. 엔트로피의 의미를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반응의 자발성과 관련짓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자유 에너지의 의미를 설명하지 못하지만 자유 에너지와 반응의 자발성이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자발적 변화의 방향이 온도에 의존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화학 평형을 자유 에너지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나, 평형 상수를 이용하여 용해 평형, 상평형의 몇 가지 예에 대하여 변화의 진행 방향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산과 염기의 상대적 세기를 구별할 수 있고, 볼타 전지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4. 생명과학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교학사 생명과학Ⅱ)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세포와 물질대사

생2111. 세포소기관들이 기능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이해한다.

1. 세포의 특성

생2111-1. 세포설과 세포 연구에 이용되는 현미경, 세포분획법, 자기방사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세포설을 알고 세포 연구 방법의 종류와 각각의 이용 방법 및 활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세포는 생명체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임을 알고 세포 연구 방법의 종류를 열거할 수 있다.

모든 생명체는 세포로 되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111-3. 현미경으로 세포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세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현미경 배율의 변화에 따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의 크기 측정에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대물 마이크로미터가 이용됨을 알고 측정할 수 있다.

세포의 실제 크기를 측정할 수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111-2.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및 유기적인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의 구성을 알고 각각의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및 유기적인 관계를 알고 세포내에서의 물질의 생성과 이동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세포소기관을 종류별로 열거하고 각 세포소기관들의 특징을 정확히 구분할 수 있다.

세포는 여러 세포소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112. 원핵세포와 진핵 세포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생2112-1.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점으로 핵막의 유무뿐 아니라 막성 세포소기관의 발달 유무도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가장 큰 차이점이 핵(또는, 핵막)의 유무임을 말할 수 있다.

세포는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로 구분됨을 안다.

생2112-2.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를 세포소기관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에서 세포소기관의 차이를 알고 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에서 서로 다른 세포소기관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세포소기관 구성이 다름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세포와 물질대사

 

생2113. 확산, 삼투, 능동수송 등 세포막을 통한 물질 출입 현상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막을 통한 물질의 이동 실험하기

 

[탐구 활동]

리포솜의 활용에 대해 조사, 토론하기

1. 세포의 특성

생2113-1. 세포막의 구조와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의 구조를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하고, 인지질 분자의 특성상 지용성 분자의 출입이 용이함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 구조로 되어 있음을 설명하고 반투성막의 성질을 가지고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해 다양한 물질의 출입이 일어남을 말할 수 있다.

생2113-2. 확산과 삼투의 특성과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확산과 삼투의 과정에 에너지 소모가 없음을 알고 단순확산과 촉진확산의 차이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농도 변화에 따른 동, 식물세포의 변화를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확산은 단순확산과 촉진확산으로 구분됨을 알고 삼투압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으며 세포 밖의 농도 변화에 따라 동, 식물세포에 나타나는 변화가 다름을 말할 수 있다.

확산과 삼투가 다르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생2113-3. 능동수송과 세포내 섭취와 세포의 배출의 특성과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능동 수송과정에 에너지소모가 있음을 알고 능동수송의 예인 Na+- K+ 펌프의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확산, 삼투, 능동수송과 비교하여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의 과정과 차이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 내외부의 이온 불균등 분포가 능동수송에 의한 것임을 알고 촉진확산과 능동수송의 차이를 말할 수 있으며, 크기가 큰 물질을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세포내 섭취와 세포외 배출을 제시할 수 있다.

능동 수송은 저농도에서 고농도로 용질이 이동하는 현상이고세포는 크기가 큰 물질을 세포막을 감싸 세포 안팎으로 이동시킴을 말할 수 있다.

생2113-4. 세포 내외 용액의 농도에 따른 세포의 변화를 바탕으로 삼투현상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농도에 따른 동 식물 세포의 변화 차이가 세포벽 때문임을 설명하고 실생활에서의 삼투의 예를 들 수 있다.

삼투의 원리를 알고 농도에 따른 세포의 변화가 삼투 현상 때문임을 이해한다.

세포 주변 농도가 달라지면 세포 형태에 변화가 있음을 안다.

생2113-5. 세포막과 비교하여 리포솜의 특성을 알아보고 리포솜의 활용의 장점과 새로운 활용 분야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리포솜을 활용하는 장점과 활용된 예를 설명할 수 있으며 새로운 활용 분야를 제시할 수 있다.

리포솜과 세포막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고 리포솜의 내용물이 세포로 들어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리포솜이 세포막의 특성을 이용해 만든 인공 구조물임을 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세포와 물질대사

 

 

 

 

생2114. 효소의 구조와 특성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효소의 작용 실험하기

2. 효소의 구조와 기능

생2114-1. 효소의 기능과 특성을 이해하고 효소의 구성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구성이 주효소와 보조인자(조효소, 보결족 등)로 되어 있음을 알고 효소의 종류와 그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주성분이 단백질임을 알고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과정을 통해 화학반응을 촉매함을 설명할 수 있다.

효소가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에 촉매 역할을 함을 말할 수 있다.

생2114-2.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활성이 온도와 pH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를 효소의 주성분과 효소-기질 복합체 형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활성이 온도와 pH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며 효소마다 최적온도와 최적pH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활성이 온도와 pH에 따라 달라짐을 말할 수 있다.

생2114-3. 저해제의 특성을 이해하고 저해 과정에 대해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경쟁적 저해와 비경쟁적 저해의 과정을 비교하고 저해제 농도에 따른 저해효과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저해제는 경쟁적 저해제와 비경쟁적 저해제로 구분할 수 있다.

저해제가 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임을 말할 수 있다.

생2121.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구조와 기능을 안다.

[탐구 활동]

잎의 색소 분리하기

3. 광합성

생2121-1. 생물의 에너지 획득 방법을 알고 세포호흡과 광합성에 의한 에너지 전환을 설명할 수 있다.

종속영양과 독립영양의 차이를 설명하고 세포호흡과 광합성의 관계를 에너지 전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에너지 획득방법을 종속영영과 독립영양으로 구분하고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의 예로 광합성과 세포호흡이 있음을 제시할 수 있다.

물질대사는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121-3. 엽록체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엽록체의 구조를 그림으로 설명하고 명반응은 그라나의 틸라코이드막에서 암반응은 스트로마에서 진행됨을 설명할 수 있다.

엽록체가 이중막 구조임을 알고 외막, 내막, 그라나, 스트로마, 틸라코이드로 구분하고 각각이 특정 기능과 연결됨을 말할 수 있다.

광합성이 엽록체에서 일어남을 말할 수 있다.

생2121-4. 광합성 색소의 기능과 종류를 알고 색소 분리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 색소의 기능과 종류를 이해하고 색소 분리의 원리와 과정을 전개율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 색소는 엽록소와 카로티노이드계색소가 있음을 알고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광합성 색소가 분리됨을 알고 그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식물의 잎에는 여러 가지 광합성 색소가 있음을 알고 이 색소들이 식물의 광합성에 관여함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세포와 물질대사

 

생2123. 광합성의 명반응이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이해한다.

3. 광합성

생2123-2.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이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설명할 수 있다.

명반응 과정에서 물이 분해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ATP 생성이 그라나의 틸라코이드막을 통한 일련의 에너지 전환과정임을 화학적 삼투로 설명할 수 있다.

명반응의 ATP 생성이 그라나의 틸라코이드 막에서 일어나는 순화적 과정과 비순환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을 광계Ⅰ과 광계Ⅱ를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의 명반응 과정에서도 ATP가 생성됨을 말할 수 있다.

생2122. 세포 호흡의 해당과정, TCA회고, 광합성의 암반응이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임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광합성과 관련된 과학사 조사하기

생2122-2. 광합성의 캘빈회로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벤슨과 캘빈의 실험을 바탕으로 이차원 크로마토그래피의 원리를 이해하고 캘빈회로를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캘빈회로는 엽록체의 기질인 스트로마에서 진행됨을 알고 명반응 산물인 NADPH와 ATP가 캘빈회로에 이용됨을 말할 수 있다.

캘빈회로를 통해 이산화탄소로부터 포도당이 합성됨을 말할 수 있다.

생2122-3.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고 관련된 과학사적 사건을 말할 수 있다.

 

광합성과 관련된 과학사적 사건과 실험의 내용과 의미를 설명하고 빛, 온도, CO2 농도 등에 따른 광합성의 영향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이 빛의 세기, 온도, CO2 농도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원리와 이와 관련된 과학사적 사건과 중요한 실험을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 과정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고 이와 관련된 과학사적 사건이 있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121.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구조와 기능을 안다.

4. 호흡

생2121-2.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함께, TCA회로는 기질부위에서 전자전달계는 내막에서 진행됨을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가 이중막 구조임을 알고 외막, 내막, 기질, 크리스타, 막간 공간으로 구분하고 각각이 특정 기능과 연결됨을 말할 수 있다.

세포 호흡이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남을 말할 수 있다.

생2122. 세포 호흡의 해당과정, TCA회고, 광합성의 암반응이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임을 이해한다.

 

생2122-1. 세포호흡의 해당과정과 TCA 회로가 효소에 의한 화학 반응임을 설명할 수 있다.

해당과정과 TCA회로에서 탈수소효소와 탈탄산 효소가 관여하는 단계를 설명하고 그 결과 NADH와 FADH2, CO2 등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해당과정과 TCA회로가 일어나는 장소를 알고 이들 반응에 탈탄산효소와 탈수소효소 등이 관여하는 것과 이 효소들의 기능을 말할 수 있다.

해당과정과 TCA회로에 효소가 관여함을 말할 수 있다.

생2123. 세포 호흡의 전자전달계가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이해한다.

생2123-1. 세포 호흡의 전자전달계가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설명할 수 있다.

전자전달계에서의 ATP 생성이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통한 일련의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화학적 삼투로 설명할 수 있다.

전자전달계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 진행되고 H+의 수송을 거쳐 NADH로부터 3ATP, FADH2로부터 2ATP가 각각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전자전달계가 세포호흡의 과정이고 이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ATP가 생성됨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Ⅰ. 세포와 물질대사

 

생2123. 세포 호흡의 전자전달계와 광합성의 명반응이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이해한다.

4. 호흡

생2123-3. 명반응과 세포호흡의 전자 전달 과정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화학적 삼투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명반응과 세포호흡의 전자전달계에서 생성된 ATP 이용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두 과정의 ATP 생성이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인 화학적 삼투에 의해 이루어짐을 말할 수 있다.

명반응과 세포호흡에서 전자 전달 과정을 통해 ATP가 생성됨을 말할 수 있다.

생2124. 발효를 실생활과 관련지어 이해한다.

[탐구 활동]

발효 실험하기

생2124-1. 산소호흡과 발효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발효보다 산소호흡 과정에서 더 많은 에너지가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고 발효를 예를 들어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산소 유무에 따라 산소호흡과 발효로 구분하고 두 과정 모두 해당과정은 공통으로 일어남을 설명할 수 있다.

산소호흡과 발효의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생2124-2.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알코올 발효와 젖산 발효과정의 의미를 해당과정에 필요한 NADH의 산화와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발효의 과정을 알코올 발효, 젖산 발효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발효의 종류를 말할 수 있다.

생2124-3. 발효와 부패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고 발효를 실생활과 관련지어 말할 수 있다.

부패와 비교하여 발효의 유용성을 실생활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부패의 과정이 생태계에 미치는 중요성을 발표할 수 있다.

발효와 부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예를 들어 말할 수 있다.

발효와 부패의 공통점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Ⅱ. 유전자와 생명공학

 

생2211. 핵산의 구성 성분과 DNA의 구조 및 복제 과정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DNA 모형 만들기

[탐구 활동]

세포에서 DNA 추출하여 분리하기

1. 유전자와 형질 발현

생2211-1. 과학사적인 실험 증거들을 통해 핵산이 유전물질의 본체임을 설명할 수 있다.

형질전환 실험과 파지를 이용한 실험 결과를 통해 핵산이 유전물질의 본체임을 설명할 수 있다.

핵산이 유전물질임을 밝혀낸 과학사적 실험 증거들을 열거할 수 있다.

실험을 통해 핵산이 유전물질로 밝혀졌음을 말할 수 있다.

생2211-2. 핵산의 종류에 따른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DNA와 RNA의 분자 구조와 구조에 따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핵산에는 DNA와 RNA가 있음을 알고, 이 분자들이 유전 정보의 저장 및 전달에 관여함을 말할 수 있다.

핵산에는 DNA와 RNA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211-3. DNA 복제 과정을 실험적 사실을 바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두 가닥의 DNA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보존적으로 복제됨을 설명할 수 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DNA 이중나선이 반보존적으로 복제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이 복제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생2211-4. DNA 모형 제작 활동을 통해 DNA 구조와 복제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이중나선 구조 모형을 제작하여 DNA의 염기서열을 읽을 수 있고, 역평행적인 DNA 구조와 반불연속적인 DNA 복제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이중나선 구조 모형을 제작하여 DNA의 염기서열을 읽을 수 있고, DNA가 이중나선 구조로 이루어져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DNA 모형을 제작하고 DNA가 이중나선 구조임을 말할 수 있다.

생2211-5. 여러 종류의 세포에서 DNA 추출하는 실험을 통해 DNA 분자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추출 실험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DNA가 수용성 고분자 물질이며 세포내의 지질이나 단백질과 따로 분리될 수 있다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추출 실험 과정을 이해하고 실험을 단계적으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끈적이는 긴 실 같은 상태의 물질이 DNA라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추출 실험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DNA가 끈적이는 긴 실과 같은 상태의 물질로 추출됨을 말할 수 있다.

생2212.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생2212-1. 유전정보가 저장된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유전자의 개념을 DNA 분자 내에서 단백질 또는 RNA 합성에 필요한 염기 서열과 연관지어 설명할 수 있다.

유전정보가 DNA의 염기 서열의 형태로 저장됨을 말할 수 있다.

유전정보가 DNA에 저장됨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Ⅱ. 유전자와 생명공학

 

생2212. 유전자로부터 단백질이 합성되는 과정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유전자 발현 과정 모의 실험하기

1. 유전자와 형질 발현

생2212-2. 유전자에서 RNA로 전사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전사과정을 단계적으로 알고, mRNA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DNA의 정보가 RNA로 전해지는 과정이 전사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전정보의 전달에 RNA가 관여함을 말할 수 있다.

생2212-3. mRNA에서 단백질이 합성되는 번역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리보솜, tRNA, mRNA의 역할과 관계를 바탕으로 번역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할 수 있다.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과 mRNA의 염기 서열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유전정보에 따라 단백질이 합성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생2212-4. 모의실험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전사와 번역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각각의 단계에서 일어나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통해 유전자 발현의 전사와 번역 단계를 설명할 수 있다.

모의실험을 수행하여 유전정보가 단백질로 발현됨을 말할 수 있다.

생2213. 원핵세포와 핵세포에서 나타나는 전자 발현의 조절 과정을 이해한다.

생2213-1. 원핵세포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정을 락 오페론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락 오페론을 예로 들어 원핵세포의 유전자 발현 조절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의 오페론을 구성하는 프로모터, 작동유전자, 구조유전자의 개념을 말할 수 있다.

원핵세포는 서로 연관된 기능을 가진 유전자들이 함께 모여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2213-2. 진핵세포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의 조절과정을 전사 단계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진핵세포에서 유전자의 발현 조절 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원핵세포와 다른 방식으로 유전자 발현이 조절됨을 설명할 수 있다.

진핵세포에서는 전사, RNA 가공, 번역, 번역 후 변형 등의 단계에서 발현이 조절되고, 전사 단계가 유전자 발현 조절의 중심 단계임을 말할 수 있다.

진핵세포의 유전자 발현은 원핵세포와 달리 여러 단계에서 조절됨을 말할 수 있다.

생2214. 세포 분화와 기관 형성을 유전자의 발현과 관련지어 이해한다.

[탐구 활동]

유전자 발현에 관한 최신 연구의 활용에 대해 토론하기

생2214-1. 실험적 증거를 통해 세포 분화와 기관 형성이 유전자 발현 조절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임을 설명할 수 있다.

발생 단계 및 조직, 기관의 분화는 그때그때 서로 다른 유전자가 다른 양상으로 발현되어 나타나는 현상임을 실험적 증거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되지 않으면 개체 발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통해, 발생 단계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전자가 선택적으로 발현됨을 말할 수 있다.

기관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세포의 구조와 기능이 분화됨을 말할 수 있다.

생2214-2. 유전자 발현에 관한 최신 연구의 활용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설명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최신의 연구 동향과 의의, 연구의 기대효과를 조사하고 조사 내용을 요약․발표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최신의 연구 동향을 조사하고 내용을 요약․발표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과 관련된 최신의 연구 주제를 나열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Ⅱ. 유전자와 생명공학

 

생2221. 재조합 DNA, 단일 클론 항체, PCR, 인간유전체 사업, 줄기세포, 장기이식 등 생명 공학 기술의 원리를 이해한다.

[탐구 활동]

유전자 재조합 모의 실험하기

2. 생명 공학

생2221-1. 재조합 DNA, 단일 클론 항체, PCR, 인간유전체 사업, 줄기세포, 장기이식 등 생명 공학 기술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의 정의와 목적을 알고, 실제 활용 사례를 통해 각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의 정의와 목적을 알고, 예를 3개 이상 제시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의 정의와 목적을 말할 수 있다.

생2221-2. 모형이나 인터넷 자료를 활용하여 유전자 재조합의 원리와 과정을 알고 설명할 수 있다.

 

모형이나 인터넷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원리와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원리와 응용분야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원리와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이나 인터넷 자료를 조사하여 설명할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원리와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생2222. 생명 공학의 발달 과정과 가능성 및 사회적 쟁점을 인식한다.

[탐구 활동]

생명 공학의 전망 토론하기

[탐구 활동]

생명 윤리 쟁점에 대한 의사결정하기

생2222-1. 생명 공학의 발달 과정과 활용 가능성을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의 발달 과정을 설명하고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의 발달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의 정의를 말할 수 있다.

생2222-2. 생명 공학 기술의 주요 사회적 쟁점을 인식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를 생명윤리의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이 초래한 여러 가지 사회적 논쟁점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이 우리 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생2222-3. 생명 공학 술에 대한 조사 활동을 바탕으로 생명 공학의 전망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생명 공학 기술에 대한 조사와 토론을 바탕으로 생명 공학 기술의 향후 발달 가능성과 그와 관련된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할 수 있다.

자신이 조사해온 생명 공학 기술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생명 공학 기술을 조사하여 나열할 수 있다.

생2222-4. 생명윤리 쟁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이해하고 토론할 수 있다.

생명윤리의 쟁점에 대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의견을 가질 수 있음을 알고 다른 의견을 충분히 존중하면서 토론할 수 있다.

생명윤리의 쟁점에 대해 자신과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에 대해 반론을 말할 수 있다.

생명윤리와 관련된 쟁점을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다.

단원명

교육과정 내용

소단원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Ⅲ. 생물의 진화

생2311. 원시 세포의 탄생 과정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원시 세포 탄생에서 리보자임의 역할에 대해 추리하기

1. 생명의 기원과 진화

생2311-1.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합성되었다는 오파린의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합성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과 이와 연관된 원시 지구 환경을 설명하고, 오파린의 가설 외에 다른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합성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으로부터 원시 지구 환경을 추론할 수 있다.

무기물에서 유기물이 합성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말할 수 있다.

생2311-2. 생명 탄생에 있어 막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생명 탄생에 막이 중요한 이유를 막의 속성과 관련해 설명하고, 원시 생명의 막 구조로 제시되는 다양한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생명 탄생에 막이 중요한 이유를 막이 지니는 속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세포를 둘러싸는 막의 속성을 말할 수 있다.

생2311-3. 원시 생명체에서 유전 정보 전달과 생명 현상을 위해 필요한 분자들을 설명할 수 있다.

원시 생명체의 유전 정보 전달과 생명 현상에 관여하는 여러 분자들의 기능을 이해하고, RNA가 최초의 유전물질로 제시되는 이유를 리보자임의 특성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원시 생명체의 유전 정보 전달과 생명 현상에서 DNA, RNA, 단백질의 역할을 비교할 수 있다.

생명체가 번식과 생존을 하기 위해서 유전 정보 전달 물질과 효소가 필요함을 말할 수 있다.

생2312. 진핵생물의 출현 과정을 이해한다.

생2312-1. 생명체의 출현으로 인한 지구 환경의 변화와 이에 따른 생명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다.

생명에 의해 지구 환경이 변하였으며, 이렇게 바뀐 환경이 다시 생명의 진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광합성 생물과 산소 호흡을 할 수 있는 진핵생물의 진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 생물로 인해 변화된 환경으로 인해 미토콘드리아를 지닌 진핵생물이 번성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생물의 출현으로 지구 환경이 변하였음을 말할 수 있다.

생2312-2. 세포 공생설로 진핵 세포의 생성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 공생설의 과정과 그 증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진화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세포 공생설의 과정을 설명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세포 공생설의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생2313. 다양한 생물의 특징을 생물의 진화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생2313-1. 생물의 진화를 보여주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생물 진화에 관한 여러 종류의 증거와 그 증거들이 가지는 의미 및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생물 진화의 여러 증거(화석, 해부학, 발생학, 생물지리학, 분자 생물학 등)를 예를 들어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생물 진화의 증거가 있음을 말할 수 있다.

Ⅲ. 생물의 진화

생2313. 다양한 생물의 특징을 생물의 진화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1. 생명의 기원과 진화

생2313-2. 인류가 탄생할 수 있었던 적응적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직립 보행으로 인해 가지게 된 사람의 적응적 특징이 사람의 진화적 성공과 연관성을 설명할 수 있다.

직립 보행으로 인해 사람이 가지게 된 장점을 설명할 수 있다.

유인원류와 사람과의 차이를 말할 수 있다.

생2313-3. 생물의 진화 역사를 담은 계통수를 설명할 수 있다.

계통수의 의미와 구성을 그림으로 그려 표현할 수 있으며, 계통수에 담긴 진화론적 정보를 해석하여 설명할 수 있다.

계통수가 생물의 진화 역사를 나타낸 것이며, 이러한 계통수가 가지와 마디로 구성됨을 알고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계통수가 생물의 진화 역사를 나타낸 것임을 말할 수 있다.

2

단원별 성취수준 작성

Ⅰ. 세포와 물질대사

수준

성취수준 서술

A

생물의 기본 단위가 세포임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와 함께 진핵세포의 구성과 각각의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명칭, 기능을 모두 정확히 설명할 수 있다. 세포를 구성하는 세포소기관과 세포막의 특성 및 세포 연구 방법을 알고 세포내에서의 물질 이동을 자기 방사법과 연관시켜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세포막을 통한 물질 출입 현상을 에너지 소모와 관련지어 이해하고 효소의 저해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세포호흡을 유기호흡과 발효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세포호흡의 해당과정, TCA회로와 광합성의 암반응이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임을 이해하며 호흡효소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세포호흡의 전자전달계와 광합성의 명반응이 생체막을 통한 에너지 전환 과정임을 설명할 수 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 내막에서의 산화적 인산화와 틸라코이드막에서의 광인산화 과정을 통한 ATP의 생성을 화학적 삼투로 설명할 수 있다.

B

생물의 기본 단위가 세포임을 일부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의 차이와 함께 진핵세포의 구성과 각각의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명칭, 기능을 적어도 일부분을 정확히 말할 수 있다. 세포의 구성과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기능 및 세포막의 구조와 특성에 대해 정확히 알고 세포막을 통한 물질 출입의 방법을 비교하여 이해하고 세포의 연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물질 대사의 과정을 에너지 출입과 관련지어 동화와 이화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광합성의 과정을 명반응과 암반응으로 세포 호흡의 과정을 해당 과정, TCA 회로, 전자 전달계로 구분하여 일어나는 장소와 과정을 설명하며 각 과정을 종합하여 광합성과 세포호흡의 전 과정을 유기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C

생물의 기본 단위가 세포임을 설명할 수 있다.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과 진핵세포의 구성과 각각의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명칭, 기능을 말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출입방법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세포의 연구 방법을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 효소에 의해 촉매되는 물질 대사의 과정을 동화와 이화로 구분하고 에너지 출입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에서 일어나는 세포호흡의 과정은 해당과정, TCA회로, 전자전달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엽록체에서 일어나는 광합성 과정은 명반응과 암반응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생물의 기본 단위가 세포임을 알고 원핵세포와 진핵세포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의 일부와 세포 소기관의 구조와 명칭, 기능 등의 일부를 말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소기관들이 기능적으로 유기적인 관계에 있음을 이해하고 세포막을 통해 다양한 물질이 출입함은 알고 있으나 물질 출입의 방법을 구분하여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물질 대사를 동화와 이화작용으로 구별할 수 있고 물질 대사와 관련하여 효소의 구조와 기능, 특성 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물질대사의 대표적인 예인 세포호흡은 미토콘드리아,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남을 알고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E

모든 생명체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가 세포이고 세포는 원핵세포와 진핵 세포로 구분됨을 말할 수 있다. 진핵 세포에는 다양한 소기관들이 존재함은 알고 있으나 세포소기관의 구조와 명칭, 기능을 연결하여 설명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효소의 기본 구성과 기능에 대해 알고 세포내에서 이루어지는 물질 대사는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의 과정임을 말할 수 있다. 모든 생물이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세포는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물질 대사의 대표적인 예인 세포호흡과 광합성을 통해 얻음을 말할 수 있다.

Ⅱ. 유전자와 생명 공학

수준

성취수준 서술

A

DNA에 유전정보가 담겨있는 방식을 핵산의 구조를 바탕으로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전정보가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발현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반보존적 복제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실험 과정과 결과를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리보솜, tRNA, mRNA의 역할과 관계를 바탕으로 번역과정 및 유전암호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오페론이 세균에서만 존재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고 진핵세포의 경우 다양한 발현조절 과정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유전정보가 다세포 생물의 각 기관과 조직 그리고 발생단계와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현된다는 사실을 바탕으로 하나의 수정란에서 복잡한 다세포 생물이 발달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생명공학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를 생명윤리의 측면에서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B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반보존적 복제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설명할 수 있다. DNA는 두 가닥이 상대편 가닥을 휘감는 이중나선 형태를 이루며 이 때 서로 상보적인 뉴클레오타이드가 짝을 이룬다는 것과 이러한 구조가 유전물질로서 역할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설명할 수 있다. 발생 단계 및 조직, 기관의 분화는 그때그때 서로 다른 유전자가 다른 양상으로 발현되어 나타나는 현상임을 말할 수 있다. DNA 분자에서 생리적 기능을 갖는 단백질 또는 RNA 합성에 필요한 부분을 유전자라 부르며, 유전자의 DNA 서열에 상보적인 서열을 지니는 RNA가 전사되는 것이 유전자 발현의 첫 단계임을 제시할 수 있다. 세균에서는 같은 경로에 작용하는 단백질 유전자들이 오페론의 형태를 이루어 동일한 방식으로 조절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생명공학 기술의 종류와 원리를 알며 이들이 실제 활용되는 사례를 들고 설명할 수 있다.

C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반보존적 복제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실험 과정과 결과를 설명할 수는 있으나 그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다. 핵산은 4종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중합된 중합체로 뉴클레오타이드가 배열 순서에 의해 유전정보가 수록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유전정보는 DNA 분자에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mRNA의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 따라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결정된다는 사실을 제시할 수 있다. 다세포 생물에서는 조직이나 기관에 따라 그리고 발생 단계별로 발현되는 유전자의 종류가 다르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발생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정상적으로 발현되지 않으면 개체가 정상적으로 발생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할 수 있으며, 생명공학 기술이 초래한 여러 가지 사회적 논쟁점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발표할 수 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반보존적 복제 메커니즘을 뒷받침하는 실험과정을 잘 이해하지 못하나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이 복제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유전자의 정보에 따라 단백질이 합성되는 것을 대략적으로 알며 유전자는 DNA의 일부라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유전자는 필요한 때에 필요한 만큼 발현될 수 있도록 조절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는 있지만 그 조절 양상을 설명하기는 어려워한다. DNA와 RNA 분자의 차이를 2가지 정도 나열할 수 있다. 생명공학 기술이 우리 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으며, 생명공학에 대한 정의를 말할 수 있다.

E

핵산은 DNA와 RNA를 포함하고 이 분자에 유전정보가 담겨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으나 핵산의 구조나 DNA와 RNA의 차이에 대해서는 이해하지 못한다. 핵산에 담겨있는 정보가 발현된다는 것은 알지만 어떻게 발현되고 또한 어떻게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지에 대해 설명하기 어려워한다. 다세포 개체의 모든 세포가 동일한 유전자 조합을 가지나 발생 단계 또는 세포나 조직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유전자가 발현된다는 사실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생명공학 기술의 원리와 발달 과정, 생명공학 기술이 초래한 사회적 쟁점 등에 대해 대략적으로 이해하고 관련 자료를 조사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

Ⅲ. 생물의 진화

수준

성취수준 서술

A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이 생성되고 원시 세포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시 지구 환경을 설명하고, 원시 생명이 탄생할 수 있는 다양한 가설의 장단점을 이해한다. 세포 내 공생설을 이용하여 진핵 생물의 기원에 대해 설명하고,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생물 간의 공생의 예와 효과를 설명할 수 있다. 생물 진화의 여러 증거들을 제시하여 현재 존재하는 생물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다.

B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이 생성되기 위해 필요한 원시 지구 환경과 실험적 근거를 이해하고, 원시 세포가 생성되는 다양한 가설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세포 내 공생설을 통해 진핵생물의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진화를 통해 생물의 다양성이 생성되었음을 설명하 여러 진화의 증거들이 어떤 의미인지를 제시할 수 있다.

C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이 생성되기 위해 필요한 원시 지구 환경을 이해하고 있으며, 원시 세포가 생성되기 위해 필요한 조건을 현재의 생명체의 속성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진핵생물이 출현하는 과정인 세포 내 공생설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다. 진화 과정을 통해 생물의 다양성이 생성되었음을 알고 여러 가지 진화의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이 생성되는 과정과 원시 세포의 속성 및 탄생 과정을 설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을 구분할 수는 있지만 원핵세포로부터 진핵생물이 출현하였다는 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생물 진화에 대한 정확한 개념이 잡혀있지 않지만 생물의 다양성이 진화를 통해 생성된다는 점을 느낀다.

E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이 생성되는 과정과 원시 세포의 속성 및 탄생 과정을 설명하지 못한다.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을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며 원핵생물로부터 진핵생물이 출현한 과정을 설명할 수 없다. 생물 진화에 대한 오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진화를 통해 생물의 다양성이 생성된다는 개념을 가지고 있지 않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수준

성취율

설 명

A

90%이상

각 세포소기관과 세포의 연구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수송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기능, 특징, 조절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유기호흡과 발효를 구분하여 설명하고 유기호흡과 광합성의 과정을 각 단계 별로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ATP 합성과정을 화학삼투설로 설명할 수 있다. DNA에 유전정보가 담겨있는 방식과 유전정보가 다음 세대로 전달되고, 발현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복제 과정을 밝혀낸 실험과정을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할 수 있다. 번역 과정을 각 단계별로 설명할 수 있다. 세균의 유전자 조절 방식을 설명할 수 있다. 수정란에서 복잡한 다세포 생물이 발달하는 과정을 유전자 발현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과정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생명윤리의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다. 원시 세포의 탄생 조건과 다양한 가설을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세포 내 공생설에 근거하여 진핵 생물의 기원에 대한 증거들을 제시할 수 있다.

B

80%이상 ~

90%미만

각 세포소기관과 세포의 연구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수송을 에너지 소모와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효소의 기능, 특징, 조절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유기호흡과 발효의 개념을 알고, 유기호흡과 광합성의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ATP 합성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복제 과정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설명할 수 있다. DNA 이중나선 구조, 염기의 상보성, 유전물질로서 DNA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발생과 분화는 단계 별로 다양한 유전자가 상이한 양상으로 발현되는 현상임을 말할 수 있다. 유전자의 개념과 유전바 발현의 첫 단계가 RNA 전사임을 말할 수 있다. 세균에서 오페론을 통해 유전자 발현이 조절됨을 설명할 수 있다. 생명공학 기술의 종류와 원리를 알며 실제 활용되는 사례를 설명할 수 있다. 원시 세포가 탄생할 수 있었던 원시 지구 환경과 원시 세포 탄생에 관한 다양한 가설을 설명할 수 있다. 세포 내 공생설을 통해 진핵 생물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다. 진화를 통해 생물 다양성이 생성됨을 설명하고 여러 진화의 증거들을 말할 수 있다.

C

70%이상 ~ 80%미만

각 세포소기관과 세포의 연구 방법을 대부분 설명할 수 있다.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을 에너지 소모와 관련하여 구별할 수 있다. 효소의 기능, 특징, 조절과정을 구별할 수 있다. 유기호흡과 발효의 개념, 유기호흡과 광합성의 과정을 일부 설명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ATP 합성과정의 공통적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DNA가 유전물질임을 증명하고 DNA의 복제 과정을 뒷받침하는 실험의 결과를 설명할 수는 있다. 유전정보는 DNA 분자에 염기 서열의 형태로 저장되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mRNA의 염기 서열에 따라 아미노산 서열이 결정됨을 말할 수 있다. 다세포 생물에서 발생 단계, 세포 종류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의 종류가 다름을 말할 수 있다. 생명공학의 발달 과정의 개요와 생명공학이 초래한 사회적 논쟁점에 대해 조사한 내용을 발표할 수 있다. 원시 세포 탄생에 필요한 조건을 현존하는 생물의 속성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세포 내 공생설을 통해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을 설명할 수 있다. 진화를 통해 생물 다양성이 생성되었음을 알고 진화의 증거를 제시할 수 있다.

60%이상 ~ 70%미만

각 세포소기관과 세포의 연구 방법, 세포막을 통해 물질이 수송됨을 알고 수송 방법을 부분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 효소의 기능, 특성, 조절과정을 말할 수 있다. 세포호흡은 미토콘드리아 광합성은 엽록체에서 일어남을 알고 이 두 소기관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핵산이 복제된다는 사실을 말할 수 있다. 유전자의 정보에 따라 단백질이 합성됨을 대략적으로 알고 유전자는 DNA의 일부라는 점을 말할 수 있다. 유전자 발현이 조절되어야 함을 알지만, 조절 양상에 대해서는 제한적으로 설명한다. DNA와 RNA 분자의 차이를 2가지 정도 나열할 수 있다. 생명공학에 대한 정의를 알고 생명공학이 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원시 세포의 속성과 탄생 과정을 일부 이해하고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을 구분할 수 있다. 생물의 다양성이 진화를 통해 생성됨을 말할 수 있다.

E

60%미만 

세포소기관과 세포 연구 방법이 있음을 알고 세포막을 통해 물질이 수송됨을 말할 수 있다. 효소의 기본 구성과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생명 유지를 위해 에너지가 필요하며 에너지를 세포호흡과 광합성을 통해 얻음을 말할 수 있다. DNA와 RNA가 핵산이고 DNA에 유전정보가 담겨있음을 말할 수 있다. 핵산에 담겨있는 정보가 발현된다는 것은 말할 수 있다. 다세포 생물의 모든 세포가 동일한 유전자 조합을 가지나 발생 단계, 세포 종류에 따라 상이한 유전자가 발현됨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생명공학의 원리와 발달 과정, 관련된 사회적 쟁점 등에 대한 조사를 할 수 있다. 원시 세포의 속성 및 탄생 과정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구분, 진핵생물의 출현 과정 등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15. 지구과학Ⅱ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지구과학 II)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Ⅰ. 지구의 구조와 지각 물질   1. 지구의 구조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1101. 지진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지진파를 이용하여 알아낸 지구 내부의 구조와 각 층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한반도 지각 두께 구하기

지21101-1. 지진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밀도에 따른 내부 구조와 각 층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알고, 이를 지진파의 종류 및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진파의 종류와 특성,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진파를 이용하여 알아낸 지구 내부의 구조를 말할 수 있다.

지21101-2.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지각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주시 곡선을 그리고  지각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그린 주시 곡선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주시 곡선을 그릴 수 있다.

지21102. 지구 중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지구의 중력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단진자를 이용한 지구 중력 가속도 측정하기

지21102. 지구 중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지구의 중력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중력을 측정하여 표준 중력의 분포와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중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표준 중력을 정의할 수 있다.

단진자의 주기를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할 수 있다.

지21103.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성질, 그리고 그 변화를 이해한다.

지21103.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성질,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하고, 지구 자기장의 발생과 변화를 그 원인과 함께 설명할 수 있다.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지구 자기장의 존재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현상을 말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Ⅰ. 지구의 구조와 지각 물질  2. 지각의 물질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1201. 조암광물의 러 가지 성질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편광 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암광물의 광학적 특성 관찰하기

지21201-1.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설명하고 이를 이용하여 광물을 구별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지21201-2. 조암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하고,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편광 현미경으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하고 설명할 수 있다.

편광 현미경으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다.

편광 현미경을 조작하여 광물을 관찰할 수 있다.

지21202. 마그마의 생성과정과 분화작용을 이해한다.

지21202. 마그마의 생성과 분화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고 분화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마그마가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생성된 마그마가 분화됨을 말할 수 있다.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한 조건을 말할 수 있다.

지21203. 마그마의 종류와 산출 상태에 따라 다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암석의 특징 관찰 및 분류하기

지21203. 마그마의 종류와 산출 상태에 따라 다양한 화성암이 생성됨을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고, 화성암을 산출 상태와 마그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다양한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고, 관찰된 특징을 산출 상태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다양한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고 비교할 수 있다.

지21204. 퇴적암의 생성과정과 퇴적구조를 이해하고 퇴적환경을 해석하는 데 이를 활용한다.

지21204. 퇴적암의 생성과정을 설명하고, 퇴적 구조를 이용하여 퇴적환경을 해석할 수 있다.

퇴적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퇴적구조를 이용하여 퇴적환경을 해석할 수 있다.

퇴적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퇴적환경에 따른 퇴적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퇴적암의 생성 과정을 말할 수 있다.

지21205. 변성암의 생성과정과 주요 변성암의 특징을 설명한다.

지21205. 변성 작용의 요인과 과정을 설명하고, 변성암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변성 작용의 요인을 제시하고, 주요 변성암의 생성 과정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변성 작용의 요인을 제시하고, 주요 변성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변성 작용의 요인을 제시할 수 있다.

Ⅰ. ‘지구의 구조와 지각 물질’ 단원 성취수준

A

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에 대한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그 원리를 이해하며, 다양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지진파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지각의 두께를 구하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중력을 측정하여 표준 중력과 비교하고, 중력 탐사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하고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변화를 그 원인과 함께 설명할 수 있다. 지구를 구성하는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알고, 성질을 이용하여 광물을 구별할 수 있으며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고 분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대표적인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여, 화성암을 산출 상태와 마그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퇴적암과 변성암의 생성 과정과 특징을 설명하고, 퇴적구조를 이용하여 퇴적환경을 해석할 수 있다.

B

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에 대한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원리를 이해하고 제한적인 상황에서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지구 내부 각 층의 특징을 지진파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주시 곡선을 이용하여 지각의 두께를 구할 수 있다. 중력을 측정하여 표준 중력과 비교할 수 있으나 중력 이상의 원인을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을 보인다. 지구 자기 3요소와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과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지구를 구성하는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알고, 성질을 이용하여 광물을 구별할 수 있으며 편광 현미경으로 관찰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마그마가 생성되고 분화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화성암을 산출 상태와 마그마의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퇴적암과 변성암의 생성 과정과 특징을 설명하고, 퇴적환경에 따른 퇴적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C

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에 대한 사실들을 알고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있으며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원리를 이해하고 있다. 지진파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주시 곡선을 그리고 지각의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중력을 측정하는 방법을 알고 표준 중력 분포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을 설명하고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징을 설명하고 편광 현미경으로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관찰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서 마그마가 생성되는 과정과 생성된 마그마가 분화됨을 알고,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여 관찰된 특징을 산출 상태에 따라 비교할 수 있다. 퇴적암과 변성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퇴적 환경에 따른 퇴적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D

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에 대한 현상과 사실을 알고 있고 부분적으로는 기본 개념을 파악하고 있으나 암기된 기억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지진파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설명할 수 있으나 지진파의 특성과 관련짓지 못한다.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주시 곡선을 그리고 단진자의 주기를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할 수 있다. 지구 자기장의 발생 과정을 설명하고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특징을 설명하고 편광 현미경을 조작하여 광물을 관찰할 수 있다.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한 조건을 설명하고,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여 비교할 수 있으나 그 원인을 설명하는 데는 부족하다. 퇴적암과 변성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퇴적 환경에 따른 퇴적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E

지구의 구조와 지각의 물질에 대한 현상과 사실을 알고 있으나 기본 개념을 파악하는 데는 어려움을 겪는다. 지구 내부가 층상 구조임을 알고 지진파 자료를 이용하여 주시 곡선을 그릴 수 있다. 단진자의 주기를 이용하여 중력을 측정하고 지구 자기장의 자북과 진북이 일치하지 않음을 말할 수 있다. 탐구를 수행하면서 탐구의 결과를 성취기준과 연결시키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조암광물의 물리적 특징 또는 화학적 특징을 설명하나 편광 현미경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다.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한 조건을 설명하고, 화성암의 특징을 관찰하여 비교할 수 있다. 퇴적암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고, 변성 작용의 요인을 제시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2101. 지구 내부에너지의 근원이 무엇이며,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한다.

지22101. 지구 내부에너지의 근원이 무엇이며,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열원에 대해 열거하고, 그 중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에 의한 에너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지각 열류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전 세계의 지각 열류량 분포가 지역에 따라 다름을 이해하고, 다양한 지역에서 같게 혹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열원에 대해 열거하고, 그 중 방사성 동위 원소의 붕괴에 의한 에너지에 대해서 설명하고, 지각 열류량의 개념을 정의하고 설명할 수 있다.

지구 내부에 존재하는 다양한 열원을 제시할 수 있다.

지22102. 지각의 융기와 침강 운동이 있었음을 여러 가지 지질학적 증거를 제시하고, 지각 평형설을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다.

지22102. 지각의 융기와 침강 운동이 있었음을 여러 가지 지질학적 증거를 제시하고, 지각 평형설을 도입하여 설명할 수 있다.

지각 평형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그 중 프래트설과 에어리설을 이해하여 비교할 수 있다. 조륙 운동과 조산 운동을 정의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각각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를 열거할 수 있다. 지각 평형설을 적용하여 조륙 운동의 과정과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지각 평형설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으며  조륙 운동과 조산 운동을 정의하여 비교하고, 각각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예를 열거할 수 있다.

조륙 운동과 조산 운동을 정의할 수 있다.

지22103. 대륙 이동설 이후 판구조론이 대두되기까지 과정과 이를 뒷받침하였던 여러 가지 증거를 이해한다.

지22103-1. 대륙 이동설 이후 판구조론이 대두되기까지 과정과 이를 뒷받침하였던 여러 가지 증거를 이해하여 설명할 수 있다.

베게너 이전의 대륙 이동설을 이해하고,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다양한 증거를 이용해 설명할 수 있고, 판구조론이 대두되기까지의 과정 및 이론(맨틀 대류, 고지구 자기, 해양 지각의 확장)과 판구조론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판구조론의 기본 개념 특히, 지각과 맨틀의 최상부를 합친 암석권으로 이루어진 판을 설명하고 전 세계에 다양하게 분포하는 판을 설명할 수 있다.

베게너 이전의 대륙 이동설을 이해하고,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다양한 증거를 이용해 설명하고, 판구조론이 대두되기까지의 과정과 이론(맨틀 대류, 고지구 자기, 해양 지각의 확장)과 대륙 이동설과 해양저 확장설을 합친 판구조론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판구조론의 기본 개념 특히, 지각과 맨틀의 최상부를 합친 암석권으로 이루어진 판을 설명할 수 있다.

베게너 이전의 대륙 이동설이 있었음을 인식하고,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 맨들 대류설, 해양저 확장설, 판구조론을 정의하고 각 이론이 다름을 안다.

지22103-2. 판 구조론이 대두되기까지 과과 이론을 과학사적 관점에서 이해하여 설명할 수 있다.

판 구조론과 판 구조론이 정립되기 전까지 제안된 다양한 이론들에 대해서 이해하여 과학의 잠정성을 인식할 수 있고, 호기심, 개방성 등의 다양한 과학적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판 구조론과 판 구조론이 정립되기 전까지 제안된 다양한 이론들에 대해서 이해하여 과학의 잠정성을 인식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론들이 발전하여 판 구조론이 정립되었음을 말할 수 있다.

지22104. 화산, 지진, 조산운동 등의 지각 변동을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22104. 화산, 지진, 조산운동 등의 지각 변동을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판 구조론적 관점에서 지각 변동과 판의 경계의 특징과 지질 활동의 차이를 적용하여, 대표적인 지형에 대해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다.

판과 판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나는 판의 경계가 발산 경계, 수렴 경계, 보존 경계로 구분됨을 알고 각각의 경계에 대한 특징과 각각의 경계에서 발달하는 대표적인 지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판과 판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판의 경계가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지22105. 판 경계에 따라 생성되는 마그마의 종류가 다름을 이해한다.

지22105. 판 경계에 따라 생성되는 마그마의 종류가 다름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판의 경계 특성에 따라 화학성분이 다른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음을 이해하고 각 경계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마그마의 생성과정과 종류를 설명할 수 있다.

판의 경계 특성에 따라 화학성분이 다른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마그마가 생성될 수 있음을 안다.

지22106. 다양한 지구조(습곡, 단층, 부정합)의 생성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22106. 다양한 지구조(습곡, 단층, 부정합)의 생성과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지질 구조의 종류, 구조, 생성 과정을 적용하여 대표적인 지형에 대해 설명하고 해석할 수 있다.

암석의 물성, 변형이 일어나는 온도, 압력(깊이)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지질 구조가 생성됨을 이해하고, 각각의 차이점을 적용하여 단층, 습곡, 부정합을 구할 수 있으며, 각 지질 구조의 종류, 구조,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암석의 물성, 변형이 일어나는 온도, 압력(깊이)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지질 구조가 생성됨을 말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2. 지구의 역사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2201. 지사학의 주요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지구의 역사 해석에 적용한다.

지22201. 지사학의 주요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지구의 역사 해석에 적용할 수 있다.

암석층의 특징, 포함된 화석을 보고 지사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서로 멀리 떨어진 지층의 생성 순서를 설명할 수 있다.

지층의 단면도를 보고 지사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지층의 생성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지사학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지22202. 지층의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주어진 자료로부터 절대 연대 구하기

지22202. 지층의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를 구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지층의 연대측정에 활용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해서 지층의 절대 연대를 측정하고 그 원리를 설명할 수 있으며, 지층의 상대 연대를 측정하고 설명할 수 있다.

지층의 절대연대와 상대연대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층의 상대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지층의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를 구분해서 말할 수 있다.

지22203.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을 기(期) 수준에서 이해하고,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지22203.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을 기(期) 수준에서 이해하고,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질 시대별로 나타나는 화석들과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질 시대의 환경과 생물을 말할 수 있다.

지구의 역사를 여러 지질 시대로 말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2301. 지질조사에 필요한 도구를 다룰 수 있고, 지질도를 해석한다.

지22301-1. 지질조사에 필요한 도구를 다룰 수 있다.

주향과 경사를 클리노미터로 측정하여 지질도에 나타낼 수 있다.

주향과 경사를 클리노미터로 측정할 수 있다. 

주향과 경사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다.

지22301-2. 지질도를 해석할 수 있다.

지질 단면도를 그려 지층의 순서를 추측하고 지층이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질 단면도를 해석하여 지층의 순서를 말할 수 있다.

지질 단면도에 나타난 지질도 기호를 제시할 수 있다.

지22302. 우리나라의 주요 암석 및 화석과 분포를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 및 지질시대와 관련지어 이해한다.

지22302. 우리나라의 주요 암석 및 화석과 분포를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 및 지질시대와 관련지어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체구조구와 지질분포를 지질 계통과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지체구조구와 지질분포를 말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주요 암석의 분포를 제시할 수 있다.

지22303.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지22303.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과 주변 지역의 형성과정을 화석들과 판구조론을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과정을 판구조론에 입각하여 말할 수 있다.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순서대로 말할 수 있다.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단원 성취수준

A

지구 내부에너지의 근원에 대한 호기심을 가지고 지각열류량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화산, 지진, 조산운동 등의 지각 변동을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판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말할 수 있다. 지사학의 주요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추리할 수 있으며,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하여 지층의 절대 연대를 측정할 수 있다. 지구의 역사를 여러 지질 시대로 구분함을 이해하고, 각 지질시대의 환경과 나타나는 화석 및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설명할 수 있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수 있고 지질도를 작성하고 해석할 수 있으며, 한반도의 지질과 지질 계통 및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B

판구조론에 대해 이해하고 있으며, 판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지층의 연대 측정의 경우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를 확실하게 구별할 수 있다. 지사학의 기본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잘 추리하지만,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를 이용한 지층의 절대 연대 측정에서는 다소 혼란을 겪는다. 클리노미터를 이용한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한반도의 지질학적 형성 과정을 기술할 수 있다. 주어진 지질도에 대한 해석을 할 수 있으며 지질도를 직접 작성해 보는 과정에서는 막히는 경우가 있지만 충분한 시간이 주어지는 문제 상황에서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C

판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구분할 수 있으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자신의 언어로 설명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몇몇 특징에 대해서는 단순히 기계적인 암기를 통해서 다른 경계와 구별하고 있는 수준이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에 대해 완전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지층의 절대 연대를 측정하지 못한다. 주어진 지질도를 해석할 수 있으나, 지질도를 스스로 작성해 보는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D

판구조론에 익숙하며 이를 자신의 언어로 설명할 수 있다. 제한적인 문제 상황에서 판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나열할 수 있지만, 기계적인 암기를 하고 있는 수준이며 그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 지사학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층의 생성 순서를 추리할 수 있지만,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에 대한 개념을 갖고 있지 못하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수 있으나 지질도의 해석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어려움을 겪는다.

E

판구조론에는 익숙한 편이나 이를 설명하는 자신의 언어는 가지고 있지 못하다. 판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나열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지사학의 원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결과적으로 이를 지층의 생성 순서 추리까지 활용하지 못한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에 대한 이해력 부족으로 이들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Ⅲ.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1. 대기의 운동과 순환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3101. 단열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건조단열변화와 습윤열변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지23101. 단열변화의 과정을 이해하고, 건조단열변화와 습윤단열변화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건조한 공기와 습윤한 공기가 상승 또는 하강함에 따라 나타나는 기온과 습도 변화를 단열 팽창과 단열 압축 과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건조 단열 감률, 습윤 단열 감률 및 이슬점 감률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공기가 단열적으로 상승하고, 하강할 때의 기온 변화를 건조한 공기와 습윤한 공기로 구분하여 말할 수 있다.

공기가 단열적으로 상승할 때는 기온이 내려가고, 하강할 때는 기온이 상승한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지23102. 기온의 연직 분포와 대기의 안정도와의 관계를 이해하고, 안개 및 구름의 발생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단열선도를 이용하여 대기의 안정도 해석하기

지23102-1. 단열선도를 이용하여 대기의 안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열선도를 보고 기온의 연직 분포와 단열선의 변화 양상을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의 안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열선도를 보고 기온의 연직 분포와 단열선의 변화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단열선도를 보고 기온선과 단열선을 찾을 수 있다.

지23102-2. 안개 및 구름의 발생 원리를 대기의 안정도를 통해 설명할 수 있다.

구름과 안개가 수증기가 응결된 것임을 알고, 대기의 안정도에 따른 구름과 안개의 생성 형태를 설명할 수 있다

구름과 안개가 수증기가 응결된 것임을 알고, 대기가 불안정할 때, 구름이 발생함을 설명할 수 있다.

구름과 안개가 수증기가 응결된 것임을 말할 수 있다.

지23103. 정역학 평형을 이용하여 대기압 및 대기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이해한다.

 

지23103. 정역학 평형을 이용하여 대기압 및 대기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기압과 기압경도력을 정역학 평형의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고, 정역학 방정식을 통해 대기압과 기압 경도력을 수식으로 표현하여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기압이 공기의 압력이라는 것을 알고, 대기에서의 정역학 평형이 연직 기압 경도력과 중력의 평형임을 말할 수 있다.

대기압이 공기의 압력임을 말할 수 있다.

 

지23104.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의 발생 원리와 관련된 힘의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회전 원판을 이용한 전향력 실험

지23104-1. 회전원판을 이용한 실험을 통해 전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전향력의 크기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회전원판 실험을 통해 전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전향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고, 이를 실제 기상 현상과도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회전원판 실험을 통해 전향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전향력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제시할 수 있다.

회전원판 실험에서 원판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전향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확인할 수 있다.

지23104-2.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의 발생 원리와 특징, 관련된 힘의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인 기압분포와 고도에서의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의 발생 원리와 특징을 기압 경도력, 전향력, 구심력(원심력), 마찰력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고, 각각의 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북반구에서 기압분포와 고도가 주어질 때, 바람을 지균풍, 경도풍, 지상풍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풍향을 말할 수 있다.

바람의 종류를 몇 가지 말할 수 있다.

지23105. 대기 대순환을 지구의 에너지 평형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지구 규모의 풍계와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23105. 대기 순환 규모를 수평 규모와 시간 규모로 구분할 수 있고, 대기 대순환을 지구의 에너지 평형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지구 규모의 풍계와 연관 지어 설명할 수 있다.

대기 순환을 수평 및 시간 규모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대기 대순환을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한 3개의 순환 세포 모양으로 나타남을 위도별 에너지 불균형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대기 순환을 수평 및 시간 규모에 따라 구분할 수 있고, 대기 대순환을 지구 자전에 따른 전향력에 의한 3개의 순환 세포 모양으로 나타남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 대순환이 3개의 순환 세포로 이루어졌음을 말할 수 있다.

 

 

지23106.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지상의 전선 저기압 주변의 날씨를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회전 수조를 이용한 편서풍 파동 실험

[탐구 활동]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를 이용하여 상층 일기도를 분석하고 중장기 예보문 작성하기

지23106-1.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지상의 전선 저기압 주변의 날씨를 설명할 수 있다.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의 발생 과정과 그들의 공기 흐름의 역학적인 원리를 설명할 수 있고, 이를 대기 대순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편서풍 파동과 전선 저기압 발생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북반구에서의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의 모양을 그릴 수 있고, 편서풍 파동이 전선 저기압의 발생과 관련이 있음을 말할 수 있다.

북반구에서 편서풍 파동이 분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지23106-2. 회전수조 실험을 통해 편서풍 파동의 생성 원리와 편서풍 파동과 중위도 열 수송 과정의 관련성을 설명할 수 있다.

회전수조 실험에서 관찰한 물의 흐름을 통해 편서풍 파동의 생성원리를 설명할 수 있고, 이를 중위도에서 나타나는 열 수송 과정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회전수조 실험에서 관찰한 물의 흐름을 통해 편서풍 파동의 생성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회전수조 실험에서 물의 흐름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지23106-3. 편서풍 파동과 제트류를 이용하여 상층 일기도를 해석하여 중장기 일기를 예보할 수 있다.

상층일기도의 기압배치를 통해 편서풍 파동이나 제트류를 찾을 수 있고, 이를 날씨와 관련지어 중장기적인 일기를 예보할 수 있다.

상층일기도를 보고 상층의 바람이 어떻게 부는지 설명할 수 있다.

상층일기도를 보고 지상일기도와 차이점을 말할 수 있다.

지23107. 편동풍 파동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열대성 저기압과 태풍 주변의 날씨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지23107. 편동풍 파동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열대성 저기압과 태풍 주변의 날씨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편동풍 파동의 발생 과정을 대기 대순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편동풍 파동이 날씨에 미치는 영향을 태풍의 발생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편동풍 파동이 나타나는 지역을 알고, 편동풍 파동이 태풍의 발생과 관련 있음을 말할 수 있다.

편동풍 파동이 편서풍 파동과 다름을 말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Ⅲ.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2. 해수의 운동과 순환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3201.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실측 자료를 근거로 해수의 온도, 염분, 밀도, 용존산소량 등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해수 성질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인공위성 자료 조사

지23201. 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실측 자료를 근거로 해수의 온도, 염분, 밀도, 용존산소량 등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을 이해하여 실측 자료(예: 우리나라 주변 해수 성질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인공위성 자료)를 근거로 실제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의 분포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해석할 수 있다.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인 수온,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 등의 위도, 해류, 수심에 따른 분포 및 이들 사이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로 수온,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지23202. 정역학 평형을 이용하여 수압 및 해수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이해한다.

지23202. 정역학 평형 개념을 이해하여 수압 및 해수를 움직이는 힘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압과 수압 경도력을 이해하고, 정역학 방정식을 이용하여 연직 방향에서의 해수의 정역학 평형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해수면이 경사에 의해 발생하는 수평 방향의 수압 경도력을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수압과 수압 경도력을 이해하고, 해수에서의 정역학 평형이 연직 수압 경도력과 중력의 평형임을 말할 수 있다.

수압 경도력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지23203. 해파의 발과정을 이해하고, 천해파와 심해파, 해일의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탐구 활동]

해파(쓰나미) 발생 및 전파 실험

지23203. 해파의 발생과정을 이해하고, 천해파와 심해파를 비교‧설명하며 그 예를 들 수 있다.

파동으로서 해파의 외형적 특성 및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천해파와 심해파를 비교‧설명하며 그 예를 들 수 있다.

파동으로서 해파의 외형적 특성 및 발생 과정을 말할 수 있다.

파동으로서 해파의 외형적 특성을 제시할 수 있다.

지23204. 해일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원인을 이해한다.

[탐구 활동]

해파(쓰나미) 발생 및 전파 실험

지23204. 해일을 발생시키는 여러 가지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해일의 발생 원인에 따른 발생 과정 및 특징 등을 이해하고 실제 피해 사례를 조사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해일의 발생 원인에 따른 종류 및 이들의 발생 과정과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해일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지23205. 조석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각 지역에서의 조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지23205. 조석의 발생 과정을 이해하고, 각 지역에서의 조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조석의 발생 원인을 기조력 또는 달의 운동과 관련지어 이해하고 이를 통해 실제 관측 자료를 근거로 각 지역별 조석 양상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에 의한 기조력이 달에 의한 기조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음을 역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조석의 발생 원인으로서 기조력의 발생 원리를 말할 수 있고 이를 특징적인 조석 양상들과 연결할 수 있다.

조석이 달의 운동과 관계됨을 말할 수 있다.

지23206. 에크만 수송과 취송류, 지형류를 이해하고, 대양의 해류 및 서안 경계류, 동안 경계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지23206. 에크만 수송과 취송류, 지형류 및 경사류를 이해하고, 대양의 해류 및 서안 경계류, 동안 경계류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에크만 수송과 취송류, 지형류, 경사류의 발생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대양에서의 해류 및 서안 경계류, 동안 경계류의 발생 과정과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에크만 수송과 취송류, 지형류의 발생 원리를 말할 수 있다.

해류의 종류로 취송류, 지형류, 경사류, 경계류 등을 제시할 수 있다.

지23207. 심층 순환이 수온과 염분의 차이에 의한 밀도 순환임을 이해하고, 중요한 심층해류를 설명할 수 있다.

지23207. 심층 순환이 수온과 염분의 차이에 의한 밀도 순환임을 이해하고, 중요한 심층해류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의 심층 순환이 수온과 염분 차이에 의한 밀도순환임을 이해하 특정 대양의 수온 - 염분도에서 해수의 밀도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실제 대양에서 나타나는 심층 순환의 양상과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의 심층 순환이 수온과 염분 차이에 의한 밀도순환임을 알고 실제 대양에서 양상을 말할 수 있다.

해수에는 심층 순환이 존재하며 이는 해수의 밀도와 관계있음을 말할 수 있다.

학교급

고등학교

단원명

Ⅲ.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3.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지23301. 대기의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과의 관계를 주요 표층 해류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지23301. 대기의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과의 관계를 주요 표층 해류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표층 순환이 대기 대순환과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발생함을 알고 위도별‧대양별 표층 순환의 모습을 지형류와 경계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해수면의 높낮이 또는 수온 약층의 깊이에 대해서도 설명할 수 있다.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과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발생함을 알고 위도별‧대양별 표층 순환을 대략적으로 그릴 수 있다.

표층 순환은 대기 대순환과 전향력의 영향을 받아 발생함을 말할 수 있다.

지23302.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의 사례로 해수의 용승과 침강, 엘니뇨와 라니냐, 남방진동의 발생 과정과 관련 현상을 이해한다.

지23302.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의 사례로 해수의 용승과 침강 현상을 이해하고 엘니뇨와 라니냐 및 남방진동의 발생 과정과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해수의 용승과 침강 과정을 이용하여 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을 설명하고 이를 남방진동의 발생과정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한 해수의 침강과 용승 과정을 이용하여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 과정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바람에 의해 해수가 침강하거나 용승함을 말할 수 있다.

지23303. 해양의 변화에 따른 기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지23303. 해양의 변화에 따른 기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면의 온도, 대기, 기후 변화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해수의 열염 순환 변화 등 해류의 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규모에서의 기후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해수면의 온도에 따라 대기의 성질이 변화됨을 알고 이를 특정 기후 변화와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해수면의 온도에 따라 대기의 성질이 변화됨을 말할 수 있다.


Ⅲ. ‘대기와 해양의 운동과 상호작용’ 단원 성취수준

A

대기의 운동 단원에서는 단열변화의 원리를 통해 단열감률을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의 안정도를 판단하고 이와 관련된 일기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편서풍 파동과 편동풍 파동의 발생에 대한 역학적 원리를 대기대순환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고 관련된 기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해양의 운동 단원에서는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여 실측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해파의 발생원인 및 과정, 파동으로서 외형적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고, 천해파와 심해파 및 해파와 해일을 각각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기조력의 발생 원리 및 특징적인 조석 양상들을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각 지역에서의 조석양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태양에 의한 기조력과 달에 의한 기조력을 구분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운동 단원을 통틀어 정역학 방정식을 이용하여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에 대해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과 상층의 바람, 표층해류의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대기 대순환 및 해양 표층 순환, 심층 순환의 양상과 역학적 발생 원리 및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태양 상수의 개념을 통해 위도별 에너지 분포를 설명할 수 있고,  전 지구적 에너지 평형의 관점에서 대기와 해양의 대순환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으로서 해수의 침강 및 용승 작용을 이해하여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 및 관련현상을 설명할 수 있고 이를 남방 진동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대기 및 해양의 변화와 기후 변화 사이의 관련성을 이해하여 다양한 기후 변화 사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B

대기의 운동 단원에서는 단열변화의 원리를 통해 단열감률을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대기의 안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편서풍 파동과 편동풍 파동의 발생에 대한 역학적인 원리 및 관련된 기상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해양의 운동 단원에서는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실제 분포 정도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해파의 발생원인 및 과정, 파동으로서의 외형적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고, 천해파와 심해파를 구분하여 설명할 수 있다. 기조력의 발생 원리 및 이를 특징적인 조석 양상들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태양에 의한 기조력과 달에 의한 기조력을 구분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운동 단원을 통틀어 정역학 방정식을 이해하고,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에 대해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상과 상층의 바람, 표층해류의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대기 대순환 및 해양 표층 순환, 심층 순환의 양상과 역학적 발생 원리 및 이들 사이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대기와 해양의 대순환의 역할을 지구의 에너지 평형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해수의 침강 및 용승 작용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고, 그 대표적인 예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대기 및 해양의 변화와 기후 변화 사이의 관련성을 언급할 수 있다.

C

대기의 운동 단원에서는 건조한 공기와 습윤한 공기가 각각 상승하고 하강함에 따른 기온 변화를 단열변화의 원리를 통해 이해하고, 대기의 안정도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편서풍 파동과 편동풍 파동의 개념을 알고 이와 관련된 기상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해양의 운동 단원에서는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들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고, 해파의 발생원인 및 과정을 설명할 수 있고 파동으로서 외형적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기조력의 발생 원리 및 이를 특징적인 조석 양상들과 연결하여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운동 단원을 통틀어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을 알고, 지상과 상층의 바람 및 표층해류의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대기 대순환, 해양 표층 순환, 해양 심층 순환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알고 그 양상을 각각 말할 수 있다. 또한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해수의 침강 및 용승 작용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고, 그 대표적인 예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D

대기의 운동 단원에서는 공기가 상승하고 하강함에 따른 기온 변화를 알고 대기의 안정도와 관련지을 수 있다. 또한 편서풍 파동과 편동풍 파동의 개념을 안다. 해양의 운동 단원에서는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들 사이에 관계가 있음을 알고, 파동으로서 해파의 외형적 특징들을 나열한다. 특징적인 조석 양상들을 나열할 수 있고, 조석이 달의 운동과 관계됨은 알지만 태양의 영향은 생각하지 못한다. 대기와 해양의 운동 단원을 통틀어 지상과 상층에서 부는 바람 및 표층 해류의 종류를 나열하고 각각의 차이를 구분 할 수 있지만, 각각의 발생과정을 설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대기 대순환, 해양 표층 순환, 해양 심층 순환이 있음을 알고 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안다. 또한 바람에 의해 해수의 용승과 침강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알지만, 용승과 침강을 엘니뇨, 라니냐의 발생 원리와 관련짓지 못한다.

E

대기의 운동 단원에서는 공기가 상승하고 하강함에 따라 기온이 변화함을 알지만 이를 대기의 안정도와 관련짓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편서풍 파동과 편동풍 파동의 개념을 알지는 못하지만 이 두 파동이 다르다는 사실은 안다. 해양의 운동 단원에서는 해수의 물리적‧화학적 성질들이 있음을 알고 해파가 파동의 일종임을 알며, 조석이 달의 운동과 관계됨을 안다. 대기와 해양의 운동 단원을 통틀어 지상과 상층에서 부는 바람 및 표층 해류의 종류들 중, 일부를 말할 수 있다. 대기와 해양의 상호작용 단원에서는 대기 대순환, 해양 표층 순환, 해양 심층 순환이 있음을 알지만 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은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 또한 해수의 용승과 침강 현상이 있음은 알지만 이들의 발생 원리와 엘니뇨, 라니냐와의 관련성은 알지 못한다.

나. 과목 성취수준

지구과학Ⅱ과목 성취수준

A

지구와 우주의 다양한 자연 현상을 알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태도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과학의 주요 개념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지구와 우주에 관한 문제에 이를 적용할 수 있다.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지진파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중력의 분포 및 지구 자기장의 발생과 변화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조암광물을 성질에 따라 구별하고, 다양한 암석을 관찰하여 특징을 설명하고 생성 과정을 추론할 수 있다. 화산, 지진 등의 지각 변동을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판의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말할 수 있다. 지층의 상대 연대와 절대 연대를 구하고 지질 시대의 환경과 화석 및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말할 수 있다. 지질도를 해석할 수 있으며, 한반도의 지질 분포와 형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단열변화의 원리와 대기의 안정도를 설명할 수 있다. 해파와 조석의 발생원인 및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에 대해 정량적으로 설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상과 상층의 바람, 표층해류의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으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B

지구와 우주의 다양한 자연 현상을 알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태도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과학의 주요 개념을 파악하고 부분적으로는 원리를 이해하여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지구와 우주에 관한 문제에 적용할 수 있다. 지구 내부 각 층의 조성과 특징을 지진파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하고, 중력의 분포 및 지구 자기장의 변화를 현상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조암광물을 성질에 따라 구별하고, 다양한 암석을 관찰하여 특징을 설명하고 생성 과정을 추론할 수 있다. 화산, 지진 등의 지각 변동을 판구조론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판의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말할 수 있다. 지층의 상대 연대를 구하고 지질 시대의 환경과 화석 및 중요한 지질학적 사건을 말할 수 있다. 지질도를 해석할 수 있고 한반도의 지질 분포를 말할 수 있다.  단열변화의 원리와 대기의 안정도를 설명할 수 있다. 해파와 조석의 발생원인 및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에 대해 정성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으로 엘니뇨와 라니냐의 발생과정 및 관련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C

지구와 우주의 다양한 자연 현상을 알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태도와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 과학의 주요 개념을 파악하고 제한적인 상황에서는 자연 현상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지진파의 종류와 지구 내부 각 층의 특징을 설명하고 표준 중력 및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조암광물의 성질을 설명하고 암석을 관찰하여 특징을 말하고 분류할 수 있다. 판의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구분할 수 있다. 지층의 상대 연대를 구할 수 있다. 주어진 지질도를 해석할 수 있고 한반도의 지질 분포를 말할 수 있다. 단열변화의 원리와 대기의 안정도를 설명할 수 있다. 해파와 조석의 발생원인 및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의 종류를 알고, 지상과 상층의 바람 및 표층 해류의 발생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으로 엘니뇨와 라니냐에 관련된 현상을 말할 수 있다.

D

지구와 우주의 자연 현상에 대해 호기심을 갖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지구 과학의 기본 개념을 이용하여 자연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지진파의 종류와 지구 내부 각 층의 특징을 설명하고 표준 중력 및 지구 자기 3요소를 정의할 수 있다. 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광학적 성질을 관찰하고 다양한 암석을 관찰하여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판의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구분할 수 있다. 지층의 상대 연대를 구할 수 있다.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수 있고 한반도의 지질 분포를 말할 수 있다. 단열변화와 대기의 안정도에 관련된 현상을 제시할 수 있다. 해파와 조석의 발생원인 및 특징들을 설명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를 움직이는 힘의 종류를 알고, 지상과 상층의 바람 및 표층해류의 종류를 제시할 수 있다. 대기와 해수의 상호작용으로 엘니뇨와 라니냐에 관련된 현상을 말할 수 있다.

E

지구와 우주의 자연 현상에 대해 흥미를 갖고 과학적으로 탐구하려는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지구 과학의 기본 개념과 용어를 일부 사용할 수 있다. 지구 내부가 층상 구조임을 알고 중력을 측정할 수 있다. 광물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관찰하고 다양한 암석을 관찰하여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판의 경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질학적 특징들을 제시할 수 있다. 지사학의 원리를 말할 수 있고 지층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할 수 있다. 공기가 상승하고 하강함에 따라 기온이 변화함을 말할 수 있다. 해파가 파동의 일종임을 알며, 조석이 달의 운동과 관계됨을 말할 수 있다. 바람 및 표층 해류의 종류들 중 일부를 말할 수 있다. 대기 대순환과 해양 순환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안다.

16. 한문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 한문Ⅰ)

  (1) 독해 영역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Ⅰ11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

한Ⅰ111-1.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이루는 단어, 구절, 문장 및 시구를 바르게 발음하여 읽을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단어와 단어, 구절과 구절, 문장과 문장 및 시구와 시구가합할 때 일어나는 소리의 변화에 유의하여 읽을 수 있다.

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사용된 단어의 음을 단어를 구성하는 한자와 한자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소리의 변화에 유의하여 읽을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사용된 단어의 발음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111-2.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문 단문, 한문 산문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자와 한자, 단어와 단어, 구절과 구절 사이의 결합 관계에 유의하여 글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글에 사용된 구절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구절을 구성하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 유의하여 구절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글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단어를 구성하는 한자와 한자 사이의 결합 관계에 유의하여 단어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한Ⅰ111-3.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한시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자와 한자, 단어와 단어, 시구와 시구 사이의 결합 관계에 유의하여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시에 사용된 시구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시구를 구성하는 단어와 단어 사이의 결합 관계에 유의하여 시구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

시구를 띄어 읽는 일반적인 원칙에 맞게 한시의 시구를 띄어 읽을 수 있다.

한Ⅰ111-4.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화자의 태도가 드러나도록 읽을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나타나는 화자의 어조에 대해 말할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나타나는 화자의 어조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12. 글을 이루는 구절과 문장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한Ⅰ112.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한문 현토가 되어 있는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를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할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사용된 토와 문장 부호의 구실을 말할 수 있다.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에 사용된 토와 문장 부호의 구실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1. 글을 읽고 풀이할 수 있다.

한Ⅰ121-1. 한문 단문을 풀이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와 분위기에 어울리게 한문 단문을 풀이할 수 있다.

한문 단문에 사용된 단어, 구절을 풀이할 수 있다.

한문 단문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1-2. 한문 산문을 풀이할 수 있다.

글의 구조와 분위기에 어울리게 한문 산문을 풀이할 수 있다.

한문 산문에 사용된 단어, 구절, 문장을 풀이할 수 있다.

한문 산문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1-3. 한시를 풀이할 수 있다.

시의 구조와 분위기에 어울리게 한시를 풀이할 수 있다.

한시에 사용된 단어, 시구를 풀이할 수 있다.

한시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2. 유가 경전과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사상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한Ⅰ122. 유가의 경전이나 제자백가의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말할 수 있다.

유가의 경전이나 제자백가의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설명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가의 경전이나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글에 담긴 사상이나 통찰의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가의 경전이나 제자백가의 글을 읽고 글에 담긴 사상이나 통찰의 특징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3.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주장의 근거를 판단할 수 있다.

한Ⅰ123.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말할 수 있다.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설명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글에 담긴 주장과 근거의 정당성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사리를 밝히거나 시비를 가리는 글을 읽고 글에 담긴 주장과 근거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4.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을 읽고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한Ⅰ124.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지은이의 의도와 연관 지어 말할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지은이의 의도와 연관 지어 설명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지은이의 의도와 연관 지어 말할 수 있다.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의 행적을 서술하는 글에 등장하는 사건이나 인물이 가지는 의미를 지은이의 의도와 연관 지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5. 사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고 지은이가 강조하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한Ⅰ125. 사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말할 수 있다.

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설명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고 글에서 지은이가 주목하고 강조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실이나 사물을 기술하는 글을 읽고 글에서 지은이가 주목하고 강조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6. 실용문을 읽고 글의 내용을 글의 목적과 관련지어 파악할 수 있다.

한Ⅰ126. 실용문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말할 수 있다.

실용문에 담긴 내용의 특징과 지은이의 의도를 설명하고 자신의 관점에서 그 내용과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실용문을 읽고 글에 담긴 내용을 글의 목적과 관련지어 말할 수 있다.

실용문을 읽고 글에 담긴 내용을 글의 목적과 관련지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7.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을 파악할 수 있다.

한Ⅰ127. 서사적인 글이나 소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의 특징적 성격 및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을 말할 수 있다.

서사적인 글이나 소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의 특징적 성격 및 이들 상호간의 관련성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느낌을 발표할 수 있다.

서사적인 글이나 소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의 특징적 성격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서사적인 글이나 소설 작품 속에 나타나는 인물, 사건, 배경의 특징적 성격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8.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한Ⅰ128.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事前的)인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과 주제를 말할 수 있다.

한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 및 지은이의 의도를 파악하고 그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한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한시의 내용 및 지은이의 의도를 말할 수 있다.

한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사전적인 배경 지식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9. 한시의 형식과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한Ⅰ129-1. 한시의 시체를 이해하고 그 특징을 구별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시체의 특징을 다른 시체와 구별하여 설명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시체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시체의 특징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9-2. 한시의 압운법을 이해하고, 작품에 사용된 압운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압운의 특징과 효과를 설명하고 자신의 느낌을 발표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운자를 말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운자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129-3. 한시의 대우법을 이해하고, 작품에 사용된 대우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대우의 특징과 효과를 설명하고 자신의 느낌을 발표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대우의 특징을 말할 수 있다.

한시를 읽고 작품에 사용된 대우를 조사할 수 있다.

  (2) 문화 영역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Ⅰ211. 선인들의 지혜를 내면화하고,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Ⅰ211-1.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내면화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말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선인들의 지혜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211-2.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파악하여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말할 수 있다.

글에 담긴 전통문화의 가치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212.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여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Ⅰ212-1.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을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문화권의 역사적․문화적 특수성을 말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적 특수성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212-2. 한자문화권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한자 문화권에 속한 나라들 사이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하는 데 기여하려는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 사이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의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 사이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의 사례를 말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지식을 통하여 한자문화권에 속한 나라들 사이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의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221.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한Ⅰ221-1.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의 뜻을 말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의 뜻을 어휘의 내력(來歷)이나 고사(故事)와 연계하여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말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221-2.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어휘의 내력(來歷)이나 고사(故事)와 연계하여 뜻에 맞게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뜻에 맞게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3) 한문 지식 영역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한Ⅰ311. 한자의 형(形)․음(音)․의(義)를 알 수 있다.

한Ⅰ311-1.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의 모양[形]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모양이 비슷한 한자를 구별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한자의 모양이 가지는 특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한자의 모양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1-2.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의 음(音)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구별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한자의 음을 바르게 말할 수 있다.

한자의 음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1-3.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한자의 뜻[義]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뜻이 비슷하거나 상대되는 한자를 구별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한자의 뜻을 바르게 말할 수 있다.

한자의 뜻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2.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알 수 있다.

한Ⅰ312.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1,800자를 중심으로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에 대해 음과 뜻을 말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쓰임에 맞게 설명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말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음과 뜻을 가진 한자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3. 바른 모양과 순서를 고려하여 한자를 쓸 수 있다.

Ⅰ313.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에 맞게 바른 모양과 순서를 고려하여 한자를 바르게 쓸 수 있다.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에 의거하여 한자를 쓸 수 있다.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에 대해 말할 수 있다.

필순의 일반적인 원칙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4. 상형․지사․회의․형성자의 짜임을 알 수 있다.

한Ⅰ314. 상형․지사․회의․형성자를 구분하고 그 짜임의 원리를 말할 수 있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구별하고 그 짜임의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고 그 짜임의 원리에 대해 말할 수 있다.

상형․지사․회의․형성자에 해당하는 한자를 찾고 그 짜임의 원리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15.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한Ⅰ315. 한자 자체(字體)의 변천 과정을 통해 한자의 역사를 개략적으로 말할 수 있다.

한자 자체의 특징을 비교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한자 자체의 특징을 그 서사(書寫) 방법과 관련지어 말할 수 있다.

한자 자체의 특징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1. 단어의 짜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한Ⅰ321-1. 단어의 짜임을 구하고 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고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단어의 짜임을 구별하여 말할 수 있다.

단어의 짜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1-2.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에 대해 말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설명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말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단어의 짜임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2. 품사의 활용을 알 수 있다.

한Ⅰ322-1.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를 구별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를 찾아 그 쓰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를 찾아 그 쓰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2-2.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가 다른 품사처럼 쓰이는 품사의 활용을 구분하고 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가 다른 품사처럼 쓰이는 품사의 활용을 구별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가 다른 품사처럼 쓰이는 품사의 활용을 찾아 그 쓰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실사에 속하는 품사가 다른 품사처럼 쓰이는 품사의 활용을 찾아 그 쓰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3. 허사의 쓰임을 알 수 있다.

한Ⅰ323-1. 문장에서 허사에 속하는 품사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허사에 속하는 품사를 구별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다.

문장에서 허사에 속하는 품사를 찾아 그 쓰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에서 허사에 속하는 품사를 찾아 그 쓰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3-2.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에 대해 말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을 설명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을 말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허사의 쓰임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4. 성어의 유래를 알 수 있다.

한Ⅰ324-1. 성어의 의미에 대해 말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성어의 의미와 고사성어의 내력을 설명하고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다.

성어의 의미와 고사성어의 내력을 말할 수 있다.

성어의 의미와 고사성어의 내력을 조사할 수 있다.

한Ⅰ324-2. 성어의 유래에 대해 말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장에 사용된 성어의 유래를 설명하고 이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성어의 유래를 말할 수 있다.

문장에 사용된 성어의 유래를 조사할 수 있다.

한Ⅰ331. 문장의 구조를 알고 문장의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한Ⅰ331-1. 문장의 구조를 구분하고 그 특성을 말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를 구별하고 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31-2. 문장의 성분이 구나 절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말하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성분이 구나 절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문장 풀이에 활용할 수 있다.

문장의 성분이 구나 절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의 성분이 구나 절로 이루어진 문장에서,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결합 방식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32. 문장 성분의 도치를 알 수 있다.

한Ⅰ332. 문장의 구조에서 어순과 성분들의 관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에서 어순이 바뀌면 성분이 변하는 경우와 어순이 바뀌어도 성분이 변하지 않는 경우를 구분하고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에서 어순과 성분들의 관계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의 구조에서 어순과 성분들의 관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한Ⅰ333. 문장의 수사법을 알 수 있다.

한Ⅰ333. 문장에 쓰인 수사법을 구분하고 그 표현 방법과 효과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에 쓰인 수사법을 구별하고 그 표현 방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문장에 쓰인 수사법을 찾아 그 표현 방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문장에 쓰인 수사법을 찾아 그 표현 방법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독해 영역 성취수준

A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문맥에 맞게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설명하며 느낌을 발표할 수 있다.

B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C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

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보통이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할 수 있다.

D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다미흡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이 다소 미흡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하는 것이 다소 미흡하다.

E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미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이 미흡하고, 다양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하는 것이 미흡하다.


 문화 영역 성취수준

A

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B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말할 수 있다. 또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다.

C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할 수 있다. 또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이다.

D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다소 미흡하다. 또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

E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미흡하다. 또한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하다.

 한문 지식 영역 성취수준

A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설명하고, 이를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B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말하고, 이를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C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보통이다.

D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다소 미흡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

E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미흡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미흡하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학기 성취수준

A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문맥에 맞게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설명하며 느낌을 발표할 수 있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으며,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그리고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설명하고, 이를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매우 우수하다.

B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말할 수 있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말할 수 있으며,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말하고, 이를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우수하다.

C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보통이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할 수 있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할 수 있으며,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보통이다. 그리고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보통이다.

D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이 다소 미흡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하는 것이 다소 미흡하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다소 미흡하며,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 그리고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다소 미흡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다소 미흡하다.

E

글을 문장의 어조에 맞게 소리 내어 읽고, 읽은 글을 문장 부호를 사용하여 표기하는 능력이 미흡하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조사하여 우리말로 풀이하는 것이 미흡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내용과 형식에 따라 적절한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비판적으로 읽고 그 내용과 가치에 대하여 조사하여 말하는 것이 미흡하다. 또한 선인들의 지혜와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내면화하여, 긍지와 주체 의식을 가지고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을 수 있는 방안과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미흡하며,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미흡하다. 그리고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의 활용, 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 등 문법에 대한 지식을 조사하여 말하는 데 미흡하고, 이를 한문을 풀이하고 이해․감상하는 데 활용하는 능력이 미흡하다.


17. 음악과 진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음악과 진로)

대단원 : 음악과 진로

 - 소단원 1. : 음악이 삶에 미치는 영향력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음진111. 

음악이 즐거움, 자존감, 동질감, 위로와 용기 등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를 찾아 발표한다.

음진111-1.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음악이 인간의 감정과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음진111-2.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상 깊은 음악을 찾아 표현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상 깊은 음악을 찾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상 깊은 음악을 찾아 표현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감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 인상 깊은 음악을 찾아 일부를 표현할 수 있다.

음진112. 

공연장, 영화관, 교실, 가게, 서적, 텔레비전, 온라인, 엠피쓰리 플레이어 등 음악을 경험하는 다양한 공간과 매체를 찾아보고, 그것을 통한 음악  경험의 서로 다른 특성에 대해 토론한다.

음진112-1. 

일상생활에서 음악을 제공하는 공간과 매체를 찾아 경험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음악을 제공하는 다양한 공간과 매체를 찾아 적극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음악을 제공하는 공간과 매체를 찾아 경험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음악을 경험하는 공간이나 매체 중 일부를 찾아 경험할 수 있다. 

음진112-2. 

다양한 공간과 매체에 따른 음악 경험의 서로 다른 특성을 발표할 수 있다.

다양한 공간과 매체의 서로 다른 특성을 다양하게 비교하여 구체적으로 말할 수 있다.

다양한 공간과 매체의 서로 다른 특성을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다양한 공간이나 매체의 특성을 말할 수 있다.



 - 소단원 2. : 음악 경험과 사회적 협업의 현장

교육과정 내용

성취기준

성취수준

음진121.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를 만드는 사람들의 준비와 노력에 대하여 알아본다.

음진121.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를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준비와 노력을 하는지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를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준비와 노력을 하는지에 대하여 다양하고 구체적인 자료를 근거로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를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준비와 노력을 하는지에 대하여 단순한 자료를 근거로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를 만드는 사람들이 어떤 준비와 노력을 하는지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발표할 수 있다.

음진122. 

작곡자와 연주자, 청취자 외에도 음악의 효과와 경험에 상관된 여러 사람의 다양한 활동을 찾아본다.

음진122.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에서 작곡자, 연주자, 청취자 외에 음악 효과와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활동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에서 작곡자, 연주자, 청취자 외에 음악 효과와 경험을 제공하는 여러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다양한 활동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에서 작곡자, 연주자, 청취자 외에 음악 효과와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대해 활동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음악 경험의 공간 또는 매체에서 작곡자, 연주자, 청취자 외에 음악 효과나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단순한 활동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음진123. 

공연 기획자, 음향 기술자, 방송 프로듀서, 악기 조율사, 음반 지기(디제이), 교사, 기자, 행정관을 비롯하여 음악이 존재하는 시공간을 만드는 데 기여하는 다양한 직업의 세계를 관찰한다.

음진123.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찾아 역할 및 기능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다양한 직업을 찾아 역할 및 기능을 조사하여 구체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찾아 역할 및 기능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의 직업을 찾아 역할 및 기능의 일부를 발표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단원명 : 음악과 진로

A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자신의 진로 활동을 창의적으로 고안하여 발표할 수 있다.

B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자신의 진로 활동을 고안하여 발표할 수 있다.

C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간단히 발표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평정

1학기 성취수준

A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자신의 진로 활동을 창의적으로 고안하여 발표할 수 있다.

B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자신의 진로 활동을 고안하여 발표할 수 있다.

C

 음악 경험이 일어나는 현장을 체험하여 그 직업의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필요한 적성과 능력이 무엇인지 찾아 간단히 발표할 수 있다.

끝.

18. 운동과 건강생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1

성취기준 및 성취기준 단위의 성취 수준 작성

    

(교과서명: 운동과 건강생활)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1. 운동과 건강 관리

① 신체적 건강의 개념과 신체적 건강이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② 정신적 건강의 개념과 정신적 건강이 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1. 건강 및 건강 관리의 개념

체고03111.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개념을 이해하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관리 방안을 실천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관리 방안을 효과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개념을 이해하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관리 방안을 실천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심신의 건강을 유지·증진하기 위한 건강관리 방안을 일부분만 실천할 수 있다.

 

③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관계를 이해하고 신체적ㆍ정신적 건강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체고03112.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관계 및 중요성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관계 및 중요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관계 및 중요성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의 관계 및 중요성의 이해에 어려움을 보이고,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④ 건강관리의 개념을 삶의 질과 연계하여 폭넓게 이해한다.

체고03113.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 건강관리의 개념 및 중요성을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위해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여 ‘7560’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 건강관리의 개념 및 중요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위해 핸드볼 등 운동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7560’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 건강관리의 개념 및 중요성을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위해 핸드볼 등 운동을부분적으로 활용하며 ‘7560’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삶의 질 향상과 관련하여 건강관리의 개념 및 중요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건강관리를 위해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하는데 미흡하며 ‘7560’ 운동을 일부분만 실천할 수 있다.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1. 운동과 건강관리

①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 영향에 대해 이해한다.

2. 건강과 운동의 관계 이해

체고03121.핸드볼 등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 유지를 위한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건강 유지를 위한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이해하고 건강 유지를 위한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건강 유지를 위한 올바른 운동 습관에 대해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② 운동이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장년기, 노년기의 건강에 미치는 생애 주기별 영향을 이해한다.

체고03122. 생애 주기별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방법에 대해 생애 주기별로 설명할 수 있다.

생애 주기별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생애 주기별로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방법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생애 주기별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생애 주기별로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방법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생애 주기별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생애 주기별로 건강의 유지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운동 방법에 대해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③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을 선택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건강 실천을 체험한다.

체고03123.운동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핸드볼   등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

운동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핸드볼 등 운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한다.

운동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농구와 스포츠피구 운동에 참여한다.

 

④ 실생활 속에서 지속적인 운동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운동 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핸드볼 등 운동의 일부분만 선택하거나 참여한다.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1. 운동과 건강

관리

.

① 건강을 위협하는 현대 사회의 생활 환경을 이해한다.

3. 건강 생활과 운동 환경의 책임 의식

체고03131.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과 건강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생활환경 요인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과 건강과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생활환경 요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과 건강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생활환경 요인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현대 사회의 생활환경과 건강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생활환경 요인에 대해 일부만 설명할 수 있다.

②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이해하고 운동 실천을 통해 체험한다.

체고03132.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한 운동 참여가 건강의 유지․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운동의 생활화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한 운동 참여가 건강의 유지․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 생활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한 운동 참여가 건강의 유지․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 생활화 방안을 제시하며 실천할 수 있다.

 

③ 건강을 유지ㆍ증진하기 위해 지속적인 운동 참여 습관을 갖고 운동의 생활화를 이루려는 책임감을 갖는다.

핸드볼 등 운동을 활용한 운동 참여가 건강의 유지․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자신에게 적절한 운동 생활화 방안을 일부분만 제시하거나 실천할 수 있다..

④ 운동 시설 및 공간에 대한 공공성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하는 태도를 갖는다.

체고03133. 우리 주변에 있는 운동 시설 및 환경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을 통해 건강 및 시민의식을 함양한다.

 

우리 주변에 있는 운동 시설 및 환경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을 통해 건강 및 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우리 주변에 있는 운동 시설 및 환경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부분적으로 실천하는 것을 통해 건강 및 시민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

⑤ 운동에 참여하여 운동 시설 및 환경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을 익히고 실천한다.

우리 주변에 있는 운동 시설 및 환경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활용하는 방법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보이고, 실천하거나 건강 및 시민 의식을 일부분만 함양할 수 있다.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3. 운동과 체력

①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체력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1. 운동과 건강 체력의 관계

체고03311.뱀부댄스 등 다양한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체력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건강 체력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뱀부댄스 등다양한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체력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건강 체력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뱀부댄스 등다양한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체력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건강 체력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② 운동의 지속적인 실천을 통한 체력 증진이 건강한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

뱀부댄스 등다양한 운동이 건강 체력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 체력이 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건강 체력 운동을 일부분만 실천할 수 있다.

③ 건강 체력 요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건강에 대한 체력 요소의 역할을 이해한다.

체고03312. 건강 체력 요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각 체력 요소가 건강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건강 체력 요소의 종류와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각 체력 요소가 건강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건강 체력 요소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각 체력 요소가 건강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건강 체력 요소의 종류와 특성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각 체력 요소가 건강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부분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① 체력 허약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해한다.

2. 체력 허약의 원인과 문제점

체고03321. 체력 허약의 원인을 이해하고,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체력 허약의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② 체력 허약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체력 허약의 원인에 대한 대책을 이해한다.

체력 허약의 원인을 이해하고,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체력 허약의 원인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원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③ 체력 허약에 의한 건강상 문제를 탐색하고 체력 허약의 문제점을 이해한다.

체고03322. 허약한 체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허약한 체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허약한 체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허약한 체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에 대해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
성취

기준

성취수준

3. 운동과 체력

① 체력 요소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자기 체력을 측정하여 스스로 평가한다.

3. 체력 증진과 실천 의지

체고03331.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PAPS)나 뱀부 댄스를 활용하여 체력 요소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의 체력을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PAPS)나 뱀부 댄스를 활용하여 체력 요소별 측정하는 방법을 정확히 이해하고, 측정한 자신의 체력을 평가할 수 있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PAPS)나 뱀부 댄스를 활용하여 체력 요소별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측정한 자신의 체력을 기본적인 수준에서 평가할 수 있다.

학생 건강 체력 평가 시스템(PAPS)나 뱀부 댄스를 활용하여 체력 요소별 측정하는 방법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측정한 자신의 체력을 일부분만 평가할 수 있다.

② 자신의 건강 체력을 분석하여 부족한 체력 요소를 파악하고 증진 방법을 탐색한다.

체고03332. 자신의 부족한 체력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에 참여하여 효과를 체험하고, 꾸준히 운동할 수 있는 실천 의지력을 갖춘다.

 

자신의 부족한 체력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효과를 체험하고, 실천의지력을 갖고 꾸준히 운동할 수 있다.

자신의 부족한 체력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에 참여하여 효과를 체험하고, 실천 의지력을 갖기 위해 운동할 수 있다.

③ 다양한 건강 체력 증진 운동을 통해 건강 체력의 증진을 체험하고 쉽게 중단하거나 포기하지 않는 실천 의지력을 갖춘다.

자신의 부족한 체력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 운동에 일부분만 참여하여  효과를 체험하고, 부분적으로 실천 의지력을 갖기 위해 운동할 수 있다.

④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익히며 건강 체력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천한다. 

체고03333.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건강 체력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건강 체력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건강 체력 관리를 기본적인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 습관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일부분만 건강 체력 관리를 실천할 수 있다.





대영역

교육과정 내용

중영역

성취기준

핵심성취기준

성취수준

3. 운동과 체력

① 일상생활에서 체력을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운동 계획을 수립하는 방법을 이해한다.

4.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실천

체고03341.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관리 운동 계획을 수립, 실천하고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다.

 

운동이 체력 유지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계획을 구체적으로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운동이 체력 유지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자신의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②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관리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하고, 체력관리를 위한 운동의 효과를 평가한다.

운동이 체력 유지 및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계획을 일부분만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③ 체력 운동 실천의 평가 결과에 따라 체력관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여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익히며 체력 관리를 실천한다.

체고03342. 체력 운동 실천 결과를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면서 규칙적인 체력 관리 운동을 실천할 수 있다.

 

자신의 체력 운동 실천의 결과를 자발적으로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며,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통해 체력 관리를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

자신의 체력 운동 실천의 결과를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며, 운동 습관을 통해 체력 관리를 실천할 수 있다.

자신의 체력 운동 실천의 결과를 부분적으로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고, 운동 습관을 통해 체력 관리의 일부분만 실천할 수 있다.













2

영역단위 성취수준 작성

가. 영역별 성취수준

 

‘운동과 건강관리’ 영역 성취수준(1학기)

A

•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운동 방법을 생활환경에서 발견하여 핸드볼 등 운동을 통해 ‘7560’ 운동을 꾸준히 실천함으로써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바람직한 운동 습관을 기를 수 있다.

B

•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방법을 생활환경에서 발견하여 핸드볼 등 운동을 통해 ‘7560’ 운동을 실천함으로써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바람직한 운동 습관을 기를 수 있다.

C

• 운동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방법을 생활환경에서 부분적으로 발견하여 부분적으로 핸드볼 등 운동을 통해 ‘7560’ 운동을 실천함으로써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고 바람직한 운동 습관을 기를 수 있다.

 

‘운동과 체력’ 영역 성취수준(1학기)

A

• 건강 체력, 체력 허약과 운동과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다양한 운동에 참여하여 건강한 체력 관리를 실천할 수 있으며, 실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B

• 건강 체력, 체력 허약과 운동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다양한 운동에 참여하여 건강한 체력 관리를 실천할 수 있으며, 실천 방법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C

• 건강 체력, 체력 허약과 운동과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다양한 운동에 참여하여 건강한 체력 관리의 실천에 소극적이며, 실천 방법에 대해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운동과 체격’ 영역 성취수준(2학기)

A

• 체격 관리를 위해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계획하여 규칙적으로 실천하면서 긍정적인 신체이미지와 자아의식을 갖고,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적극적으로 비만을 예방 또는 해소할 수 있다.

B

• 체격 관리를 위해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계획하여 실천하면서,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와 자아의식을 갖고,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비만을 예방 또는 해소할 수 있다.

C

• 체격 관리를 위해 부분적으로 운동을 계획하여 실천하면서,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신체 이미지와 자아의식을 이해하고, 자세를 유지하며, 비만을 예방 또는 해소할 수 있다.

 

‘운동과 정신 건강’ 영역 성취수준(2학기)

A

• 정신 건강, 스트레스, 건강한 대인 관계 형성과 운동의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적극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정신 건강을 유지ㆍ향상시킬 수 있다.

B

• 정신 건강, 스트레스, 건강한 대인 관계 형성과 운동의 관계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C

• 정신 건강, 스트레스, 건강한 대인 관계 형성과 운동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운동 계획을 부분적으로 수립하여 실천함으로써 긍정적인 정신 건강을 일부분만 유지할 수 있다.


3

학기 단위 성취수준 작성

<1학기>

성취

수준

성취수준 기술

A

운동과 건강관리(건강과 운동의 관계 이해), 운동과 체력(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실천)에 대하여 정확하게 이해하고, 핸드볼 등 운동과 뱀부 댄스와 같은 다양한 운동 등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바람직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자신의 건강 실천을 위해 스스로 적절한 운동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 자신의 체력 운동 실천의 결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며,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통해 체력 관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다.

• 운동의 생활화 속에서 건전하고 활기찬 생활에 필요한 대인 관계 기술을 적극적으로 체험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실천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B

운동과 건강관리(건강과 운동의 관계 이해), 운동과 체력(체격 및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실천)에 대하여 이해하고, 핸드볼 등 운동과 뱀부 댄스와 같은 다양한 운동 등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선택하여 참여함으로써 비교적 건강한 삶을 영위하고 바람직한 대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 자신의 건강 실천을 위해 스스로 적절한 운동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자신의 체력 운동 실천의 결과를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하며, 운동 습관을 통해 체력 관리를 실천한다.

• 운동의 생활화 속에서 건전하고 활기찬 생활에 필요한 대인 관계 기술을 체험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실천 방법에 대해 기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할 수 있다.

C

운동과 건강관리(건강과 운동의 관계 이해), 운동과 체력(체격 및 체력 관리를 위한 운동 실천)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핸드볼 등 운동과 뱀부 댄스와 같은 다양한 운동 등 자신에게 적합한 운동을 선택하여 간헐적으로 참여하며, 건강한 삶의 영위와 바람직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보인다.

• 자신의 건강 실천을 위한 운동 선택과 운동 참여에 소극적이고, 운동의 다양한 효과에 대해 부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 자신의 체력운동 실천의 결과를 평가하여 운동 계획을 재조정할 수는 있으나, 지속적인 운동습관을 통한 체력 관리의 실천이 미흡하다.

• 운동의 생활화 속에서 건전하고 활기찬 생활에 필요한 대인 관계 기술을 부분적으로 체험하고, 타인에 대한 배려와 적절한 대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실천 방법에 대해 일부분만 설명할 수 있다.






학익동 진리 수학 전문 학원
032-862-0002 (학익동 법원,신동아 아파트 근처)

- 초중고 수학 전문 학원 (수준별 맞춤 수업)
- 1:1 소수정예 (수준별 맞춤 수업)
- 개별 수업 (선생님 2명 수업지도)

<원장>
* 한양대 사범대 교육공학(졸)
* 경북대 전자전기공학(졸)
<수능상위 3%>
- 정교사 자격증


+ 전체 목록(최근 글)